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크러시 1 - 삶을 개척해나간 여자들 걸크러시 1
페넬로프 바지외 지음, 정혜경 옮김 / 문학동네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당첨된 리뷰도서. 

솔직히 처음 제목만 봤을땐 큰 흥미를 갖진 못했다. 

'걸크러시' 라는 조어를 좋아하지도 않을뿐더러 남성중심 사회에서 남성으로 살아온 내가 '여성의 삶' 을 다룬 책을 읽고 어떤 감상을 적을 수 있을까, 싶었기 때문이다. 

책을 다 읽은 지금도 여전히 조심스러운 마음으로 문장과 단어를 고르고 있다.

다시 돌아가서, 이 책의 리뷰어를 모집한다는 포스팅을 처음 보았을 땐, 그닥 관심이 가지 않았다.

하지만, 소개 내용을 천천히 읽어보니 조금씩 마음이 동하기 시작했다. 

먼저 블로그에 연재 형식으로 그려진 만화 - 웹툰의 형태라는 것이 좋았고, 등장하는 인물들의 면면이 흥미로웠다. 

기원전 4세기의 산부인과 의사부터 미국 원주민인 아파치 부족의 전사, 최초의 수영복을 고안한 수영선수와  2차 세계대전때 스파이로 활약했던  프랑스의 무용수, 뜬금없는 등대지기는 물론 트랜스젠더와 측천무후까지. 

어느정도 이름을 들어본 이들도 있었고, 생소한 인물도 있었다.

리뷰어에 선정되지 않아도 보려고, 온라인 쇼핑몰 장바구니에도 담고, 도서관에 신청도서로 넣기도 했는데,



난 그다지 관심없는(^^;;), 색색의 굿즈들과 함께 포르르 날아와 주셨다.


총 열 다섯가지 이야기. 

그 중 마리포사는 세 명의 자매니까, 열 일곱명의 여성들이 등장한다.


목차는 아래와 같다.


클레망틴 들레_수염 난 여자
은징가_은동고와 마탐바 왕국의 왕
마거릿 해밀턴_무서운 배우
마리포사 자매_독재 정권에 맞선 자매들
요세피나 판호르큄_사랑 앞에 완고했던 여인
로젠_아파치 전사이자 주술가
애넷 켈러먼_인어가 된 소녀
딜리아 에이클리_탐험가
조세핀 베이커_무용가, 레지스탕스 활동가, 한 가정의 엄마
토베 얀손_화가, 무민 시리즈 창조자
아그노디스_부인과 의사
리마 보위_사회운동가
조르지나 리드_등대지기
크리스틴 조겐슨_셀러브리티
무측천_황제 

 

만화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통적인 유럽식 그래픽 노블로, 그림만큼 글씨도 많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아주 간략화된 인물 평전이랄 수 있는데, 업적을 중심으로 발랄하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그 시대를 살아간 주인공들이 결코 녹록한 삶을 살지 않았을텐데, 가벼운 필치로 경쾌하게 풀어내고 있다. 

지나친 미화나 엄숙주의는 결코 찾아볼 수 없고, 곳곳에서 깨알같은 유머들이 툭툭 터진다.  

그림체는 장 자끄 쌍뻬를 연상시키는 전형적인 유럽식 신문 카툰인데, 선이 무척 매력적이고, 인물들의 개성도 아주 잘 담아내고 있다.

한 인물의 이야기가 끝나면, 두 페이지 전체를 튼 일러스트가 자리잡고 있는데, 그 인물의 아이덴티티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아주 좋은 일러스트레이션들이다. 나에게 날아온 굿즈들 중에 하나로 B3 정도 크기의 포스터가 그런 일러스트 중 하나로 구성되어 있었다.

   

목차를 보면, '애넷 캘러먼' 의 일러스트레이션임을 한눈에 알 수 있을터다.



 역시나 여전히 조심스럽게 감상을 적어보련다.

나는 우리 사회가 가부장적인 권위주의 사회임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하다는 교육을 받아왔다는 사실도 인정하고, 여권 신장이 우리 사회 전체의 숙제 중 하나라는 점 역시 인식하고 있다.

다만, 그 방법에 있어서는 사회적 공감대와 연구가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남성들을 끌어 내리는 방법이 아닌, 여성들이 끌어 올려지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뜻이다. 남녀가 함께, 우리 공동체 전체가 함께 연구하고 고민해야 하는데, 지금은 초기라 다소 첨예한 갈등국면이 이어지고 있지만, 시간이 좀 더 지나면 조금 누그러지리라 본다. 

여성불평등은 인류 역사와 함께 태동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고, 인권에 대한 인식, 평등에 대한 인식이 자리잡은지는 고작 몇백년이다.계급, 인종, 성별 그 모든 것에 대한 평등 운동은 인류 역사에 비추면 이제 막 걸음마 단계일 뿐이다.


그런 관점에서 이 책은 아주 좋은 여성주의 입문서로 기능할 것이다.

지금보다 여성들에 대한 인식이 더 열악했던 과거, 시대의 편견을 직시하고 정면으로 받아낸 여성들의 이야기. 

모든 인물들의 삶이 인상적이었지만, 여성이고 동시에 아프리칸이었던 조세핀 베이커와 리마 보위가 가장 오래 남았다.

1906년생인 조세핀 베이커는 여성이면서 흑인이었고, 댄서였다.  

