팡쓰치의 첫사랑 낙원
린이한 지음, 허유영 옮김 / 비채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작가 린이한, 林奕含 ; 1991.3.16~2017.4.27 ]

 

이 작품을 다 읽어 나가는 데는 용기가 필요하다. 혐오와 수치와 분노의 감정이 검붉게 솟구치는 것을 누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열세 살 소녀가 열여덟 살에 이르는 동안 학원 선생에게 지속적인 성 폭력이라는 거미줄에 걸려 죽어서야 겨우 풀려 날 수 있었던 참담한 실제의 이야기다. 교활함과 사악함, 타인의 고통위에 선 쾌락의 탐닉에 몰입하는 인면수심의 인간에 동조하는 사람들과 사회의 왜곡과 위선, 추한 시선들이 너무도 아름다운 언어와 문장들로 구성되어 그 감당할 무게가 더욱 지나치게 힘겹고 아프고 시리게 다가온다.

 

어린 소녀에 대한 성적 욕망을 달래던 쉰 살의 학원 강사 리궈화는 같은 아파트에 거주하는 소녀를 발견하고, 샴쌍둥이처럼 지식과 삶의 지혜를 공유하던 열세 살 동갑내기 류이팅과 팡쓰치 두 소녀와 그네들의 부모에게 작문학습을 제안한다. 계산된 접근을 통해 이 인물은 팡쓰치의 인물됨을 탐색하고, “정교하게 다듬어진 아이가 지닌 자존심”, 그로인해 절대 자신의 일을 밖으로 발설하지 않으리라는 확신을 하게 된다.

 

리궈화란 인물의 이러한 자신감은 이미 수없이 많은 여학생들을 성적 노리개로 손에 넣었던 경험을 기반으로 한다. 완벽하다 할 만큼의 천상의 미모를 한, 게다가 지적 균형까지 갖춘 열세 살 팡쓰치의 사춘기는 잔인하게 찢겨진다. 이후 리궈화는 어떤 멈춤도 없이 팡쓰치가 자신의 기억을 상실하고 미쳐버려 정신병원에 수용되기까지의 5년에 걸쳐 성적 유린을 지속한다. “이건 네 잘못이야. 네가 너무 예쁜 탓이야.”, “네 몸 위에서 스트레스를 풀고 싶어. 이건 내가 너를 사랑하는 방식이야.” 어떤 죄책감이나 부끄러움도 없는 소름끼치는 비열함 이외에는 아무런 인격도 없는 성욕에 장악된, 더러운 침을 흘리는 괴물만이 보인다.

 

리궈화에게 학원선생이란 이처럼 어린 여학생들을 수월하게 사냥할 수 있는 권력이자 수단으로 활용되고, 세상은 이런 야비함과 폭력성에 입을 다물고 외면하며, 오히려 피해자들을 조롱하고 멸시의 손가락질을 해대며, 자신들의 위선을 도덕성이라는 외피에 은폐한다.

이를테면 피해자의 호소에 감히 남의 가정을 깨뜨려? 난 너 같은 딸을 둔 적이 없어!”라든가, “넌 늙은 놈이랑 붙어먹었어!” 와 같은 반응, 혹은 SNS에 도움을 요청하는 글에, “원조교제네”, “불륜녀는 뒈져버려”, “경쟁 학원강사가 올린 글인가”, “어차피 같이 즐긴 거잖아.”처럼 범죄행위에 대한 비난이나 도움의 지원이 아니라 성적 행위만을 소비하는 행태를 보이는 것과 같다.

 

이러한 양태는 리궈화 같은 성폭력자가 사회의 어떠한 비난이나 지탄도 받지 않고 오히려 옹호되는 사회적 양식 때문이기도 하다. 소설의 이 문장은 지금 우리 한국사회에 벌어지는 모습과 그리 달라 보이지 않는다.

성을 금기시하는 사회 분위기가 그에게는 최고의 방패였다. 여학생을 강간해도 세상은 그게 그녀의 잘못이라고 했다. 심지어 그녀 자신조차 자기 잘못이라고 생각했다. 죄책감 때문에 그녀는 그의 곁으로 돌아왔다. 죄책감은 아주 오래된 순수 혈통의 양치기 개였다.”(P123에서)

 

이러한 사회의 성적 무지와 편견, 곡해는 여성 스스로가 만들어내기도 하는데, 팡쓰치의 책 읽기를 도우며 세상의 지혜를 나누어주던 이원이라는 또 다른 형식의 피해자인 여성의 주위에서도 발견된다. 폭력적인 여성편력으로 결혼을 하지 못하는 첸이웨이라는 남자의 배우자로서 자신의 딸은 절대 안 된다고 하면서도 이원을 중매하는 행위에 도사린 타인의 고통에 대한 외면의 심리이다. 또한 팡쓰치가 자신의 어머니에게 하는 우회적인 성폭력의 시사에 성교육이라니? 성교육은 성이 필요한 사람한테나 하는 거야. 교육이란게 다 그렇지 않니?”라며 외면하는 태도도 여성의 성적 피해를 방조하고 있음을 피할 수 없는 듯하다.

 

사랑을 배워야 할 어린 소녀 팡쓰치에게 가해진 성폭력은 사랑으로 둔갑하여 죄책감과 죽음의 그림자를 드리운 자기 파괴의 혼란으로 내몰고, 마침내 정상적인 삶이 불가능한 고통에 매몰시켜 버린다. 아무도 그녀를 구원해 줄 수 없을 때, 리궈화에게 말한다. 자꾸 기억을 잃어버린다고, 꿈과 현실의 경계를 알 수 없는 지경이 되었다고, 병원에 데려다 달라고 애원한다. 이때 괴물의 환호하는 내심을 읽게 되는 것은 그야말로 혹독한 수치와 분노에 휩싸이게 한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 중 하나가 바로 피해를 당하고도 자책하고 죄책감을 느끼는 것이었다. 그는 속으로 쾌재를 불렀다. ‘이보다 더 좋을 수가 있을까?’” (P192에서)

 

사람들은 타인의 고통에 대한 일말의 상상력도 없었다고 되뇌는 팡쓰치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다보면, 바로 1년 전 오늘인 2017427일 생을 마감한 이 소설의 작가 린이한이 남긴 후기가 사무칠 만큼 아프게 새겨진다. “다 쓰고 난 뒤에 보니 가장 무서운 건 내가 쓴, 이 가장 무서운 일이 정말로 일어났던 일이라는 사실이에요.” 나는 책장을 덮고 이 이야기가 실제가 아니라 소설이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할 뻔 했다.

 

이 세상에 한 사람을 완전히 파멸시키는 고통이 있음을 매양 잊어버리는, 혹은 알지 못하는 나와, 우리들, 그리고 사회의 망각과 무지를 깨닫는다. 아마 지금 어디선가 신음하며 고통을 호소할 곳이 없어 잠 못 이루며, 눈물 흘리는 소녀와 여성들이 있을 것이다. 그것은 결코 그녀들 혼자 느낄 죄책감도 아니며, 수치도 아니라고, 그것은 정작 왜곡하고 외면하며 무관심했던 나와 우리들, 사회가 짊어져야 할 책임이라고 말해주고 싶다. 더 이상 상처받지 말라고 말해주고 싶다. 그리고 미안하다고. 이처럼 아름다운 문장을 썼던 작가의 영면(永眠)이 더욱 안쓰럽고 안타깝기만 하다. “세상 그 어떤 팡쓰치든 소비될까 두렵다던 유언 같기만 한 작가의 말을 진정 소중하게 지켜주고 싶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