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알랭 드 보통 지음, 지주형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사색의 나래를 활짝 펴고 삶의 편린들을 모아 문학작품 속에 잠겨있는 진중한 정신세계를 비범한 통찰력으로 정리한 책 읽기의 진수라 해야 할까. ‘프루스트’를 읽어내는‘알랭 드 보통’의 방식 - 온전히 작가의 시대와 삶으로 들어가 작가의 시선과 생각으로 - 으로서만이 프루스트를 독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아닐까 할 정도로 매혹적이다.

프루스트를 위대한 작가의 반열에 세운 그의 대표작『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좀처럼 손에 들기가 여의치 않다. 7편 11권으로 국내에도 완역된 전질이 나의 서가에 나란히 꽂혀진지 몇 해가 지났는 지 모르겠다. 매번 읽어야지 하면서도 좀처럼 다가서지 못하는 내게, 그의 동생‘로베르’의 말처럼 “사람들이 매우 아프거나 다리가 부러지지 않고는 읽을 기회가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는 조크가 진실로 느껴지기까지 한다. 아마 밀폐된 침대에서 쓰인 글이라서 그런 것일까. 당시 프루스트의 열정적 팬들조차 작품의 길이가 너무 길어 난처했다할 정도이니 위안이 되는 말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프루스트를 좋아 하세요』라는‘보통’의 프루스트 읽기를 따라가며 마주하는 인생의 작은 조각들과 사건들에 대한 광대한 사유는 세상에서 우리가 놓치고 있던 이면의 층위들을 깊고 색다르게 느끼게 해주는 멋진 길잡이가 되어준다.
프루스트가 들으면 정확히 기분 나빠할 얘기가 되겠지만,‘보통’의 이 에세이를 정의한다면, 삶을 바라보는 법, 그리고 감사하는 법의 탐색이 아닐까?
“신문 읽기라는 가증스럽고 음란한 행위”라고까지 단문과 빈약한 표현에 질색했던 프루스트이고 보면 조잡한 이 정의가 무책임하고 독자를 우롱하는 방해공작이라고까지 비난할지 모를 일이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제1권 「스완네집 쪽으로」의 첫 페이지를 접하는 누구든 바로 느낄 수 있는 지루할 정도의 세세한 묘사와 설명으로, 지극히 단순해 보이는 장면을 몇 장에 걸쳐 기술하는 프루스트의 글쓰기가 당혹스러울 수 있다. 그러나 ‘보통’의 설명을 듣고 보면 그 구체적이고 작은 경험들이 모두 표현되어야 비로소 온전한 전달이 된다는 믿음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는 “너무 빨리 하지 마세요.(N'allez pas trop vite)"라는 프루스트주의적 슬로건이 있으며, 너무 빨리하지 않으면 생기는 이점은 그러는 도중에 세상이 재미있어진다는 그의 신념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삶의 철학은 형태는 다르지만 “예술작품은 왜곡되었거나 지나친 현실의 측면들을 우리의 시야에 회복시키는 능력이다.”라는 예술작품에 대한 그의 생각과 공명하는 것처럼 보인다.

일생을 천식을 앓으며 커튼이 드리워진 침실에서 보낸 병약한 사람인 프루스트의 고통에 대한 찬양은 역설적이랄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고통에 빠지고 우리가 희망했던 대로 일이 일어나지 않을 때 까지는 아무것도 제대로 배울 수 없다.”는 고통스러울 때만 철저한 탐구심이 발현된다는 진리의 실천으로 느껴지는 것은 지나친 해석이 될까.
어쨌든‘보통’은 프루스트의 이러한 삶의 견해로부터 “우리는 앓는다. 고로 생각한다.”고 데카르트를 차용한 재치 넘치는 명구를 만들어낸다.

한편 ‘보통’의 의도야 어찌되었든 ‘프루스트주의적’, ‘프루스트적’, ‘프루스트하다’는 표현들이 등장하는데 프루스트의 행동과 말, 그리고 그의 글들이 일체화되어 동시대인들을 비롯해서 오늘의 문학적 삶에까지 얼마나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또한 정형화된 의미가 될 정도로 새로운 하나의‘가치’이자 ‘정신’이 되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특히 ‘보통’의 이 글이 돋보이는 것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등장인물들에게 프루스트의 작가관, 친교관계, 성장 배경과 과정, 삶의 자잘한 것들에 대한 신념, 예술관들을 명쾌하고 유연하게 이끌어내고 있다는 점이다. 일례로 작품 속 화가인‘엘스티르’는 “조잡한 그림에서 르아브르 항구에 대한 놀라운 재현”이라는 양극의 평가를 받았던 인상파 화가‘클로드 모네’의 일면임을 통해, 프루스트의 예술관을 다양한 자료들을 통해 설명하고 있는 것과 같다. 이것은 프루스트가 하는 작은 상념의 자투리로부터 연결되어 무성한 기억의 층위들을 헤집는 모양과 아주 닮아있다.

프루스트의 친교관계를 쫒아가면서, 대화와 책이 갖는 장단점으로 이어지고, 다시금 프루스트의 내면을 조명하는 변화무쌍, 종횡 무진하는 ‘보통’의 글쓰기 역시 삶의‘이면(裏面)의 원인들’을 현란하게 탐색해 낸다.
부호(富豪)인‘공작부인’과 소시민인‘알베르틴’의 소비행태를 통해 “욕망과 기쁨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주는 막대한 이득에 대한 식견이나, 프루스트의 성적(性的)이해와 의지에 대한 고찰로서 “오늘밤 시간 없어요.”라는 여성의 말이 소유가능성에 대한 의심의 여지를 만들고, 이는 진정하고 지속적인 욕망의 원인이 된다는데 까지 이르는 상상력의 연결은 가히 혀를 내두르게 한다.

평범하다고 생각한 것,(....)하찮다고 생각했던 자연에 위대한 예술이 있다는 것에 압도되었을 때, 철물과 질그릇도 매혹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될 때, 비자발적으로 생겨난 기억이 과거의 진정한 모습을 환기시켜줄 때, 오랜 망설임 끝에 예쁜 옷을 구입했을 때 느끼는 기쁨이야말로 행복이고 자신의 삶을 사랑하는 것이 될 것이다.

프루스트의 높은 감수성과 “시간의 분해와 상실의 이면에 있는 원인들을 탐색하는”,‘보통’식 이 에세이는“대상자체 보다는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의 질에 달려있다.”는 그의 말처럼 세상을 이해하는 사고의 품격을 한 단계 올려주고, 우리의 정신적 삶을 한층 고양시켜준다. 풍부한 지성의 향취를 만끽케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