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재감시원 - 개정판 ㅣ 코니 윌리스 걸작선 1
코니 윌리스 지음, 김세경 외 옮김 / 아작 / 2019년 6월
평점 :
절판
우리에겐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SF-판타지 장르에서 코니 윌리스는 명실상부, 80년대를 통째로 집어삼킨 작가이다.
지금 우리가 테드 창에 열광하듯, 80년대는 오롯하게 코니 윌리스 여사의 시대였다. 특히, 과작-그것도 단편-인 테드 창에 비해 코니 윌리스는 성실하고 부지런한 작가로, 80년대에 펴낸 책들은 대부분 장편이고, 대부분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받았다. 휴고상은 전문 심사위원들이, 네뷸러는 팬 심사위원들이 주를 이루는 것을 떠올려보면, 평단과 독자 모두에게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는 증거다.
그 중 "옥스퍼드 시간여행" 연작은 코니 윌리스의 대표적인 시리즈이자 시간여행 소설들이 가져왔던 클리셰들을 산산히 부숴버리는 작품이기도 하다.
코니 윌리스의 10번째 작품이자 이 작품집의 표제작인 [화재감시원] 은 1982년에 발표되어 1983년, 휴고상과 네뷸라상을 수상하면서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된 첫 단편이다. 이후 독자들에게 "옥스퍼드 시간여행 시리즈" 라 불리며 큰 사랑을 받게 될 장대한 시리즈의 효시가 된 작품이다. 여러모로 '코니 윌리스' 라는 작품 세계에서 가장 상징적인 작품으로, [둠즈데이북] 으로 이 세계에 발을 디딘 나로서는 도저히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
이 작품집엔 총 다섯편의 작품이 실려있고, "코니 윌리스 걸작선" 이라는 이름에 맞게 유려한 중단편들만 모여있지만, 이 공간에는 "화재감시원" 만 기록하기로 하겠다.
이야기는 1940년 9월 20일, 바솔로뮤가 세인트폴 대성당에 도착하면서 시작된다.
웨일즈에서 파견나온 사제로서, 바솔로뮤는 화재감시원으로 자원봉사를 나온 것으로 '설정' 되어있었다.
바솔로뮤는 2060년대에서 1940년대로 시간여행을 하고 있는 역사학도로서 역사에 아무런 간섭도 할 수 없는 상태로 전쟁통의 사람들과 약 두달간 뒤엉키게 된다.
이야기는 수기와 같은 기록 형식으로 서술되고 있으며,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런던이 공습당할때 평범한 사람들이 겪은 일들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제 아무리 철저한 준비를 했다지만, 과거에서 상상치 못한 일들을 맞닥뜨린 바솔로뮤의 황망함과 전시의 혼란스러움, 그 안에서 역사학도이자 미래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전시 공동체 일원으로서의 정체성의 충돌, 그리고 과거인들과의 갈등 등 다양한 내러티브들이 겹겹이 포개져있다.
이 작품은 "시간여행" 을 다룬 작품이지만, 그동안 수많은 시간여행 작품에서 등장한 클리셰들이 하나도 없다.
대신, 엄청나게 공들인 고증이 자리잡고 있다.
코니 윌리스가 시간여행을 소재로 삼은 이유는 "과거를 직시" 하는 자세다.
바솔로뮤는 런던 대공습이 시작된 1940년 대성당에서 나치의 스파이를 감시하는 수많은 사람들 틈에서 "미래에서 온 인물" 로 보이지 않고 자연스레 녹아들어 2주라는 짧은 시간동안 매일 밤 대성당 지붕위에 떨어지는 소이탄들을 수거하고, 모래로 덮는 "화재감시원" 자원봉사를 하며 장구하게 흐르는 시간 앞에 한명의 인간이 얼마나 나약한지 뼈저리게 깨닫는다.
최대한 방관자의 입장에서, "이미 죽은" 사람들을 바라보려 하지만, 그 전쟁 난리통 속에서 오직 살아남기 위해 함께 발버둥치다보면, 결코 방관만 할 수는 없는 법이다.
그러나, 다시 말하지만, 바솔로뮤는 미래에서 온 인물로, 그가 함께 숨쉬며 발버둥치는 그 사람들은 바솔로뮤의 입장에선 이미 모두 죽은 사람들인 것이다.
바솔로뮤는 자신에게 호감을 표했던 상냥한 아가씨 앞에서 그 사실만을 절절하게 깨달을 뿐이었다.
오늘 밤 폭격당할 지하철 역에서 잠자리에 들 그들을 구할 방법은 없다는 사실.
그들은 이미 죽은 사람들이며, 그 모든 사건들은 이미 일어난 사건들이라는 사실.
아주 단순한 플롯이지만, 내러티브들이 차곡차곡 포개지며, 깊이있는 울림이 여기저기서 푹푹 솟아나온다. 얼핏, "이 이야기는 대체 왜 있는거야? " 싶은 평범하기 짝이 없는 상황들조차 결국엔 몇배의 울림으로 수렴된다. 특히, 인물간의 구성을 통한 이야기의 연출이 대단히 세련되서, 충분히 연구를 해봐도 좋을 법한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모든 인물과 소품, 장소와 고양이까지 적재적소에서 자신의 역할을 120% 수행해낸다. 군더더기란 1도 볼 수 없을 정도로 깔끔한 전개가 돋보이고, 위에서 잠깐 언급했던 "고증" 에 대한 부분을 얼마나 많이 신경썼는지 알 수 있는 대목들이 곳곳에 포진해있다.
이 단편집에 실린 작품들은 대부분 코니 윌리스의 초기 단편들이고, 여러 상을 휩쓴 "걸작선" 이라곤 하지만, 사실 작품마다 퀄리티의 편차가 좀 있다.
그러나, [화재감시원] 이 단편만큼은 작가로서의 재능과 이야기를 구축해내는 그만의 센스를 충분히 느낄 수 있었고, "클래식" 으로 인정받을 자격이 충분하다는 데에 주저없이 동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