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1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연말 연시가 되면 출판계에서는 매년을 정리하고 다음해를 예측하는 신간도서가 많이 쏟아져 나온다. 최근에는 다양하 경제연구소와 민간 경제단체 그리고 각종언론과

출판사에서도 다양한 예측도서를 발간하고 있다. 이번에 내가 접한 도서는 그 중에서도 서울대 생활과학연구소 소비트렌드분석센터에서 출간한 "트렌드 코리아 2011"

이다. 이 책은 특이하게도 해마다 독특한 키워드를 선정하여 해당 이니셜마다 트렌드에 대한 내용을 넣어 두었다.

 

저자가 말하는 2011년은 바로 두마리 토끼의 해라고 한다. Two Rabbits~!!

말 그대로 둘다 잡아라는 뜻이다. 즉 하나가 아닌 상반되고 모순된 이면을 모두 다 캐치해야만 하는 시대라는 것이다. 청순글래머로 불리우는 베이글녀 여인들.

타인에게는 차갑지만 한사람에게는 따스한 차도남, SNS와 같이 개인 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됨과 동시에 개인정보보안이 더욱더 중요해진 인터넷 세계까지..

 

잘 생각해보니 저자가 핵심을 정말 잘 짚은게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이미 수많은 IT업계 및 패션 업계가 한국의 베타 테스터 시장으로 여기고 있으며,

한국 소비자의 다양하고 민감한 트렌드에 맞추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할 정도로, 이미 한국은 다양한 트렌드와 욕구가 뒤섞여 있는 세상이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들었다.

 

책에서는 먼저 2010년을 정리하고 2011년에 대한 트렌드 분석을 하고 있는데, 나는 그중에서도 신조어로 돌아본 2010년이 맘에 들었다.

사실 한동안 연예 프로그램이나 쇼 프로 및 드라마 시청을 멀리하고 있어서 이러한 신조어들이 이렇게 많이 쏟아졌을 줄은 몰랐었는데, 정말 다양한 어휘들이 있었다.

남성과 여성과 관련된 차도남, 차도녀, 베이글녀, 반들녀와 중2병, 언프렌드, 미친존재감과 같은 인터넷에서 자주 보는 용어들에 대한 설명도 자세하게 나와 있었다.

신문이나 인터넷을 하면서 한번 정도는 보긴 했었는데, 책을 통해 자세히 알게 되었다.^^

 

나 같은 경우 SNS와 스마트 기기를 비롯한 IT기술과 환경의 변화에 대해 관심이 있었는데, 역시 그부분에 대한 언급도 빠지지 않았다.

읽다 보면 코글링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몇년 전부터 회자되고 있는 특정인에 대한 신상털기의 실상에 대해 소개되어 있어서 많이 놀랐다.

이미 타블로 학력과 관련하여 사실 무근의 이슈들이 쏟아진 사건 등이 바로 그러한 예가 아닐까 하고 생각해 보았다.

 

또한 저자가 생각하는 스마트의 개념이 나오는데, 한번 눈여겨 보면 좋을 내용인거 같아서 소개해 본다.

 

이제 스마트하다는 단어는 사전적인 의미의 똑똑함만을 뜻하지 않는다. 전후 맥락을 파악하고 상황에 적합한 생각과 행동을 하는 정의로움과 합리성까지를 내포한다.

스마트한 소비자들을 감동시키기 위해서는 아주 사소한 것에서 출발하지 않으면 안 된다. 기업 경영의 모든 과정은 투명하고 공정하며 사회적이어야 한다. 지혜로운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춘 지혜로운 기업 활동이 요구된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기상 보험에 관한 내용도 눈여겨 볼만 했다. 이미 일본에는 벚꽃 행사시 날씨가 좋지 않아서 손님이 감소할 경우 그 부족분을

채워주는 보험까지 등장했다고 하니, 이젠 날씨 마케팅을 너어서 가히 기후 산업이라 불릴만 했다.

 

그 외에도 휴가에도 자신의 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직장의 모습과 스펙열풍으로 묘사되는 현실과 스타마케팅의 모습 등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묘사되고 있다.

 

책장을 덮고 나니 한 시대의 트렌드가 어느정도 머릿속에 정리된 느낌이 들었다. 물론 개인 사업을 하면서 새로운 창업 아이템을 찾는 분이나 대기업에서 신상품을

개발하고 마케팅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러한 자료는 1차자료 또는 보조도구로 사용되어야 하겠지만, 일반인이나 학생들에게는 좋은 트렌드 지침서가 되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아직 다가오지 않은 2011년을 미리 경험해 본것만 같은 즐거움을 느낀게 가장 좋았었고.

이젠 내년을 기대하는 것만 남았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