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불임 클리닉의 부활
가이도 다케루 지음, 김소연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이번 작품은‘가이도 다케루’의 전작(前作)을 주름잡았던 ‘다구치-시라토리’콤비와 도조대학 의학부, 살인과 추리라는 등식이 없다. 그러나 의료소설로서의 성격은 보다 선명해졌고 참여문학의 형태까지 지향한다. 장소는 동경의 명문 데이카대학 의학부로 그리고 노골적으로 의료정책에 대한 직접화법을 구사하고 있기까지 하다. 행정 관료의 정책적 무능과 무력한 의료계, 그리고 붕괴되어가는 비참한 지방의료 체제의 문제와 인공수정, 대리모(代理母)로 대표되는 생명탄생에 대한 윤리적 타당성의 공론화라는 뚜렷한 문제제기를 양대 주제의식으로 하고 있다. 이렇듯 작품의 주제의식이 너무 분명해서 허구의 재미가 반감될까 우려 할 필요는 없다.

음모, 고발, 시기, 갈등, 섹스, 그리고 분자생물학, 인공수정, 대리모, 기성과 신진, 관료행정의 부패와 무능, 페미니즘, 도덕적 윤리 의 다채로운 소재와 구성요소들이 매혹적인 미모의 여주인공 32세의 인공수정 전문의이자 발생학 강사인 ‘소네자키 리에’의 주도면밀한 행동, 거침없는 추진력이 어울려 탁월한 소설적 재미를 안겨준다.

페미니즘을 전면적으로 부상시키고 있지는 않지만 주인공 ‘소네자키 리에’의 남성 중심적 의료세계와 기성권위에 대한 신랄한 비판과 소신에 따라 행동하는 여성의 모습에서, 그리고 생명의 잉태와 출산이라는 여성고유의 내면화된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측면에서 본질적으로 내재화되고 있다.

‘리에’는 데이카대학이 지원하는 마리아클리닉에 외래교수로 지원을 나간다. 그녀가 담당하는 5명의 임산부(姙産婦)가 출산을 완료하는 시기를 마지막으로 마리아 클리닉은 폐원하게 되어있다. 2명의 인공수정에 의한 임산부와 3명의 정상적 임산부인 이들 5명의 여성은 리에와 함께 생명의 존귀함을 일깨우는 사건들의 전개를 같이한다. 낙태를 하려는 거리의 소녀, 임신을 불편하게 생각하는 워킹우먼, 5년에 걸친 인공수정 노력을 기울인 30대중반의 불임여성, 50대중반의 부조화스런 인공수정 임신, 무뇌(無腦)상태의 태아를 가진 여성은 각기 생명잉태에 대한 윤리적 잣대와 사회제도에 대한 긴장된 문제를 제기하게 한다.

출산율 저하에 대한 출산장려책이 행정 관료들의 오만과 무지로 오히려 지방의료체제를 붕괴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후생성의 관료정책에 대항하여 리에는 아이를 가지고 싶어 하는 불임 부부를 지원하는 것이 진정한 의료지원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에는 윤리적으로 첨예한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체외수정과 같은 인간의 수정란, 배아의 배양이 신(神)의 영역을 건드렸다는 종교적 논쟁은 차치하고라도 타인의 수정란을 생물학적 부모가 아닌 인간의 몸을 빌려 출산하는 행위가 과연 윤리적인 것인가? 와 같은 대리모출산에서부터 남성의 동의 없는 정자수집과 임의 인공수정 행위, 체취 된 난자의 임의사용 등 이 작품에서 리에가 말하는 불임자들을 위해 필요한 수단이란 감성적 호소에 귀 기울인다 하더라도 그녀의 행위에 정당성을 부여하기란 쉽지 않다. 그럼에도 작가는 이러한 윤리적 문제는 빗겨나고 있다. 단지 과학으로서의 의학기술에 열광하고, 부패한 의료정책을 비판하는데 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

한편, 관료행정에 영합하고, 기성권위에만 의존하는 구태스런 사람들의 표본으로‘야사키’교수란 인물이 등장한다. 그리고 중립적 인물로 리에와 두 번의 잠자리와 한 번의 묘한 접촉이라고 기억을 더듬는 ‘기요카와’부교수가 있다. 이들과 벌이는 리에의 갈등과 설전은 이 작품의 재미를 견인하는 톡 쏘는 청량음료의 맛을 선사한다. 이 권위적 인물인 야사키를 면전에서 완벽하게 짓누르는 소네자키의 당찬 논리에서 얏호~하고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도 있다. 이후 대학과 후생성이라는 거대한 기성체제에 대한 일전을 불사르는 리에의 모습에서 소신과 정의 앞에 의연한 한 여성을 찾을 수 있다.

소네자키가 매료된 DNA염색체에서 울리는 3화음의 조화를 시작으로 그녀의 일거수일투족을 쫓는 독자의 시선은 무수한 의료문제를 당면하고, 생명의 신비로움과 존귀성을, 관료의 부패와 무능, 기성권위의 안이함, 지방의료체제의 붕괴와 같은 사회적 이슈와 마주하게 된다. 결국 작가의 의도는 성공적인 셈이 된다. 빠져나갈 곳이 없이 재미 속에 주제를 명료하게 언급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여기에 우리사회가 어떠니 저떠니 하는 종언은 사족에 불과할 듯하다. ‘가이도 다케루’는 다음에는 어떤 병동으로 넘어갈까? 다시‘부정수소외래’로 회귀할까? 아님 데카이대와 소네자키의 새로운 세상이 열릴까? 그의 차기작이 벌써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