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 바로 지금 여기에서, 고유명사로 산다는 것
최진석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저자 : 최진석

옮긴이 :  

출판사 : 위즈덤하우스

읽은날 : 2015/04/27 - 2015/04/29


최진석 교수님은 플라톤 아카데미 특강에서 알게 되었다. 

주체적 인간에 대해서 강의하시던 모습이 참 멋있었다. 이 분이 노자 사상을 전공했다는 건 나중에서야 알았다.

그리고 그 교수님이 노자인문학에 대한 책을 내셨다.

보통 도가 사상이라고 해서 노자와 장자를 한데 묶는 적이 많은데 사실 노자와 장자의 사상은 많이 다르다고 한다.

노자가 도덕경을 써놓고 은둔의 생활로 들어갔지만 사실 도덕경은 통치술의 하나로 보아야 한다.

유교가 통치자를 위한 철학인것 처럼 노자의 사상도 통치자가 어떻게 해야 천하를 얻을 수 있고, 유지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기록한 책이다.


유학이 덕을 명시화 하여 그렇게 살아가기를 강요하는 반면 노자의 사상은 무엇을 정의하지 않는다.

무엇인가를 이데올로기화 하면 결국 이 기준은 사회를 구분하고 배제하며 억압하는 장치가 된다고 주장한다. 

노자의 눈에 보기에 모든 가치는 중립적이라고 한다. 이는 기준이 비록 선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기준으로 행사되는 한 폭력을 잉태한 장치일뿐이라고 주장한다. 

절대가 없다는 포스트 모더니즘으로 보아도 되는 걸까?

그래서 현대 철학자들이 노자에게 주목하는지도 모르겠다.

저자인 최진석 교수님도 현대철학에서 주목하는 노자에 대해서 여러번 이야기한다. 


책은 강연체로 쓰여있어서 쉽게 쉽게 읽으면서 넘어갈 수 있다. 

그런데 한가지 의문이 든다. 노자의 말대로 모든 것이 가치중립적이라고 하면 선과 악은 없다는 것인데, 그게 맞는 것일까?

사회적 약자가 짓밟히고 인간성을 말살시키는 사람들이 실제 있는데 그런걸 가치중립적으로 볼 수 있을까?

역시 나는 포스트 모더니즘은 아니고 잘해야 모더니즘정도 되는 사람인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 유시민의 30년 베스트셀러 영업기밀
유시민 지음 / 생각의길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저자 : 유시민

옮긴이 :  

출판사 : 생각의길

읽은날 : 2015/04/20 - 2015/04/26


믿고 보는 유시민의 책.

이번에는 생뚱맞은 글쓰기 특강이다. 

이때까지 유시민은 정치나 역사쪽 관련 책을 많이 집필했다. 그리고 그의 생각은 내가 지향하는 바와 잘 맞았다.

난 유시민의 글을 좋아한다. 

그의 글은 읽기가 쉽다.무엇을 이야기하는 지를 명확하게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 논거를 대고, 논리를 펼쳐나간다.

조금만 주의깊게 읽으면 그가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지식 소매상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처럼 그는 독자들에게 책을 팔 줄 아는 사람이다.

그런 그가 자기가 그동안 써온 글쓰기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다.

글쓰기와 관련해서 많은 책들이 이미 나와있는데 글잘 쓴다는 유시민이 한권을 추가한 셈이다.


목차만 봐도 어떻게 내용이 전개될 것인지 대충 예측이 된다.

처음에 논리적 글쓰기를 할때 꼭 지켜야할 마음가짐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취향고백과 주장을 구별해야 하고, 주장은 반드시 논증해야 한다는것. 주장을 사실처럼 취급하지 말라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주제에 집중해야 한다는것.

이후 글쓰기의 방법론이 뒤를 잇는다. 요약을 잘하라든가 주제를 분명하게 드러내라는 등 기본적인 글쓰기의 방법론이 나온다. 

유시민은 지속적으로 책읽기를 강조한다. 많이 읽고 어휘가 풍성하지 않고서는 좋은 글쓰기를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너무나 당연한 말이지만 독서하지 않고 마구 내뱉어지는 글을 많인 본 나로서는 이 말에 깊이 공감한다.

이후에 피해야 할 내용이 나온다. 가장 대표적인 일본말과 서양말에 오염된 글들이 나온다. 

이건 정말 치명적이다. 오염된 글을 읽으면서 이상해야 하는데 이상하게 느껴지지 않을만큼 이 부분에 취약해져있다.

아무래도 좋은 글을 많이 읽어서 이런 글이 이상하게 느껴지게 해야 할 것 같다.


이 책은 실용서이다. 실용서는 읽는 목적이 있다. 

이 책을 통해서 원하는 것을 충분히 얻을 수 있는가?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제 글을 써보고 좋을 글을 많이 읽어보자. 

글쓰기는 훈련해서 글쓰기 근육을 늘려야 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떻게 시편을 읽을 것인가? 어떻게 읽을 것인가? (IVP) 4
트렌퍼 롱맨 III / IVP / 198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 어떻게 시편을 읽을 것인가

저자 : 트렘퍼 롱맨3

옮긴이 : 한화룡 

출판사 : IVP

읽은날 : 2015/03/10 - 2015/04/19


나처럼 감수성이 둔한 사람에게 시는 정말 넘을 수 없는 산이다.

