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가야사 - 신화 시대부터 가야의 후손 김유신까지
이희근.김경복 지음 / 청아출판사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가야.

굉장히 낯익지만,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숨겨진 역사.

가야에 대한 역사적인 사료들이 많지 않은것은, 한반도에 깊이 새겨있는 슬픈 역사와 그 맥을 같이한다.

일본이 야마토 정권 시대에 남부지방을 지배했었다는 주장인 '임나일본부'의 '임나'의 위치가 바로 가야가 있던 바로 그 위치였기 때문이다. 임나일본부가 성립하려면, 야먀토 정권 이전에 한국 남부지방에 그보다 앞선 문명이 있어선 안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은 일제 강점기 시절, 자신들의 한반도 식민지화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임나일본부설에 집착했고, 한국 남부지방, 특히 김해지방의 고고학적 발굴에 힘썼다.

하지만, 김해지방에서 나오는 가야의 유물과 유적들은 야마토 정권 당시의 일본보다 훨씬 앞선 문명의 흔적들이 발견되었고, 특히 철기문명은 동시대의 고구려, 백제, 신라보다 빨랐다. 하지만, 다른 국가들이 왕권을 정립시키고 중앙집권의 기틀을 마련하던 시기에도 부족사회에서 벗어나지 못해, 정치적으로 삼국보다 뒤쳐졌던 가야연맹은 백제와 신라의 치밀한 외교전략에 말리다가 결국 신라에 복속되고 말았다.

 

아마 한국 고대사에 크게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신라와 백제의 문명적 토대이기도 했던 금관가야에 대해 이정도는 들어본 적이 있을것이다. 그리고, 가야를 통합해서 가야연맹을 이뤄냈던 가야의 왕 김수로. 다른 삼국의 태조들과 마찬가지고 알에서 깨어난 수로신화 역시 들어본 적 있을것이다.

 

이 책은 바로 그 시점. 김수로가 가야의 왕으로 등극해 강력한 철기문명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남부지방을 한데로 아울러 한때 삼국과 어깨를 나란히 했던 강력한 연합국가를 세우는 과정이 비교적 상세하게 서술되고 있다.

 

이 작품은 일단 크게 네 단락으로 나뉘어 있다.

첫째 단락에서는 개괄의 의미를 갖고, 가야라는 국가가 가지고 있던 특징과 김수로의 신화가 의미하는 사실적인 것들, 그리고 가야의 철기문화와 그것들을 뒷받침하는 유적과 유물들에 대해 쉽고 상세하게 설명해준다. 그렇게 가야에 대해 포괄적이고 전반적인 것을 설명한 뒤에, 두번째 단락을 통해 한국사와 일본사 사이의 핫이슈인 임나일본부에 대해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충분히 설명하고 있다.

일본이 왜 그토록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하는지, 그 근거는 어디에 있고, 양 국 사학자들의 입장은 어떤지, 그리고 우리 입장에서 그 허구성은 어떻게 증명하는지 등등을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가야의 역사에 대한 이야기는 나머지 두 단락을 통해 나타난다.

전기 가야연맹과 후기 가야연맹 속에서 부족사회가 어떻게 성립되고 유지되어 왔는지, 당시의 사회 모습은 어떠했으며, 주변국가들이 강력한 왕권체제를 수립하는동안 가야연맹은 왜 끝까지 연맹체제를 유지할 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되어 있으며, 후기, 대가야와 금관가야를 주축으로 결집되어 있던 가야연맹들이 결국 어떻게 무너져서 신라에 편입되었는지가 드러난다.

 

전반적으로 주장과 근거들이 역사적 사료와 유적, 유물들을 통해 쉽고 설득력있게 서술되고 있으나, '이야기' 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는건 사실이다. 일단 가야의 역사 자체가 연합국가이기 때문에 각 연합국(부족)들에 대한 충분한 사료가 전해지지 않고 있고, 남아있는 사료라고는 신라에 편입된 이후에 단편적으로 등장할 뿐이다.

큰 흐름이라는 것을 잡아서 풀어내기가 까다로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전까지의 고대사들에 비해 비교적 설득력있고 상세하게 풀어낸 것임은 사실이다.

우리 민족들은 예로부터 아주 뛰어난 능력들을 지니고 있었다.

그 민족적 우수함은 한반도라는 지정학적 불리함, 숫적으로 많지 않은 불리함을 딛고 아시아를 넘어 세계에서도 알아주는 국가를 건설하는데 기반이 되었음은 자명하다.

과거가 없이 현재는 있을 수 없다. 그리고, 과거는 언제나 미래의 거울이기도 하다.

이렇게 끊임없이 과거에 대한 탐구와 연구가 있을때, 우리 민족의 우수성은 끊임없이 발전할 수 있을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