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풍경을 나는 이제 사랑하려 하네 - 안도현의 노트에 베끼고 싶은 시
안도현 엮음, 김기찬 사진 / 이가서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시인이 선택한 좋은 시(詩), 그가 기꺼이 필사(筆寫)해서 마음에 남겨두고 싶었던 48편의 시를 담고 있는 시선집(詩選集)이다. 특정 시인의 시집을 선택하지 않고 48인의 시모음인 이 시집을 선택하여 읽게 된 것은 우리의 시인들을 가까이 하지 못해 우리시의 이해가 천박하여 시집의 선택능력을 갖지 못했다는 자각과 우리말의 활용능력이 점차 축소되고 있는 듯하여, 좋아하는 시인의 도움을 받고자 하는 요령이었다.


아무튼 이러한 욕심은 성취되었으며, 당분간은 막연함이 아닌 구체적인 관심을 가지고 시인이나 시집의 선택을 할 수 있는 조언을 충분히 구한 상황이 되었다. 모아놓은 48인의 저마다 개성 넘치는 시들을 읽으면서 새삼 우리말의 음성학적 아름다움을 느끼고, 각각의 작품들이 내재하고 있는 내적질서와 언어적 표현형식에 감탄을 연발하였으니 이보다 큰 수확이 어디 있겠는가.
한 문학평론가가 시는 “의미론적 훈련”에 커다란 도움을 준다고 했던 말이 기억난다. 시인 안도현의 짤막한 촌철살인의 시평(詩評)은 미처 알지 못하고 넘어가던 이들 시의 이해를 결정적으로 높여준다. 아니 한 뼘만큼 시의 이해에 가까이 다가설 수 있게 해주었다고 하는 표현이 정당하겠다.

그의 표현처럼 맛깔스러운 시, 유쾌한 스냅사진 같은 시, 주관이 배제된 채 객관적 묘사만으로 아름다움을 펼쳐낸 시, 내성의 절창(絶唱)이라고까지 부추기는 시들을 감상하는 즐거움이 있다. 이들 명편 중에서도 내 감수성과 얄팍한 지성을 자극한 몇 편의 시들은 필사와 암송을 위해 준비 될 터이고, 이 과정이 내심 흐뭇하기까지 하다.

김명인 시인의 시집인 『따뜻한 적막』에 수록된 <너와집 한 채>라는 시구 중 한 구절을 제목으로 하고 있는 시인 김사인의 <부뚜막에 쪼그려 수제비 뜨는 나어린 처녀의 외간 남자가 되어>는 콧잔등이 시큰하고 가슴이 메는 공감으로 몇 번이고 읽어보기도 하였다. 그리고 “고난을 온 몸으로 받아들이지 않으면 서로를 이해 할 수 없다.”는 안도현 시인의 촌평이 붙은 시인 정끝별의 <밀물>은 명치끝이 뭉클하여 암송하기까지 하였으니 진정 무엇에 대한 느낌을 공유한다는 발견은 기쁘기조차 한 것인 모양이다.

“가까스로 저녁에서야 / 두 척의 배가 / 미끄러지듯 항구에 닻을 내린다 / 

벗은 두 배가 / 나란히 누워 / 서로의 상처에 손을 대며 / 

무사하구나 다행이야 / 응, 바다가 잠잠해서”

- 정끝별 作 <밀물>


그리고 김선우의 <봄날 오후>, 문태준의 <가재미>, 오규원의 <들찔레와 향기>, 남진우의 <가시>는 한동안 시선을 멈춘 채 오랫동안 되새기며, 그 삶의 풍경들을, 삶의 본질을 관통하는 시의 내성을 음미하기도 하였다. 내겐 감성을 순화시키고 여유롭고 세밀한 세상 보기를 하게하는 시의 본성을 만끽하는 즐거움을 가져다 준 특별한 시집으로 기억될 것 같다. 특히 작고한 사진작가 김기찬선생의 <골목안 풍경 30년>의 사진들이 시편 곳곳에 게재되어 시집의 품격을 한층 제고시켜주기도 한다.
소설, 시의 창작을 준비하는, 시집의 선택을 고민하는, 아름다운 진정 좋은 시를 기대하는 모든 이들에게 이 시집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