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릅나무에게
김규동 지음 / 창비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관념으로서의 통일도 언급조차 하지 않는 세상이다.
김규동 시인의 고향은 함경북도 종성. 북한에서도 북쪽 끝.
1925년생으로

“규천아, 나다 형이다”
*규천은 1948년 1월 평양에서 헤어진 아우 이름.
- 천, 33쪽.

시집이 나온 2005년 당시 여든이 된 시인이 57년 전에 고향을 떠났으니,
시인에게 통일은 간절한 소망이다.

문단의 유명한 문인들과 얽힌 얘기가 많다.
북에서 부수상 하면서 임화 등의 숙청을 막지 못한 홍명희를 꾸짖는 기개가
7-80년대에 반독재 운동을 한 밑바탕이 되었을 것이다.
그래서 창비 쪽의 추모가 시전집, 추모 수필집의 간행으로 이어졌다.

남이고 북이고
“희망이 행동에서 왔다면
죽음을 초극하는
한 시대의 행동은 다 어디로 빠져나갔나.“
- 운명 앞에서, 124쪽
통렬한 비판이다.

아래 시에서 자본의 노예로 살면서 저승에서 부자가 되겠다고 외치는 춘삼이가 낯설지 않다.
아니 21세기 지구촌의 시민들 모습이 아닌가.

“춘삼이는
소주 한잔 마실 때가
한나절 중
가장 기쁘다

일 시키는 아주머니는
상냥하게 대했으나
속으로는 기르는 두 마리 개보다도
낮추보던 것이다
하지만
품삯을 탈 때는
머리를 숙여 고마움을 표시했다
공손하게 구는 게 득이지
괜히 우쭐대다간 다시 불러주지도 않을 게다
품팔이 생활 수십년에
배운 것이란
노임 앞에서 마냥
겸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저승에 가서는
나도 무시무시한 부자가 되고 말 것이다
두 주먹 불끈 쥐며
밤하늘에 대고
춘삼이가 외는 독백이
번개같이
우면산 능선 위를 달린다.“
- 노임을 받을 때, 106-10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