염매처럼 신들리는 것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44
미쓰다 신조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방랑 작가 ‘도조겐야’가 들려주는 토속적이고 향토색 짙은 괴담의 출발작품인 모양이다. 먼저 소개된 후속 작품들에 익숙해진 독자로서는 동일한 패턴의 양식이 주는 진부함으로 참신함에 대한 기대가 꺾이지만 고유한 민간전승의 독특함이 이내 이야기 속에 젖어들게 한다. 형식을 완전히 초월하는 스토리의 유일성, 즉 단독성이 발산하는 매력 때문일 것이다.

 

인간이 두려워하는 것들, 반면에 지키려하는 것의 표리관계에 숨겨진 욕망이 마귀가 되고 신령이 되어 이것들의 본질을 은폐한다. 이것은 고유의 신앙이 되어 사람들에게 경외의 대상이 되고, 그 대상을 주제하는 자는 권력자가 된다. 결국 인간 세상의 신비나 알 수 없음이란 것의 이면을 파헤치면 터무니없는 실제가 존재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는 것일 게다. 다만, 작가는 이러한 명료성이 내키지 않은 듯 미완의 모호함을 남겨두지만 이미 사악할 만큼의 탐욕의 모습인 진실의 일면을 드러냈기에 소임은 다했다는 소설적 자신감의 일환이 아니었을까 싶다.

 

가미구시가(家)라는 일인지하의 마을에 가가치가(家)라는 가문이 들어와 그 지위를 넘어서 마을이 양대 가계로 나뉘고 하나는 신(神)집이 되고, 다른 하나는 마귀(魔鬼)가계가 된 향토사(鄕土史)의 배경을 추적한다. 일종의 민속 유래의 복원과정을 거치는 작업을 하는 것인데, 이 자체만으로도 소설은 발군의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왜 가가치가 되고 가미구시란 이름을 지니게 되었는지, 이들이 섬기는 허수아비 신령과 신령납치, 마귀인 염매 얘기가 회자되는지, 가가치가가 마귀가계로 불리게 된 연유는 무엇인지를 고증하여 미신의 요소를 이루는 것들의 본원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답(高踏)적일 수 있는 민간 신앙의 복원 작업이 모호하고 기이하며 불가해한 사건들과 마주하면서 그 실체의 적나라함이 현대의 합리주의적 해석과 충돌한다. 가가치가의 주인이자 무녀인 사기리와 혼령받이인 손녀 사기리로 이어지는 가계의 무수한 곡절들, 가미구시와 가가치의 반목과 뒤얽힌 혼인과 애정의 은밀한 산물들이 음습하고 기괴한 산과 강의 자연적 요소들과 어울려 마성(魔性)적 공간으로 깊숙이 끌어들이고, 기이한 형상의 주검으로 발견되는 첫 피살체가 발견되면서 미스터리한 불가사의 탐험을 본격화한다.

 

대대로 여아 쌍둥이가 출생하고, 하나는 무녀 혹은 허수아비 신령이 되고 또 하나는 혼령받이가 되어 가계의 신성을 잇는 가가치가의 신앙적 권위의 존속은 이미 신비이다. 그러나 소설은 가미구시가의 청년 렌자부로의 일기나 도조겐야의 취재일기, 가가치가의 손녀 사기리의 일기 등을 통해 이 신비에 은폐되어있는 사실성을 두려움과 모호한 기억에 실어 끝없이 의문을 제기하고 그 불가해성에 담긴 진실을 쫓게 한다. 이 과정에 가가치가의 사람들이 연이어 살해되고 어떤 상징적 의미를 지닌 젖가락, 우산 등의 도구들이 입에 물려있는 기이하게 왜곡된 형상들을 마주하게 된다.

 

이들 죽음에는 미스터리의 흔한 도구인 밀실트릭이 한결같이 작동하고 있는데, 그래서 용의자의 규명은 더욱 미궁에 빠져버리게 된다. 용의자의 범위는 한없이 넓어지고 또한 한없이 단순화 된다. 아마 이것도 작가가 의도한 하나의 묘미일 것이다. 민간신앙의 고증, 미신과 현대의 과학적 합리주의의 갈등, 미스터리의 소설적 함정 등이 어울려 맛깔스런 독창적 작품을 조성해 내는 것이다. 가계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한 욕망은 살인이라는 범죄적 행위를 신의 징벌로 정당화하기에 이른다. 무릇 신앙은 인간의 탐욕을 위장하여 자신들의 부정을 신의 정의로운 명령에의 복종이라곤 한다. 물론 이 작품이 이렇듯 명쾌하게 신앙이 된 미신의 왜곡된 자기 정당화의 몫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인간 세계의 많은 모호함은 이러한 은밀함의 위장임을 부인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인간의 이성이 미치지 못하는 영역에 대한 경외는 여전히 존재하리라는 민속작가의 정체성을 놓지 않으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