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유서
요슈타인 가아더 지음, 손화수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 죽음, ‘가 아닌 죽음을 지켜보아야 할 때마다 항상 분노가 치민다. 언젠가 내게도 죽음이 찾아들 것임을 알고 있음에도 문득 그것이 찾아왔을 때, 세상의 모든 것과 연()을 끊어야 함을 묵묵히 받아들여야 함을 알 때, 한 인간의 고뇌가 번개처럼 내 신경계로 파고들어 전율을 일으키며 슬픔에 빠지게 한다.

 

이 소설은 철학적 사색이 빼곡하게 스며있는 소피의 세계작가인 요슈타인 가아더의 짧지만 두꺼운 사유의 기록이다. 철학자 강신주의 말처럼 두 번은 읽어야 하기에 170여 쪽의 작품은 340여 쪽의 이야기가 되는 까닭이기 때문일 것이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이라는 의지가 사용되는 근육의 점진적 작동 불능상태로 생명을 잃는 불치병의 진단을 받은 교사 알버트의 이틀에 걸친 치열한 고뇌가 흐른다.

 

알버트는 아내 에이린과 사랑을 맺었던 37년 전 우연히 찾아들게 되었던, ‘밤의 짙은 눈동자를 닮은 호수가 있는 숲속 오두막을 찾아간다. 그리곤 오두막 주인인 농부가 내놓은 오두막을 사게 되어 두 사람의 동화속의 오두막이 되고 아들과 며느리, 손녀가 찾는 가족 공동의 장소에 이르게 된 사연이 나지막하게 회상된다.

 

인간의 삶이란 옛날 옛날에...’로 시작해

결국은 어두운 밤이 주인공을 덮치는 이야기와 비슷하지 않을까?” - 75

 

그는 이미 왼 손의 근육이 경화되어 사용이 불가능해지고 곧이어 오른 쪽 손도, 나아가 신체의 모든 근육들, 호흡조차 어려워지는 시간을 생각한다. 더 늦기 전에 가족들이 몇 달에 걸쳐 내가 겪을 불명예스럽고 고통스러운 죽음의 과정을 함께 경험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는 자살을 결심하고, 오두막의 가족 방명록에 밤의 유서를 쓰기 시작한다. 사용할 수 있는 오른 손이 굳기 전에.

 


유서의 이야기들은 에이린과 첫 마주침에서 끌림과 그리고 사랑의 기억들, 아들 크리스티안이 학교에 입학하기 전 세 가족이 오두막에서 맞게 될 설렘의 기쁨들, 그리곤 손녀 사라가 남긴 백조의 그림들, 아들과 손녀 모두와 드넓은 우주의 생명체에 대해 나누었던 대화들, 아내 에이린과 만나기 전의 연인이었던 이젠 가족 주치의인 마리안네와의 사랑의 이야기들이 순수하게 흐른다. 작가는 알버트의 자살 결심과 관련하여 이들 과거의 기억들, ‘당신과 너, 사랑하는 이들에 대한 삶의 애틋함을 말하려 한 것일까?

 

그에게 시한부 삶의 선고를 내렸던 마리안네로부터 전화가 오지만 받지 않는다. 그리곤 힘겨운 고립 상태에 빠져있을 알버트에게 살아있음의 신호를 보내 줄 것을 요청하는 따뜻한 문자가 도착한다. 이어 멜버른에 생물학 컨퍼런스에 참석하고 있는 아내 에이린으로부터 사랑하는 알버트!’라로 시작되는 문자가 도착한다. 사랑하는 이들로부터의 따스한 마음들이 그의 곁에 있다. 그의 뜨거운 눈물이 뺨을 타고 흘러내린다. 깊은 좌절과 비애에 휩싸여 있는 존재, 그는 극도의 감상적 형태로 변질된 존재이다. 누군들 이를 피할 수 있을까?

 

차가운 얼음장 같은 호수, 그는 나룻배를 호수의 중간으로 몰고 나간다. 자갈과 쇠못을 허리에 가득 담은 채. 그러나 그는 이른 새벽 자신이 오두막의 2층 침실에 있음을 깨닫는다. 꿈이었나? 현실이었나? 무엇이 그를 자살에서 다시 살아있기를 요구했을까? 그에겐 새로운 가족을 세상에 내놓은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여전히 해야 할 이 남아있는 사람인 것이다. 나의 존재적 정체성은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깊고 의미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죽음의 실행을 막아선 것일까? 소설에는 그의 우주론적 사색과 생명체의 존귀함에 대한 사유가 흐르지만 이것이 곧 결행을 중지시킨 요인은 아닐 것이다.

 

몇 달이나 작별을 준비한다는 것은 길고 고통스러운 일일 것이다

그저 그 시간이 더 길어지지 않기 만을 바랄 뿐...

그 시간 동안 가족들에게 큰 짐이 되지 않기 만을 바란다.”  - 173

 

알버트는 자신의 죽음이 사랑하는 이들을 더 고통스럽게 할 것이라 생각한 것 같다. 죽음의 주체인 의 생각은 어쩌면 이기적이라 생각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는 사랑하는 사람들이 겪는 감성의 충격이 어떤 것인지 이해하였던 것 같다. 다만 길지 않게 끝나기를 바랄 뿐이다. 아마 그가   당신, 라는 존재를 만들었기에 그 책임을 회피해서는 안 된다는 자기 운명의 몫에 대한 이해였으리라.

 

나라면 이러한 시한부의 삶, 사랑하는 이들에게 수고로움을 불가피하게 초래하게 될, 죽음의 과정을 지켜보게 함으로써 가족들에게 고통을 줄 수도 있는 상황에서 어떤 결심을 할 수 있을까? 영국의 형이상학 시인 존 던(John Donne;1572 ~ 1631)’의 소네트 한 구절처럼 인간은 외딴 섬이 될 수 없다. 개개인의 인간은 대륙의 일부이자.....”라는 그 끈끈한 생의 유대 때문일까? <Time to say goodbye>로 알려진 이탈리아 팝페라 가수 안드레아 보첼리가 부르는 <함께 떠나요; Con te partirò>본 적도 산 적도 없는 곳으로 같이 떠나자는 죽은 이를 향한 애절한 이별의 사랑 노래가 떠오른다. 이 이야기의 결정은 독자의 몫이다. 아마 이 소설은 죽음 앞에 선 인간의 안타까움과 두려움의 시간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생에 펼쳐진 사랑의 이야기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