중,고등학교때는 정말 시가 싫었다. 시를 읽고나서 문제를 풀면 맞는게 거의 없었다.

유일하게 맞출 수 있는건 저자에 대한 약력정도..

이 시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어떤 느낌이 드는지에 대한 부분은 도저히 이해를 할 수 없었다.

심지어 답을 봐도 이해가 되지 않았다.

이런 경험은 커서도 시를 멀리하고 쳐다보지 않게 되었다.

그런데 성경에도 시가 있다. 그것도 제일 길게...

어려서부터 외웠던 시편 23편이나, 100편, 150편정도가 좋지 다른 시편들은 그냥 산문 읽듯이 읽어가는 거지 거기에 있는 감정등은 사실 마음에 와 닿지 않았다.


이 책은 그런 나에게 감정적으로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책이다. 그러나, 시를 어떻게 구성하고, 해석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도움이 된다. 시편에 대한 설교나, 감상은 많이 있지만 이 책처럼 시편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어떻게 읽어가야 하는지에 대한 책은 없다.

이 책을 읽어보면 시편을 해석할 때 많은 전문가들도 혼란을 겪는것 같다. 시편을 소우주라고도 하고, 성경전체의 축도라고 부르기는 하지만 결국 그건 하나님에 대한 찬양이 담겨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사실 시를 이렇게 분석한다는 것이 가능할까라는 생각도 들지만 이런 접근도 나름 시를 새롭게 볼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싶다.


시라는 것이 일단 작가의 손을 떠나면 독자의 마음에 와 닿는대로 이해되고 해석되는 것이라 작가의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읽기나름이라 할 수 있지만 시나 그림은 작가의 생각을 먼저 알 수 있었드면 참 좋겠다.

큐레이터보다는 작가가 들려주면 더 좋지만 작가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살아있지도 않으니 나같은 초보다들에게는 이런 책을 통한 분석적 방법도, 또 설교집을 통한 감성적 방법도 다 필요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런던; 프리 - 솔직한 도시 런던에서 공짜로 즐기는 자유
이미정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제목 : 런던프리

저자 : 이미정

옮긴이 : 

출판사 :중앙북스

읽은날 : 2015/04/15 - 2015/04/17


여행책자는 참 재미있다. 우선 쓰는 사람마다 보는 시각이 많이 다르다.

자기가 꽂힌 것을 많이 보고 쓰다보니 같은 장소를 봐도 다른 이야기를 많이 풀어나갈 수 있다.

이 책은 잡지사에 다니던 한 여성이 1년간 런던에 살면서 쓴 책이다.

젊은 여성이 보는 감수성과 패션에 대한 생각에 더하여 잡지사라는 컨텐츠 생산능력이 결합하니 이 책은 마치 런던을 패션잡지사의 큐레이션 장소로 만들어 놓았다.

이곳에 쓰여있는 많은 전시장은 사실 유명하지 않은 곳들이다. 그럼에도 한번 가서 구경해보고 싶어지게 만든다.

오래된 동네답게 수없이 많은 벼룩시장과, 페스티벌들... 한번은 돌아다녀야 런던에서 산다는 말을 해볼 수 있을것 같다.

물론 책의 한계도 느껴진다.

너무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보니 마치 백과사전을 읽는듯한 느낌이다.

그런 책은 여행안내책자로 족한데... 

어쩌면 이 책은 그런 안내책자이기를 바랬는지는 모르겠지만, 난 이책을 통해서 작가의 시각을 통해서 본 런던을 구경하고 싶었다.

많지 않은 장소라 할지라도 잡지사 기자로서 왜여기가 좋은지 난 여기서 무얼 발견했는지 이런 내용이 더 많이 담겼으면 내가 이 책을 고른 의도와 더 맞았을것 같다.

무척 늙은 도시인것 같은 런던에 숨겨진 끼를 보는 것 같아 책은 참 즐겁게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일 1독 - 매일 읽는 중국 고전
김원중 지음 / 민음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 일일일독

저자 : 김원중

옮긴이 : 

출판사 :민음사

읽은날 : 2015/04/11 - 2015/04/14


재미없다..

책을 읽다가 중간에 던져버렸다.

이 책은 동양고전에서 약 150여 내용을 발췌하여 에피소드를 실은 내용이다.

제목대로라면 하루에 하나씩 읽으면서 내용을 씹어보는 책일 것이다.

그런데 그러기에는 일관성이 없다.

내용의 순서가 주제도 아니고, 연대도 아니고, 책순도 아니다.

그냥 맘에 잡히는대로 쓴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아무리 신문에 연재한 내용을 싣는다고 해도 책으로 내려면 뭔가 정열이 되어 있어야 하는데 꼭 성의없이 만든 책 같다.


이 책의 유일한 장점은 내용을 잘 외워서 다른 곳에서 사용하면 유식해보인다는 이미지 제고에는 효과가 있을듯 싶다.

그러나, 그런건 내 취향에 맞지 않는 일..

결국 중간까지 읽다가 책을 놓아버리고 말았다.

다음번에는 정열된 책이기를 바랄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