그는 자신의 여성성을 십분 발휘하여 과감한 공연을 펼쳤고, 그 덕에 많은 사랑을 받았다. 프랑스에서의 유명세에도 불구하고 모국인 미국에서는 여성이고 흑인이라 극심한 차별을 받았다. 
결국, 자신에게 큰 사랑을 보내줬던 프랑스를 사랑했고, 결국 프랑스 국적을 취득했으나, 기다렸다는 듯이 나치 침공 ㄷㄷ 

이렇게 유머러스하게 표현했지만, 얼마나 상심이 컸을까??

진정한 의미의 멘탈붕괴였을텐데, 조세핀 베이커는 사교계 인맥을 이용해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비밀 요원으로 활약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의 삶이 드라마틱하지만, 조세핀 베이커는 그야말로 켄 폴릿 작품 급으로 드라마틱하다. 


리마 보위는 상대적으로 가장 최근 인물이다. 1972년생으로 2011년에 노벨 평화상을 받은 분이다. 

위에도 언급했지만, 우리 사회는 수많은 차별의 연합체이다.

인간은 너무나 어리석어서 아주 작은 차이를 구실로 차별한다. 

리마 보위가 태어나고 자란 라이베리아 역시 그랬다.

아프리카는 서구 열강들의 무분별한 식민통치의 산물로 적대하는 여러 종족들이 한 국가, 한 도시 안에서 살아가고 있다.

게다가 이슬람교와 기독교 갈등까지 있다. 부족갈등과 종교갈등으로 내전이 끊이지 않았고, 전쟁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이들은 노인과 아이보다도 여성이다.   

폭력, 학대, 내전, 임신, 

                                

리마 보위는 한국 일일 드라마급 파란만장이다.

더 다행인것은 노벨평화상으로 보상받고, 앞으로도 쭉 활약할 사람이라는 것.                            

이 책 덕에 알게되어 구글링을 통해 많은 정보들을 접했는데, 정말 엄청난 사람이다. 

모든 평등 운동은 하나로 통한다는 것.

벨 훅스의 페미니즘 모토인  "모든 성차별주의와 그에 근거한 착취와 억압을 끝내려는 운동" 에 가장 어울리는 인물이다.


일련의 사회적 운동이 갈등을 야기할 수는 있다.

아니, 갈등을 야기하는 것은 당연하다.

진정한 권리는 투쟁을 통해 쟁취해야 비로소 자기것이 되는 것처럼, 갈등 자체를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하지만, 차별을 철폐하기 위한 운동이 또다른 차별로 점철되어서는 안된다. 남성을 차별하는 것으로 남녀 평등을 이뤄낼 수는 없다는 의미다. 

갈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부분부터 차근차근 시작해야 한다.

최근들어 나 역시 동참하고 있는, '그녀' 라는 대명사에 대한 문제의식 같은 부분.

이 책에는 '그녀' 라는 인칭대명사가 단 한번도 등장하지 않는다.

3인칭 대명사는 모두 '그' 로 통칭되어 있다.

이는 최근에 제기된 우리 언어의 성 차별 문제와 맥을 함께한다.

우리 언어는 외국에 비해 남녀 구별이 뚜렷하지 않다. 때문에, 남녀를 구별하는 단어에서 성차별적 요소가 더욱 도드라진다.

'그' 와 '그녀' 가 대표적이다.

'그' 는 3인칭 대명사로 기본형인데, 유독 여성만 접두어가 붙어 '그녀' 로 변형된다.

'그남' 은 없다. 처음부터 없었다. 

남성이 '기본형'이고, 여성은 '파생형'이라는 의미인데, 이는 명백히 차별적이다.

그러면 해결법은?

간단하다.

'그녀' 를 안쓰면 된다. 

기본형인 '그' 만 쓰면 된다. 굳이 남녀를 나눌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특히나 '그녀' 는 문어체이기 때문에, 굳이 안써도 된다. 세상의 모든 '그녀'를 '그' 로 바꿔도 문법이나 맥락면에서 전혀 껄끄러움이 안느껴진다.  그러면 외국어 Her 는 무엇으로 대체하나?? '그' 라고 하면 된다. him 도 '그'  라고 하면 되고.

우리 말의 인칭대명사는 원래 남녀구별이 없다. 외려 3인칭에만 있는게 이상한거였다.

다행히 이런 문제제기는 폭넓게 호응을 얻어 많은 텍스트들에서 '그녀' 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이처럼 사회적 공감대를 구할 수 있는 부분부터 차근차근 해나가면 된다.   

 

우리 사회의 페미니즘은 이제 막 두 다리에 힘을 느껴 여기저기 뛰어다니고, 조금 어려운 단어를 익혀 세상 모든걸 물어보는 세살 아이 정도에 불과하다. 우리 사회엔 리마 보위가, 조세핀 베이커가 없었을까??

아니다. 우리에게도 신사임당, 논개, 유관순, 남자현 열사 같은 분들이 계셨다. 다만, 이렇게 발굴할 생각조차 '덜' 했을 뿐.  

김영하 작가는 TV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 사회의 여성들이 이제 막 '말을 하기 시작' 했고, 우리(남성)들은 가만히 '들어야 할 때' 라고 했다.

비록 듣자마자 바로 완벽히 동의할 수는 없더라도, 우리 사회의 남성으로서 충분히 곱씹고, 받아들이기 위해 노력해볼 만한 문장이다.

그리고, 이 책이 그 이유가 조금은 될 수 있을터다. 

단순한 걸크러시가 아니다.

은연중에 우리가 가지고 있던  차별을, 그것을 품고 있는 사회를, 모두 CRASH 하기 위한 CRUSH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