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귀신 - 조선시대 여인의 한과 복수 키워드 한국문화 6
최기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린 귀신(鬼神)하면 하얀 소복에 머리를 풀어헤치고 붉은 피를 흘리며 소름끼치는 흐느낌을 하고 나타나는 처녀 귀신의 공포를 떠올린다. 이렇게 고정화된 이미지와 귀신 이야기는 서늘한 두려움과 공포로 무더위를 날려버리겠다는 납량(納凉)물과 같은 단지 흥미의 산물이기만 한 것일까? 이들 귀신 이야기가 담아내고자 하는 것의 본질적인 내면은 무엇일까? 왜 귀신하면 우리는 여자 귀신을 떠 올리는 것일까? 여기에는 우리가 간과하고 있었던 사회적인 무슨 코드가 숨겨져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에 이르게 된다.

이 저술은 이와 같은 한국의 귀신에 대한 조선후기 대표적 야담집인 『동야휘집』,『기총문화』,『청구야담』을 비롯하여, 고소설에 나타난 귀신이야기를 통해 문화적, 사회적 기호로서 표상된 이야기의 본성과 정신을 해독하고 있다.
“생사의 경계에서 삶과 죽음이란 이원적 구분을 조롱”하는 존재이자, “생기를 먹고 사는 사신(死神)의 기호”로서“냉정하고 잔혹한 현실이 만들어 낸 가학적 증거물”이라고 귀신의 정체성을 정의하고 있는데, 아마 죽었음에도 억울하고 분한 원한으로 저승으로 가지 못하고 이승을 넘보며, 하나같이 귀신을 보면 그만 죽어버리는 현상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귀신이 나타나는 순간 현실적 규범과 질서에는 균열이 생기고 세계는 혼란에 빠지는데 현실이라는 삶에 죽음이라는 귀신의 충돌은 이미 우주의 질서를 교란하는 대 혼란이기에 그러할 것이다. 소복을 하고 흐느끼는 여성이 한 밤중에 나타난다면 소스라치는 놀라움, 그 충격은 물론 아마 심장이 멎어버리고 말 것이다.
 

그렇다면 왜 우리의 귀신이야기에는 유독 처녀귀신이 주로 등장하는 것일까? 여기에는 당시 한문으로 써진 야담의 독자, 즉 이야기의 향유층이 사대부 남자였다는 점과, 당대 여성은 살아서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는 것은 가당한 일이 아니었으니, 오직 죽어서만 소위 ‘말하는 입’을 가질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즉 억울한 일을 당하고도 하소연 할 곳이 없었던 여자들이 귀신이 되어서야 비로소 이야기 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성(性)의 구분, 즉 성의 차별적인 요인을 발견 할 수 있다. 야담과 고소설 등에 등장하는 귀신 중 한결같이 억울하게 죽은 원귀(寃鬼)나 자살귀(自殺鬼)는 여자귀신이며 통계적으로 여자귀신 대비 10%에 불과하게 간혹 등장하는 남자귀신의 경우 가족을 수호하고 미래를 알려주는 조상신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결국 우리의 귀신 이야기는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이건 향유층인 사대부 남자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보편성을 덧입힌 방편이었다는 점을 확인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 하나 흥미로운 관점을 들 수 있는데, 나타난 처녀귀신은 자신의 원한을 직접 복수하지 않고 꼭 남성인 관리들에게 나타나 억울함을 호소하는 것인가 하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이야기를 잘 못 살피고 있는 것으로서, 귀신의 호소는 원한을 복수하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죽음을 선택하거나 죽게 된 사회적 여건을 말함으로써 명예를 회복하여 훼손되고 추락한 자신과 가문의 자존심을 복구하는 데 있었기에 불가피한 것이라는 측면을 알게 되면 당연한 맥락임을 이해케 된다. 다시말해 귀신이야기는 “현실의 모순을 폭로하고 이에 대한 교정을 요청하는 전복의 서사”이며, “현실의 복구를 강렬히 희구하는 환원의 서사”라는 것이다.

