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고양이는 고마웠어요 - 길고양이와 함께한 1년 반의 기록 안녕 고양이 시리즈 1
이용한 지음 / 북폴리오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내가 어렸을때, 할아버지댁에 가면 언제나 고양이가 있었다.

할아버지께서는 어찌나 고양이를 예뻐하셨던지, 직접 멸치를 갈아 밥에 비벼서 내 주셨던 걸로 기억한다.

장독대 위에는 크고 토실토실한 노란둥이가 언제나 화분들 틈에서 햇볓을 쬐고 있었다.

딱히 기억이 없는 걸 보면, 나에게 해코지를 하거나, 귀염을 떨었던 것 같지는 않다.

언제나 그냥 도도하게 있을뿐이었다.

 

시간이 흘러, 내게도 고양이가 한마리 생겼다.

할아버지의 영향이었는지, 나도 고양이가 개보다 훨씬 좋았기 때문이었다.

언제나 개는 별로 키우고 싶지 않았지만, 고양이는 언젠가 키우고 말거라는 의지가 있었고, 우연히 친구의 지인의 분양으로 1살이 조금 안된 러시안 블루 수컷을 분양받았다.

 

전 주인이 '다얀' 이라 이름붙였던 이녀석은, 아주 예쁜 울음소리와 우아한 몸동작, 늘씬하고 미끈한 몸매를 가진 미묘였다.

온지 몇개월만에 요도염이 걸려, 엄청난 병원비를 내게 떠안기기도 했지만 그 이후로는, 가끔 집을 뛰쳐나가 애태웠던 것 말고는 딱히 큰 말썽 없이 잘 지내주고 있다.

 

'안녕, 고양이는 고마웠어요,'

이 책은 왠만한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너무나 유명한  '구름과 연어 혹은 우기의 여인숙' (http://gurum.tistory.com/category/길고양이%20보고서 ) 이라는 블로그의 한 카테고리인 '길고양이 보고서' 에 기인한다.

블로그를 통해 출판계약에 대한 글들이 소소하게 오르곤 했었는데, 이렇게 정말 지면으로 만나보니 더욱 반갑다.

 

한국 사람들은 유독 고양이를 싫어한다. 오죽하면 고양이 앞에 '도둑' 이라는 수식어를 붙이곤 할까.

이 책에도 나오지만, '보이는 족족 죽여버리고 싶을 정도로' , 이유없이 증오하는 사람들도 많다.

잔인한 생명경시 풍조와 연관되는, 이 이유없는 증오는 과연 어디서 기인하는 것일까?

때문에, 우리 다얀이가 집밖을 나갈까봐 언제나 노심초사하고, 창문이란 창문은 모조리 막아놓은 사태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 책에는 이렇게 냉혹한 한국의 거리에서 살아가는 길고양이들이 '도둑 고양이' 라 불리며 힘겹게 삶을 살아가는 모습이 담겨있다.

작가의 따뜻한 시선속에 녹아있는 길고양이의 삶은 여느 생명체들과 별반 다르지 않다.

고통과 슬픔, 태어남과 죽음, 행복과 불행, 나눔과 공존.

 

지구의 모든 생명체들이 그러하듯, 고양이들 역시 인간과 공존하기 위한 최대한의 노력을 하고 있다.

 

내가 생각하는 한국 사람들은, 지나치게 자신에게 관대하고 타인에게 냉혹한 편이다.

한때는 그렇지 않았을지도 모르지만, 급속한 경제성장과 여러 격동의 시기를 겪으면서 민족성 자체가 변질되었다고 생각될 정도이다.

안타깝게도 이러한 모습은 도시의 곳곳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나에게 조금만 손해가 끼쳐도 격분하는 사람들.

그들에게는 단지 '살아남기 위해' 쓰레기봉투를 뜯고 이성에게 구애하는 고양이의 행위 자체가 죽여버려야 할 정도의 죄악일 터다.

 

이 책에는 그리스와 일본, 그리고 라오스의 고양이들이 언급된다.

그리고, 위에 언급한 작가의 싸이트에 들어가보면, 라오스 여행기 역시 살짝 공개되어 있다.

풍족하지 않지만, 자연과 공존하는 인간들의 모습은 적어도 한국인들보다는 관대해 보이는 것은 어쩔수 없을 터다.

 

통계에 비추어 볼때, 고양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애완동물이기도 하다.

고양이가 기분좋을 때 내는 가르랑 거리는 소리는, 인간에게도 좋은 효과를 주어 고통을 억제시켜 준다고 한다.

그래서, 미국이나 유럽의 여러 호스피스센터에서는 고양이를 기르도록 하기도 한다.

 

나 역시 고양이를 기르면서 타인에 대한 이해심과 애정이 많이 늘어났음을 느낄 수 있었다.

 

신은 인간을 만들기전에 동물들을 만들었다.

인간처럼 동물 역시 신의 피조물이다. 노아의 홍수때도 신은 커다란 방주를 만들어 모든 동물의 암수 한쌍을 태우도록 명하셨다고 한다.

 

어쩌면, 신은 인간에게 인간끼리의 공존,공생은 물론, 동물들과의 공존 공생 역시 하나의 큰 숙제로 내어준 것은 아닐까.

 

 

 

+ 이 책의 제목인

'안녕, 고양이는 고마웠어요'

가 과연 누구에게 하는 인사일까, 궁금했다.

고양이가 인간에게 고마웠다고 하는걸까?

마지막 장을 넘기는 순간 알 수 있었다.

분명, '안녕, 고양이는 고마웠어요' 라고 인사를 하는 주체는 바로 저자였다.

 

결국 나도, 마루에 앉아 그루밍을 하는 다얀이를 보며, 하늘에 대고 인사할 수 밖에 없었다.

 

'저도, 고양이는 고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