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 따지는 양반들 가운데는 아직도 남인 노론 타령하는 이들이 있다.오다가다 들은 얘기 중 인상 깊은 것은정철은 지옥 갔을 거라고. 무고한 사람들을 너무 많이 죽여서.그게 기축옥사다.내가 볼 때는 선조가 악의 축 같은데.정여립과 연관된 사람들은 다 죽였다. 수천 명이다.고문하면서 죄를 묻는 국문 도중, 나란히 선 신하 중에 눈병이라 눈물 흘린 사람을 죄인 동정하니 한 패라고 바로 죽이기까지 했다.중언부언이 많긴 한데읽을 만하다.이제 정여립이 이이의 제자로 들어갔다가 이이 사후 돌아서 비판의 선봉에 섰다.
“사소한 어려움을 흔히 있을 수 있는 일, 무의미한 일로 이해하기보다 거기에 집착하게 만들어 바깥세상에서 일어나는 중요한 일보다 우리 내부에서 일어나는 사소한 불평거리로 에너지와 집중력을 돌려버린다.”“식품의약국 규정에 따르면, 어떤 약을 효과적이라 간주하기 위해서는 표적 집단의 대부분이 증상 개선을 경험해야 한다. 생리전증후군이 정말 뚜렷한 원인이 있는 확실한 장애라면 여성들 다수가 개발된 치료제의 혜택을 누려야 한다. 하지만 생리전불쾌기분장애 치료제는 누가 봐도 그런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 그럼에도 여성들에게 스스로가 아픈 사람들이고 하루에 알약 한 개씩만 복용하면 나아질 거라고 납득시키면 막대한 시장이 생겨 수십억 달러의 이윤을 챙길 수 있게 된다.”“생리전증후군 신화의 어마어마한 저력(실체를 뒷받침할 증거가 전혀 없음에도)은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으며, 이는 여성들이 ‘교활하고’, ‘타인을 마음대로 주무르고’, ‘히스테리를 부리고’, ‘억지를 부리는’ 존재라는 문화적 확인이다.”
“생리 주기가 여성의 정서적 안정을 엉망으로 만든다고 믿는데 이는 여성 모두(혹은 다수)가 경험하기 때문이 아니라 생리전증후군을 겪는 여성이 ‘막무가내인 못된 년’이라 자기 행동에 책임도 못 지는 존재라는 설정을 대중문화를 통해 너무 많이 봐서 그렇다. 이 때문에 유해한 고정관념이 조장되어 우리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 장에서 지금껏 설명했듯 사회는 곳곳에서 이런 메시지를 평생 주입한다. 그러니 우리가 믿지 않는 게 이상할 지경이다. 그렇게 호르몬 신화는 시작되었다.“
요즘은 관념으로서의 통일도 언급조차 하지 않는 세상이다.김규동 시인의 고향은 함경북도 종성. 북한에서도 북쪽 끝.1925년생으로“규천아, 나다 형이다”*규천은 1948년 1월 평양에서 헤어진 아우 이름. - 천, 33쪽.시집이 나온 2005년 당시 여든이 된 시인이 57년 전에 고향을 떠났으니,시인에게 통일은 간절한 소망이다.문단의 유명한 문인들과 얽힌 얘기가 많다. 북에서 부수상 하면서 임화 등의 숙청을 막지 못한 홍명희를 꾸짖는 기개가7-80년대에 반독재 운동을 한 밑바탕이 되었을 것이다.그래서 창비 쪽의 추모가 시전집, 추모 수필집의 간행으로 이어졌다.남이고 북이고“희망이 행동에서 왔다면죽음을 초극하는한 시대의 행동은 다 어디로 빠져나갔나.“ - 운명 앞에서, 124쪽통렬한 비판이다.아래 시에서 자본의 노예로 살면서 저승에서 부자가 되겠다고 외치는 춘삼이가 낯설지 않다. 아니 21세기 지구촌의 시민들 모습이 아닌가.“춘삼이는소주 한잔 마실 때가한나절 중가장 기쁘다…일 시키는 아주머니는상냥하게 대했으나속으로는 기르는 두 마리 개보다도낮추보던 것이다하지만품삯을 탈 때는머리를 숙여 고마움을 표시했다 공손하게 구는 게 득이지괜히 우쭐대다간 다시 불러주지도 않을 게다 품팔이 생활 수십년에 배운 것이란 노임 앞에서 마냥 겸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저승에 가서는나도 무시무시한 부자가 되고 말 것이다 두 주먹 불끈 쥐며 밤하늘에 대고 춘삼이가 외는 독백이 번개같이우면산 능선 위를 달린다.“ - 노임을 받을 때, 106-10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