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태(倦怠)의 이미지, 그 문학과 철학적 성찰들...
봄기운의 나른함이 문득 ’권태(倦怠)’를 떠오르게 한다. "어떤 일이나 상태에 시들해져서 생기는 게으름이나 싫증"이라는 사전적 의미처럼 일상사가 심드렁해지고 삶의 의욕까지 잃게 만드는 이 상태가 끔찍스럽기도 하지만, 이것이 깊어지고 장기화되지 않는 모처럼의 여유라는 잠깐의 스치는 기운일 경우 활력을 위한 충전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그러나 권태라는 이 느낌이 그리 간단치만은 않은 것이 분명하다. "지루함은 모든 악덕의 뿌리다!"라고 말한 키에르케고르나, "인생은 식욕과 성욕과 권태의 드라마"라 한 쇼펜하우어에서 부터, "존재의 의미에 대해 끊임없이 염려하는 현존재(Dasein)로서의 인간이 가지는 가장 ’근본적인 기분’이다"라고 한 하이데거, 그리고 "모욕, 고립, 외양에 대한 굴복 등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사회적 소외가 체계적으로 낳은 산물"이라는 바네겜에 이르기까지 이 언어를 고민하지 않은 철학자가 없을 정도로‘권태’와 사람의 삶은 분리 할 수 없는 것인 모양이다.
또한 인간 군상들의 무수한 모습들이 등장하는 문학작품에서 권태는 항상 사건의 기저에 놓여, 무언가를 일으키는 존재로서 중요한 구성인자로 기능한다. <이방인>이나, <고도를 기다리며>와 같이 모든 부조리의 시작에 권태가 짙게 깔려있듯이.
말장난 좋아하는 어떤 이는 ’권태의 미학’이라고 하여, 지겨움, 나른함, 단조로움의 연속이 만들어내는 피로감, 무력감을 떨치기 위해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을 침략했다고 하기도 하고, 부러 지루함의 역설적 흥미를 이용하여 영화를 지루하게 만들었다는 등 어지간히도 할 일없는 사람들이 상상력이란 날개를 달고 웃음을 제조하기도 한다.
사실 권태로움이 조금만 지속되어도 우리들은 참지 못한다. 바로 무기력해지거나 허무주의에 빠지기도 하고, 이 단조로움을 부수기 위해 새로운 자극을 찾거나 그것이 있을 만한 곳으로 떠나기도 한다. 또한 바로 오늘의 소비자본주의는 사람들의 영혼을 잠식할 만큼 만연한 곳으로 세상을 만들어 일상의 삶을 구속하기도 한다. 아마 이러한 것들을 보면 하이데거의 말처럼 권태는 인간 삶의 근본인지도 모르겠다.
이런 상념을 하다, <倦怠>를 쓴 이상(李箱)의 생각이 뒤따른다. 1910년 9월 23일 서울 통인동에서 출생하였다니 올해로 그의‘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시체(屍體)같은 권태로움이라는 극단적 권태를 보여주는 이 작품에서 우린 자극에 지친 모던뽀이의 신경증을 보기도 한다. 어쨌든 무언가가 단순하게 반복되는 상황, 끝없이 언덕에 돌을 옮기는 시지프스 같은 처지에 놓이면 차라리 죽여 달라고 하소연 할지도 모른다. 이처럼 똑같은 일상을 반복하는 참기 힘든 것이 바로 권태이지만 여기서 비록 똑같아 보이지만 실은 어느것도 똑같은 것은 없다는 니체의‘영원회귀론’까지 탄생하였으니, 가히 권태라는 이 느낌은 경외의 대상이 되어버리기도 한다.
허나 권태의 기운이 습격해 올 때, 어느덧 서구적 문명에 훈육된 우리네 감성이 쫓기듯 털어내려 하고, 불온한 느낌에 휘둘리는 것을 질색하지만, 사실 바빠서 권태를 느낄 겨를도 없는 한국인들에게 한가로이 권태 운운하는 것은 뚱딴지같은 소리가 될 것이다. 그러나 간혹은 이 권태로움에 한껏 빠져들어 느긋하게 일어나 은은한 향기가 피어오르는 커피를 마시고 사색에 잠겨 산책길을 거닐어 보는 여유로움을 자신에게 선물하는 것도 삶의 활력일 수 있듯이 권태를 마냥 죄악시하고 두려워하며 회피할 이유만은 아닐 것이다.
이렇듯 다양한 권태의 사유는 권태를 말하는 문학과 철학을 무수하게 탄생시켰고, 바로 이들 작품을 통해 부적절하게 자극하는 환경에서 오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흥분과 불만족스런 오늘의 권태로운 세상을 돌파해 보는 것도 이 봄의 괜찮은 선택이 될 것 같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