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도신사 아르센 뤼팽 - 최신 원전 완역본 아르센 뤼팽 전집 1
모리스 르블랑 지음, 바른번역 옮김, 장경현.나혁진 감수 / 코너스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리문학의 고전이자 바이블을 꼽자면 <셜록 홈즈>시리즈와 <아르센 뤼팽>시리즈를 들수 있다. 둘다 탐정과 괴도라는 추리소설의 전형적인 이미지를 구축했으며, 지금도 여전히 영화와 뮤지컬, 그리고 드라마에서 재생산되고 재해석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셜록 홈즈>시리즈는 최근에 영드 <셜록>을 통해 현대적으로 각색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슷한 모티브를 가지고 만들어진 영화와 노래도 있을 정도로 여전히 인기있는 콘텐츠이다. (아마,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을 것이다.) <아르센 뤼팽> 시리즈 역시 이에 뒤지지 않는다. 비록, <셜록 홈즈> 시리즈보다는 유명세가 약간 낮다고는 하지만 영화와 뮤지컬 등을 통해 여전히 우리에게 소개되고 있는 인물 중 하나다. 특히, 검은 모자와 망또를 걸치고 안경을 쓴채로 미소짓는 그의 모습은 전형적인 괴도 신사의 모습으로 사람들에게 각인되고 있다.


이번에 읽은 책은 <아르센 뤼팽>시리즈의 첫번째인 <괴도신사 아르센 뤼팽>이다. 9개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아르센 뤼팽, 체포되다.

○ 감옥에 갇힌 아르센 뤼팽

○ 아르센 뤼팽, 탈옥하다

○ 불가사의한 여행객

○ 왕비의 목걸이

○ 하트7

○ 앵베르 부인의 금고

○ 흑진주

○ 헐록 숌즈, 한발 늦다


첫 번째 단편은 화자가 아르센 뤼팽과의 만남을 떠올리는 부분인데, 아름다운 넬리양과의 만남과 의도적으로 체포되는 장면을 담고 있다. 도둑이라기 보다는 스마트하고 매너있는 멋진 남자로서의 모습이 부각되는데, 두 번째 단편과 세번째 단편에서의 영리한 탈옥 장면과 맞물려 그의 천재적인 면모를 더욱 부각시킨다.(아마도 이런 점 때문에 사람들이 지금도 뤼팽의 이미지를 차용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다음에 소개되는 단편인<불가사의한 여행객>과 <왕비의 목걸이>에서는 괴도와 도둑이 아닌 정의의 사도이자 기사도 정신을 소유한 유럽 신사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짧지만 주인공의 이미지를 구축해나가는 과정으로 보여지는 부분이다.


여섯번째 단편인 <하트7>은 조금 긴 단편이라 할 수 있는데, 그가 단순히 탐정과 괴도의 역할을 뛰어넘어 프랑스의 국익에 도움을 주는 <로빈 후드>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 부분이다. 특히 이 단편은 당시 유럽의 정세와 사교계의 모습도 같이 묘사되고 있어서 더욱 재미있었던 부분이다. 마지막 단편인 <헐록 숌즈, 한발 늦다>에서는 세기의 명탐정이자, 영원한 숙적인 숌즈(아서 코난 도일의 셜록 홈즈)를 등장시켜 그와 맞대결하게 하는데, 결론적으로 뤼팽이 승리한다. (하지만, 숌즈가 일방적으로 진게 아니며, 뤼팽 역시 승리했다기 보다는 한발 빨랐다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이다. 속사정이 궁금한 독자들은 읽어보면 될것 같다.) 물론 뤼팽이 무조건 이기거나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앵베르 부인의 금고>에서는 뤼팽 역시 멋지게(?) 당하는 장면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끝으로 왜 셜록 홈즈가 아니라 헐록 숌즈인지 궁금한 독자들도 있을 듯 한데, 이 부분은 2권의 리뷰에서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2권 <아르센 뤼팽 대 헐록 숌즈>에서는 두 사람간의 본격적인 추리 대결이 펼쳐지게 되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