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한 행복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은 첫 문장부터 거부할 수 없는 지옥의 문틈을 들여다보려는 욕망을 부채질 한다. 아이의 말갛고 충실한 목소리에 실려 시작되는 묘사는 혐오스러워 어두운 저 심연에 수장되어있을 상상을 자극하며 도리질 치게 만든다.

 

엄마는 오리 먹이를 잘 만든다. (...) 필요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식도, 뼈를 토막내는 칼이다. 손도끼처럼 생겼고 손도끼만큼 무겁다. (...) 두 번째로 '뼈 칼'이 있어야 한다. 뼈에 붙은 살을 바르는 길고 날카로운 칼이다. (...) 손질이 끝난 고기는 찜기 두 개에 나누어서 삶는다. (...) 다 삶은 살코기는 민서기에 간다. (...) 뼈는 믹서로 간다.”

- 9~10

 

상대의 의향에 배반하지 않는 대답을 위해 자신의 모든 신체 반응까지 살피며 신중하고 순종적 답변을 해내려는 어린아이의 고통스러운 노력, 이러한 아이의 태도로부터 한 치의 결함이라도 있는지 광휘의 눈을 번떡이는 여자의 표변하는 감정을 따라가느라 소설 초입부터 쭈볏 선 머리털과 두방망이질 치는 심장을 진정시키느라 녹초가 될 정도이다.

 

세상의 어떠한 것도 자신의 통제를 벗어나는 것을 참지 못하는 여자, "결함도 결핍도 없는 완전성의 우주(115)", 완전치 못하게 하는 불행의 가능성을 제거하는 것이 행복이라 믿는 여자가 있다.  아니. 자신의 행복을 위협하는 앎에 대해 무시와 부인, 부정의 방법을 찾는다고 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나르시시즘은 이 자기기만과 무시, 눈감기라는 존재 인식의 부인과 결여의 다른 표현이지 않을까? 무지에 터 잡은 자기애세계는 자신을 위해서만 존재하여야 한다는 믿음, 그래서 모든 인간은 여자의 행복을 위해 소용되는 도구이며 수단에 불과하다.


여자, 신유나의 전 남편인 지유의 아빠가 사라졌다. 소설의 발단이다. 사라진 남자 준영의 여동생 민영, 재혼한 남편 은호, 관계가 단절되다시피 한 언니 신재인을 통해 한 여자의 모습이 조명된다.  집안의 경제적 상황으로 두 딸 중 어린 신유나는 본인의 의사와는 달리 은퇴한 조류 학자인 할아버지, 교사였던 할머니가 사는 외딴 시골마을로 보내진다. 자신이 부모와 떨어져 살아야 하는 것에 대한 반감, 할머니의 강압적 훈육이 남긴 성장기의 자기 보호에 대한 집착은 불행의 원인으로 인식된 언니 재인에 대한 증오와 배제의 감정으로 키워지고, 부모 사랑의 유일한 절대 소유자가 되기를 갈구한다. 언니의 오랜 남자 친구였던 준영을 가로 채 결혼함으로써 자매의 직접적 소통의 관계는 끊어지고 만다.


 



여자에게 결혼이란 어떤 완전성, "'행복'이라는 신화를 이루는 불가침의 왕국(235)" 건설이다. 자기 행복을 방해하는 모든 것은 없애버려야 할 대상이다. 재혼한 남편의 어린 아들 역시 여자에게는 제거해야 할 불행의 한 요인에 불과하다. 아버지도, 연인도, 남편도, 자식도, 그 어느 것도 여자를 위해 존재하기를 멈추면 그녀에게 그것은 존재 의미를 지니지 못하게 된다. 여자에게 만물은 오직 자신의 필요를 위한 일시적 수단이지 그 이상의 아무것도 아니다. 연락도 하고 지내지 않던 언니에게 불쑥 아이를 맡기고 사라졌다가는 뒷일까지 내맡겨 버리고, 어느 순간에 나타나 적반하장의 난장을 치고 사라지는, "이 아이는 인간의 외피를 가진 후피 동물인가 싶었다.(177)"는 소리가 절로 나오게 하는 인간이다.

 

"유나에게 한 번 '제 것'은 영원한 '제 것'이었다. '제 것'이 남의 손에 넘어가는 일은 용납하지 않는다. 차라리 없애버릴지언정. " -430


소설의 초입에서부터 옥죄던 긴장감은 마지막 장에 이르기까지 죽음의 신음 소리같은 되강 오리의 짖음과 안개 낀 반달 늪의 음침한 전경이 어우러져 마치 "지옥의 세계로 통하는 들창을 열어버린 기분(285)"에 휘말려 옴짝달싹 못하게 한다. 준영의 소재를 다그치던 재인이 유나로부터 듣게되는 말은 이미 소설의 무수한 암시들에 의해 알고 있음에도 "눈을 가리고 있던 무의식의 막이 한 손에 찢겨나갔다. '설마'라는 저항의 벽이 한 방에 무너졌다.(366)"는 급류처럼 쏟아져 내리는 갇혀있던 상상력 바로 그것의 끔찍함이다. 아마 작가가 펼치는 이 압도적 서사로부터 풀려나는 길은 에필로그 519쪽 마지막 문장을 읽는 순간이 되어야 가능해진다.

 

작가의 말처럼 자존감만 높은 텅 빈 자아만을 가진 나르시시스트들이 넘쳐나는 세계이다.  존재 자체를 부인하는 무시, 그리고 존재 의미에 대한 인식의 결여인 무지. 오늘 우리네 사회를 무지와 무시의 시대라 부르지 않는가?  무지에 무지할 때 악은 끝없이 이어지게 되는 것 같다이들 주변의 사람들과 세계가 얼마나 황폐화되는지, 소설 속 여자와 우리는 과연 얼마나 다르다고 말 할 수 있을까?...

 

"언제부턴가 사회와 시대로부터 읽히는 수상쩍은 징후가 있었다. 자기애와 자존감, 행복에 대한 강박증이 바로 그것이다. 미덕이지만 온 세상이 '너는 특별한 존재'라 외치고 있다는 점에서 이상하기 그지없었다."

- ‘작가의 말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