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을 읽는 방법 - 히라노 게이치로의 슬로 리딩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김효순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3월
평점 :
현란한 수사나 많은 지침, 주장을 제시하지는 않지만 독서의 참맛을 안내하는 얇지만 두터운 의미의 진지한 저작이다. 어느 때부터 인가 다량의 책들을 쫓기듯이 허겁지겁 읽어대고, 연간 수백 권의 양적 독서에 취해 있던 터에 접한 ‘히라노 게이치로’의 “망라형 독서에서 선택형 독서”를 향한 이 독서에 대한 충고는 정독의 가치를 새삼스레 공감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물론 다량의 남독(濫讀)에 대한 나만의 독서철학을 던져버릴 생각은 추호도 없다. 책 읽는 사람들의 저마다의 오랜 독서를 통해 자리 잡은 일종의 습관이나 방법이 있고 이를 통해서만 작가의 지적처럼 평온하게 온전히 책에 몰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 저작은 ‘슬로(Slow)리딩’이라는 필자의 열정어린 독서방법으로 독서가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주기에 충분한 내용을 담고 있다.
문자 그대로 급하게 정보원으로서 만의 책을 대하는 많은 속독(速讀)안내서와 스피디리딩과 같은 태도에서, 작가(저술자)의 의도를 포함한 핵심 주제를 놓치거나, 오독하는 등 잘못된 독서 현상의 비판으로부터 시작된다. 단순히 천천히 읽음으로서 슬로리딩이 아니라 저술의 곳곳에 내재하고 있는 어휘와 문장의 의미를 “천천히 음미하며 읽는” “감각적 읽기”로서의 정독(精讀)으로서 만이 온전히 개인 자신의 이해에 저장 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 하에 작품이 “구조 전체를 시야에 넣고 읽는” 독서여야 함과, 재독(再讀)이 주는 시간 경과에 따른 새로운 이해와 시선의 확장에서 오는 즐거움, 밑줄을 긋고 Key Word를 표식하고 문장의 상호관계를 표기하면서 작가의 의도나 난해한 저술의 이해를 펼쳐나가는 구체적 예시 등, 독서하는 이들의 공감을 형성한다.
독서를 통해 독자들이 기대하는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돌아서면 쉽게 잊혀져버리고 마는 이미 읽었던 책들이 무슨 가치를 제공 했을까? 그래서 정독과 재독의 의의는 삶의 지혜를 손실 없이 쌓아가는 아주 중요한 책 읽는 자세를 제공하여 준다. 10대에 읽었던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이 30대에 그리고 50대에 다시 읽혀졌을 때 그 새로운 의미와 난해하여 이해하지 못했던 문장의 속 깊은 이해를 느꼈던 적이 있으리라. 그리고 플롯이나 이야기의 흐름만으로 읽어내려 갔던 소설 작품이 여유로운 정독을 통해 작가의 숨겨 놓은 진주알 같은 문장들과 의도를 보았을 때 그 지적 즐거움에 흐믓한 미소를 머금었던 기억도 떠오를 것이다.
필자가 슬로리딩에 대한 체험과 연습을 위해 제공한 3장은 나쓰메소세키, 미시마 유키오, 가와바다 야스나리, 프란츠 카프카, 미셸 푸코 등의 작품을 통해 작가가 의도적으로 ‘위화감’을 조성한 어휘나 문장의 의미, 한 호흡 쉬어가기 위해 묘사된 풍경의 이면에 다가오는 여백의 의미에 대한 소개는 무릎을 탁! 치게 한다. 맞아, 그랬어, 바로 그랬구나 하고 공감의 머리를 끄덕이게 한다. 또한 카프카의 꽁트(단편)인‘다리’에 대한 세밀한 해설, 푸코의 ‘성의 역사’에 대한 도해(圖解)를 곁들인 해설은 ‘히라노 게이치로’의 이 저작이 가지는 독자를 향한 진실된 의지를 엿보게 하며, 책을 읽는 모든 이들에게 즐겁고 유익한 정말 가치 있는 독서의 길로 안내하는 참된 길잡이임에 추천의 목소리를 숨기고 싶지 않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