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찰모형 스핑클
신병철 지음 / 웅진윙스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SPINKRE : 구체적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의도를 갖고, 기존 지식을 재조직화하는 방법. 이를 통해 통찰적 해결책을 탐색할 수 있다.
이 책은 Marketing Scientist 라고 불리우는 신병철씨가 지은 통찰의 방법에 관한 책이다. 책의 부제 처럼, 세상이 아직 발견하지
못한 비지니스를 찾아내어 선점하는 방법을 스핑클 기법을 통해 도와주는데, 스핑클 기법은 저자가 개발한 통찰 모형이라고 한다.
예전에 저자가 지은 삼성과 싸워 이기는 전략이라는 책을 읽었던 적이 있는데, 이 책의 문체를 읽으면서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어
기분이 묘했다. 시간이 지나도 책에서 드러나는 저자의 문체는 숨길수 없다는 생각이 잠깐.. 들었다.
스핑클 모형에 대해 소개하기 전에 먼저, 생각의 선순환이라는 점에 대해서 얘기해 보도록 하자.
21세기가 창조적인 상상력이 세상을 이끌어 나가는 경쟁력이라는 건 귀에 딱지가 생기도록 자주 들은 이야기이다.
우리가 원하는 건 과연 그러한 상상력, 즉 통찰을 어떻게 하느냐 하는 방법론적 물음에 대한 해답이고..
저자는 먼저 단서중심적 사고라는 것을 이해하라고 말한다. 그럼, 단서중심적인 사고는 무엇인가? 간단히 말하자면, 별 생각없이
생각하고 답을 내리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의사결정은 생각보다 우리 주변에서 너무나도 자주 이루어지고 있고..
사람의 외모만을 보고 판단을 내리거나, 주변의 피상적인 단서에 의존하여 답을 추론하며, 즉각적인 반응에 의해 구매하곤
한다. 물론, 이는 때로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통찰을 하려는 우리들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단서중심적
사고를 역이용하는 머리와 분석력이 필요한 것이다.
예전에 마케팅 교육을 받았을때 강사님께서 해주신 말이 있다. 바로 마케팅은 사고의 과정을 단순화하여 자신의 상품을 고민없이
구매하게 하는 것이라고. 내비게이션이 고객을 바보로 만드는 것이 최우선과제인 것처럼, 이같은 단서중심적 사고는 마케팅
관리자 및 신사업기획자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요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이제 저자가 말하는 스핑클 모형의 대략적인 개요를 알아보도록 하자. 가장 중요한 건 당면한 과제를 정의하고 발견하는
작업에서 시작된다. 결핍과 모순 등을 발견함으로써 해결책을 찾아가는 것인데, 책에서는 다양한 사례와 함께 스핑클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나는 특히 두가지 상품이 인상적이었다. 하나는 폭스바겐의 컨셉트카가 선보인 이동가능한 트렁크였다. 마치, 여행용 가방처럼 트렁크
부분을 이동할수 있도록 되어 있었는데, 깔끔한 디자인과 함께 실용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음은 뚜껑을 여는 형식의 드럼세탁기가
아닌 서랍처럼 열게하는 세탁기였다. 리즌워싱머신이라는 사이트에서 경매로 판매한다고 하는데, 정말 신선한 제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모두 스핑클이라는 통찰 모형을 통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하여 답을 얻은 결과물들이었다.
이러한 통찰의 방법하의 결핍의 발견과 해결의 방법 중 "제거"에 대한 카테고리도 인상적이었다. 모두다 담으려 하지 말고, 과감히
없앨것은 없애라는 저자의 말은 넷북과 초콜릿폰과 같은 상품의 히트를 설명하게 하는 요소였다.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것은 모든것을
담아야 한다는 착가에 빠지기 쉬운데, 이러한 제거의 중요성을 생각해 본다면 아마도 다른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보았다.
이어서 모순의 발견과 해결 파트에서도 좋은 이야기들을 접할 수 있었다. 특히 나는 맥도날드에 대한 이야기가 인상적이었다.
한때 맥도날드는 햄버거 고기에 지렁이 고기를 넣었다는 괴소문에 휩싸였다고 한다. 정말 사장으로는 펄쩍 뛸 노릇이 아닐수 없다.
아니라고 할때마다 지렁이고기 사건 = 맥도날드라고 고객들에게 인식되고, 그대로 방치하자닌 괴소문이 신경쓰여 견딜수가 없고
말이다. 하지만 맥도날드는 이러한 악소문을 감자튀김과 밀크쉐이크 상품 홍보를 통해 극복해 나갔다고 한다. 즉, 지속적인 괴소문에
일일히 답하는 것 보다는 새로운 진실을 통해 고객들의 발걸음을 돌리게 한 것이었다. 이는 마케팅 뿐만이 아니라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좋은 교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스큐드_한쪽으로의 치우침_를 해결하는 방법까지 설명하면서, 스핑클 통찰모형에 대한 설명을 마무리한다.
우리는 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문제점과 과제에 맞딱드린다. 이제 우린, 이러한 고민들을 스핑클 모형을 통해 해결해 보는 일만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