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픔이 길이 되려면 - 정의로운 건강을 찾아 질병의 사회적 책임을 묻다
김승섭 지음 / 동아시아 / 2017년 9월
평점 :
사회역학이라는 학문이 있는지도 몰랐던 나는 이 책에서 많은 것을 새롭게 접했다. 그것은 저자가 연구자(학자)였기 때문이며 그는 자신의 재능으로 세상을 이롭게 하고 있는 것이다. 세상을 이롭게 할 분야와 방법은 많다.
의대와 보건대학원을 졸업한 사회역학자로서 자신이 연구한 바를 담담히 서술하는 이 책은 학문적 기반이 없어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친절하게 서술되어 있다. 일단 사회역학이라는 학문은 질병의 '원인의 원인'을 밝히는 학문으로 개인적 원인을 넘어선 사회적 원인을 밝혀내는 학문임을 설명한다. 그 시각에서 우리 사회를 보았을 때 사회적 원인으로 질병을 얻게된 많은 사례들이 있었다. 원진레이온이나 제일화학, 삼성반도체 등의 직업병을 비롯해서, 해고노동자, 소방공무원, 세월호 생존자와 유가족, 성소수자, 이주노동자, 재소자 등이 겪는 질병과 그들이 처한 사회적 환경이 아주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 보여준다. 이것은 소수자(사회적 약자)들이 훨씬 질병에 처할 위험이 높다는 뜻이며, 그들이 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저자는 또 공동체와 건강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하기도 했다. 미국에 온 이민자들이 모여 살던 로세토라는 마을에서 유독 심장병 사망률이 적은 이유를 연구하던 사람들은 그 마을의 공동체 문화 때문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후 상호부조하는 공동체 문화가 무너지고 개인주의로 인해 결속이 깨지자 사망률은 다른 지역과 동일한 수준으로 올랐다고 한다. 이 부분을 읽을 때 뜨끔했다. 난 안주고 안받는게 편한데. 남의 사정 별로 알고 싶지 않은데....
"그러나 로세토 이야기는 어떤 공동체에서 우리가 건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개인이 맞닥뜨린 위기에 함께 대응하는 공동체, 타인의 슬픔에 깊게 공감하고 행동하는 공동체의 힘이 얼마나 거대하고 또 중요한지에 대해서도요."
이런 대목을 접하니 또 마음이 착잡해진다.ㅠ
마지막 페이지는 저자가 후배들의 소식지에 기고했던 <우리 이기심을 뛰어넘는 삶을 살아요> 라는 글이다. 이 글을 마지막에 배치한 이유를 알 것 같았다. 저자가 여러가지 연구를 통해 하고싶은 말이 여기에 들어있는 듯했다.
"....그리고 아름다운 사회는 나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타인의 고통에 대해 예민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사회, 그래서 열심히 정직하게 살아온 사람들이 자신의 지존을 지킬 수 없을 때 그 좌절에 함께 분노하고 행동할 수 있는 사회라고 생각해요. 점점 그런 인간을 시대에 뒤떨어진 천연기념물처럼 만들고, 타인의 고통 위에 자신의 꿈을 펼치기를 권장하고 경쟁이 모든 사회구성의 기본 논리라고 주장하는 사회가 되어가는게 저는 싫어요."
하아.... 결국은 아프냐 나도 아프다라 이거지.... 그거 졸업한지가 언젠데.ㅠㅠ 이 똑똑하고 전문적인 학자의 글은 예기치 못하게 마음에 파문의 작은 돌멩이 하나를 던지고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