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에서 만난 도시의 미래 -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도시재생 이야기
김정후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쇠락한 도시가 다시 번영의 길로 들어설 수 있을까? 어렵긴 하겠지만, 역사와 전통 그리고 도시의 어메니티가 살아있다면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폐공장 부지가 멋진 카페와 문화전시공간이 되고, 버려졌던 부지에는 초고층 건물과 멋진 주상복합공간이 들어서는 것처럼 말이다. 낙후된 거리는 리모델링과 인테리어를 거쳐 젊은이들이 다시 찾는 공간이 되기도 하고, 2차 산업의 쇠퇴로 비어있던 건물에는 IT 서비스 업체가 새로이 들어서기도 한다. 물론 그 과정에서 무계획적인 스카이라인이 등장하기도 하고,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원주민들이 타지로 축출당하기도 하며, 옛 마을의 정체성에 기반하지 않은 개발로 주변과 어울리지 않는 건축물이 들어서는 경우도 있다.

2. 이번에 읽은 <런던에서 만난 도시의 미래>는 이처럼 거대하고 화려한 도시의 이면에 숨겨진 곳곳의 쇠퇴한 흔적들을 도시 재생으로 반전시킨 모습들을 담고 있다. 런던은 이미 오래전부터 도시재생을 차근차근 진행해 왔지만 그 모든 것들이 성공한 건 아니었다고 한다. 저자 역시 이 책에 소개된 열 가지 사례를 성공담이 아닌 교훈적 사례로 평가함이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독자들은 다양한 사진(영드에서 한 번씩 보았던 장면들도 있다...) 들과 재미난 이야기 속에서 보행 중심의 공공 공간과 시민들의 우선한 건축물의 설계와 배치라는 점을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3. 사우스뱅크 일대의 강변 산책로에서는 시민들의 여유로움과 도시에서의 휴식처를 갖게 되고, 테이트 모던에서는 역사적이면서도 예술적인 무언가를 도시 속에서 배울 수 있게 된다. 단순해 보일 수도 있지만 밀레니엄 브리지를 통해서는 건축물을 통해서 화합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영드나 영화 속에서 자주 봤던 런던 시청의 모습도 흥미롭다. 우리나라의 서울시청처럼 비판도 많이 들었다고 하는데, 지금에 와서는 시민들의 편안한 휴식공간이자 도심 속 명물이 되었다는 점에서는 한국의 서울과도 비슷한 면이 있는 듯하다.

4. 계단 형태로 지어진 테라스형 주상복합 건물도 인상적이었다. 내 기억이 맞는다면 영화에서도 본 듯한데, 이 역시 리노베이션을 통해 새롭게 태어난 곳이라고 한다. 쇠퇴했다 하더라도 역사와 전통, 그리고 그것을 살릴 자본(?)과 멋진 콘텐츠만 있다면 다시 부활할 수 있음을 보여준 장면이라 생각된다. 우리나라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런던 브리 지역(기차역)과 킹스크로스 광장의 재생 사례도 눈에 들어온다. 여기에서도 보행자 중심의 열린 공간 설계라는 테마가 녹아들어 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 책의 표현을 빌리면 - 최고의 역세권과 핵심 공간으로 발돋움했다고 한다. 저자의 말처럼 런던은 끊임없이 진화하는 도시라는 표현이 정말 맞는 듯하다.

5. 이 책의 저자인 김정후 님은 경희대 건축공학과에서 학부와 석사 과정을 마친 뒤, 영국으로 건너가 런던정경대학에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으셨다고 한다. 그 후에는 한국과 영국을 넘나들며 도시재생, 건축, 디자인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계시며, 최근에는 현대카드가 후원하는 도시재생 관련 연구 책임을 맡아 진행 중이라고 한다. (예전에 내가 재미있게 읽었던 '발전소는 어떻게 미술관이 되었는가'의 저자이시기도 하다.) 앞으로도 도시 재생과 관련된 다양하고 재미난 이야기를 또 들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