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섭 평전 - 한국미술사의 선구자
이원규 지음 / 한길사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궁금했었다.
천천히 꼼꼼히 삶을 톺아본다.
어쩌다 한국미술사를 공부하게 되었는지는 야나기 무네요시의 글을 읽고 자극받았으리라는 추측이 있다.

막 약혼을 하려고 하는 때까지 읽었다.
한 해에 44명만 입학할 수 있던 경성제대에서 예과를 마치고 미학을 전공하려고 한다. 동기인 국어학자 이희승의 기억에 따르면 경성제대가 없어지는 1945년까지 미학 전공자는 그 뒤로 일본인 1명밖에 없었다고 한다. 필자가 한 명 찾아냈다. 그래도 둘 뿐인 미학 전공자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25-01-04 2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야나기 무네요시라는 분이 있었기에
우리 문화와 예술과 전통을
우리 눈빛을 틔워서 일구는 분이 꽤 많이 태어났습니다.

고유섭 님뿐 아니라, 예용해 님과 한창기 님도
‘유종열‘이라고 한국이름까지 지어서 쓴 야나기 무네요시 님이 일군 ‘민예관‘과
숱한 글을 바탕으로 삼아서 배웠다고 여길 수 있으니까요.

dalgial 2025-01-05 19:35   좋아요 0 | URL
예. 한국미술사에서 빠지면 섭섭할 정도의 지분이 있지요. 다만, 조선 예술을 ‘비애의 미학’으로 본 것은 비판받아 마땅합니다.

숲노래 2025-01-07 1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선미술을 ‘비애의 미학‘이라고 말한 이는
야나기 무네요시가 아닌,
˝야나기 무네요시를 싫어하는 한국미술가˝가
만들어낸 프레임이라고 느낍니다.

야나기 무네요시가 남긴 책을 서른 해 남짓 읽으면서
이이가 조선을 ‘비애의 미학‘으로 단정하지 않은 줄
여러모로 느낍니다.

dalgial 2025-01-07 13:42   좋아요 0 | URL
그런가요? 유종열씨 책을 읽어보지 않았으니, 읽어보고 말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