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즈 가든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36
기리노 나쓰오 지음, 최고은 옮김 / 비채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무라노 미로’시리즈를 완결하는 4편의 단편으로 구성된 소설집이다. 특히 미로 시리즈를 읽었던 독자로서는 이 소설집을 통해서 그녀의 삶의 원형을 확인, 완성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로소 완결된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첫선을 보였던 『얼굴에 흩날리는 비』의 처음 장면부터 음울하게 흘러내리던 새벽녘의 빗소리처럼, 또한 SM 쇼와 같은 소재에서 느껴지던 특유의 욕망의 끈적거림에 내재된 어둠과 죽음의 그림자와 관능적이며 그로테스크한 세계에서 전율케 하던 근원을 이해하게 된다는 점이다.

표제인 단편「로즈 가든」은 죽은 남편으로만 등장하던 ‘히로오’의 삶의 모습과 기억을 통해 미로라는 여인을 재구성하여 그녀의 치명적 독성을 이루게 한 요소들이 무엇인지 드러낸다. 더구나 『다크』에서 아빠 ‘무라노 젠조’를 의붓아버지임을 부각함으로써 적개심까지 불태우던 그 심리적 배경이 된 원인을 목격 할 수도 있다. 의붓아비와 소녀 미로의 금지된 장난, 그리고 이 야릇한 비밀이 발산하는 퇴폐적이기 조차한 어떤 원시적 관능까지 몽환적 분위기를 한껏 돋운다.

한편 시리즈 각 작품에 공히 흐르던 인간 모두가 내밀히 품고 있는 악의(惡意)를 단순한 일상으로부터 발견케 하는 「표류하는 영혼」이라든가, 「혼자 두지 마세요」와 같이 사랑과 욕망의 혼돈, 그리고 거짓과 분노하는 인간을 목격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수록된 단편인 「사랑의 터널」은 마치 미로시리즈에 등장했던 온갖 불온하고 불편했던 존재들이 뿜어내는 은폐된 폭력과 강압, 은밀한 욕망의 집산지처럼 극한의 자극 세계를 좇는 감각이 마비된 현대인들의 어두운 공조를 까발린다.

이러한 작업은 욕망에 취약한 인간의 정신, 불완전한 인간세계, 악의에 대한 해방을 염원하는 미로의 세계, 우리들이 진정 헤어나야 할 닫힌 공간으로부터의 탈출, 어둠의 미세한 균열을 찾는 여정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지니게 한다.
이렇듯 기리노 나쓰오의 작품은 인간 욕망의 이면에 감춰진 어둠의 세계를 파헤치기에 엽기적이고 음침하며 음란하기조차 한 소재들로 인한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지만 치밀한 복선, 논리적 정교함을 통해 우아하기까지 한 분위기로 전환되는 탓에 그 기이한 마력에서 쉽사리 발을 빼지 못하게 한다.
장편『천사에게 버림받은 밤』을 연상시키는 단편「혼자 두지 마세요」에 등장하는 게이바, 호스트바, 포르노그래피 등 어두운 욕망이 암약하는 오늘의 세계, 그것이 딛고 있는 우리가 외면하고 있는 세계의 심각성이 발작적 슬픔처럼 다가오게 하기도 한다.

또한 장편 『다크』에서 선악 관념이 더욱 흔들리고 보다 감성적 인물로 변한 미로를 접했던 독자로서 증오와 삶의 체념에 사로잡혀 있는 인물인 그녀의 내면이 왜 지옥의 어둠 같이 뒤틀린 잔인한 무엇으로 가득 차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폭력적 분노, 광기에 휩싸인 미로의 거침없는 감정의 질주처럼 악마적 탐욕스러움으로 그녀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완전히 전복시켰던 장면들이 이 세계의 당혹스런 도덕성에 직면케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지향했던 반항과 반란의 열망이었음에 대한 이해를 완성시켜준다.

매혹되었다는 말이 그대로 적용되었던 미로 시리즈를 완결하는 이 소설집을 덮는 심정이 아쉽기만 하다. 붉은 장미 같고 독사를 품은 것 같은 여인, 순수함과 관능을 동시에 발산하는 이 여인에 중독된 독자들에게 『로즈가든』은 위안을 삼게 해 줄 작가의 배려인 듯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