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세시, 바람이 부나요?
다니엘 글라타우어 지음, 김라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익명의 그녀와 그를 꿈꾸는 상상은 괜한 설렘을 준다. 가장된 위선을 한 겹씩 벗어버리며 다가가는 진실의 목소리가 들릴수록 사랑의 밀도는 촘촘히 엮여질 것이리라.

잡지구독 해지 이메일이 수신주소의 오기로 낯선 누군가에게 전달되고, 급기야 짤막한 글속에 담긴 호감이 그녀와 그의 소통을 촉진하는 가상공간속의 만남은 짜릿한 전율을 흐르게 할 수 있겠다 싶다.

 

에미와 레오, 안정된 가족, 두 아이와 믿음을 버리지 않는 남편이 있는 에미, 그리고 사랑을 잃어버린 언어심리학 교수 레오, 이 두 남녀의 유일한 소통수단은 이메일이다. 두 사람의 대화는 너무도 우리와 같아서 이들의 표현 모두에 거북스런 손사래를 쳐댈 수가 없다. 바로 우리들이 그리는 그러한 사랑이야기로 뿌연 안개 속에 연인들의 애틋하게 갈망하는 달 듯 닿지 않는 몸짓이 환상적인 낭만으로 그득하게 들어찬 느낌이다.

에미에게 레오는 어느덧 조용히 그녀의‘외부세계’로 깊숙이 들어앉는다. 메일이 쌓여가면서 두 사람의 감정은 끝없이 고조되고, 불어만 나는 그리움과 열정은 현실의 만남으로 이어질듯 이어지지 않는다. 궁극적으로 현실에서의 만남이라는 진짜의 지고(至高)한 목표는 그네들의 상상 속에 완성된 이상적 그녀와 그가 깨질까, 미묘한 망설임으로 번번이 실현되지 않는다.

마침내 만나기로 한날, “아름답고 건강하고 생기 있는 만남”이 될 것으로 그네들의 가슴은 기대로 한껏 부풀어 오른다. “저는 당신을 무척 사랑해요. 우리의 만남이 두려워요. 만나고 나서 당신을 잃게 된다는 것을 상상할 수 없고, 상상하고 싶지도 않아요. 에미.” 오~ 두 사람의 만남이 거침없이 열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장면을 상상치 않을 수 있을까? 에미와 레오의 사랑이 맺어지기를 독자들이여 기도하고 싶어질 것이다.

만일 유일한 소통창구인 사랑하는 이의 이메일주소가 사라져버리면 얼마나 곤혹스러울까? 이런 사랑을 꿈꾸어 보지 않으렵니까? 이제 사랑을 시작하는 이들, 그리고 잃어버린 사랑으로 아파하는 이들, 외부세계를 그리는 이들, 모두 낭만적인 가상의 공간에서 사랑을 키워보세요....

문자가 표현하는 낭만성과 모호함의 증폭, 익명성의 에로티시즘, 그리고 공간적 격리가 주는 신비스러움과 시간적 공감대, 그리고 결코 천박하지 않게 불륜의 장치를 해체한 작가의 기묘한 전개와 베른하르트의 출현에 이르는 클라이맥스가 작품의 품격은 물론 독자의 품격까지 고양시켜준다. “추워요, 사랑해요, 바람이 불어오고 있어요, 이젠 우린 어떡하죠? ”하면 우린 정말 어떡해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