이처럼 귀신들이 털어놓는 사연은 타의에 의해 억눌린 감정과 출구를 봉쇄당한 말들로써, 억울함과 분노, 슬픔과 절망으로 버무려진 순도를 상실한 묵은 감정이라는 억울함이 뒤섞인 불편한 정서로서, 그 실체는 바로‘한(恨)’이라는 것이며, 이를 사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에 적절한 수단과 과정으로서 사대부 남성이 요구되었다는 점을 납득 할 수 있다. 더구나 이와 관련하여 원혼이 되는 여인네들의 자살에 대해서 물음을 갖게 되는데, 그녀들의 자살을 과연 개인적인 책임으로만 볼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이를 고찰하는 기막힌 이야기 한편이 소개되고 있는데, 충(忠),효(孝),열(烈) 삼강(三綱)의 덕목을 동시에 완수하고 희생된 여종의 이야기로서 자신을 탐한 양반을 죽이려는 동료 노비들의 낌새를 알아차리고 양반에게 미리 이를 고하여 죽음을 면케 하면서, 이들 노비들을 처벌할 때 대신 자신의 아비만은 살려달라고 청한 후 자살한 여종의 이야기이다. 결국 자신의 목숨을 던져 사대부 양반남성에게 충하고 노비인 아비에게는 효하며, 지아비에게는 열하였다는 것으로 이에는 여자의 슬픔이나 고통보다는 외적 명분에만 관심을 보내는 문화적 맥락을 살 필 수 있는 것으로서 자살은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사회적 강요의 다름 아니었음을 발견케 된다.

한편 여인네들의 간절한 소청을 물리쳐 그 수치심과 좌절로 자살한 여인네들이 원혼이 되어, 자신들의 요청을 거부한 남성들에게 저주를 내리는 것에서, 상처받은 여인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했다는, 즉 타인을 배려할 줄 모르는 이기적인 자의 출세나 성공은 좌절되어야 한다는‘시대적 합의’가 깃들어 있으며, 이는 곧 귀신이야기라는 공포의 기호가 문화적 건강성의 자리로 탈바꿈하여 사회적 건강성의 지표로서 작동하였다는 것이기도 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결국 귀신이야기는 저승의 이야기가 아니라 사실은 현실의 이야기이며, 귀신담의 공포는 엄밀히 말해 귀신의 복수가 아니라 가해자의 죄책감, 자기처벌의 형식으로 완성되는 이야기라는 것이다. 즉 이야기하는 것은 사회가 소외시키고 배제시킨 대상이 무엇인지 발설하여 불합리한 현실을 준열하게 비판하는 정신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 저술은 무방비의 복색인 소복을 한 쳐녀귀신의 패션코드로부터 한국사의 트라우마인 장화홍련, 금오신화의 여자귀신들과 같은 흥미롭고 기발한 이야기와 인문학적 독해는 물론, 다채로운 귀신담들의 소개와 이에 대한 사회사적 성찰, 게다가 “귀신의 말하기는 문화적 위험지수에 대한 안전장치이자 일종의 경고음이다.”라는 문화인류학적 통찰까지 우리 전통문화의 한 기호에서 화려한 정치도덕적 소통 도구를 발견케 하는 한국문화 해석의 정수라 할 수 있다. 이제 귀신은 개인 정체성의 형상화가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부조리를 환기하는 장치로서 해독되는 하나의 문화적 기호임을 명료하게 환기시켜준다. 어쨌거나 30여 편의 귀신 이야기로 짜여있는 이 저술이 귀신이야기를 사회적 책임과 죄의식이 만들어 낸 공통의 문화적 사유임을 설파하고 있지만, 바로 이 예리한 해석을 수반하고 읽게 되는 귀신담은 재미에 그 상상력이 더해져 대단히 매혹적인 저술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