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의 마음을 읽는 영화 수업
차승민 지음 / 에듀니티 / 2016년 10월
평점 :
품절
영화교육이라 하기엔 부족하지만 학기당 두 편 정도는 영화를 본다. 필독도서로 읽히는 책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를 보기도 하고, 사회과 주제와 관련된 영화를 보기도 한다. 그런데 시간확보가 만만치 않아서 전체를 한번에 쭉 보여주는 경우는 없다. 주로 행사를 하는 날 남는 시간 같은 때 보는데 그러다보면 영화 한 편을 가지고 대여섯번을 잘라서 보게도 되고 그 기간은 두 달을 넘기도 한다. 영화교육이라 이름 붙이긴 힘들겠고 그저 자투리 시간을 이용한 영화보기라 하면 되겠다.
10년 전쯤에 어쩌다보니 영화감상부를 2년 정도 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한창 비디오 가게가 사장길로 접어든 때여서 폐업하는 비디오 가게에서 싼 값에 비디오테잎을 사는걸 재미로 삼기도 했다.(이젠 재생할 기자재가 없어 얼마전에 다 버렸지만...ㅠ) 그리고 얼마후 난 차쌤의 이름을 알게 되었다. 초등교사 커뮤니티에 영화수업 이야기를 하나 둘씩 올리기 시작하신 것이다. 이런 선생님이 있다는 것이 참 신선하고 반가웠지만 영화감상부를 안하게 되자 원래 영화를 즐겨보지 않던 나는 더이상 차쌤의 글을 찾지 않게 되었다.
3년 전인가 차쌤의 첫번째 책이 나왔다. 저자명을 보고 반가웠다. 아, 커뮤니티의 그 쌤이구나! 바로 도서실에 구입하고 도서실의 비도서자료(DVD)도 그 책을 참고해서 구입했다. 선생님들께 호응이 꽤 좋았다.^^
이후 나온 차쌤의 저서는 영화와는 좀 동떨어진 느낌을 주는 것이었다. 선생님 사용 설명서, 학생 사용 설명서? 아 이분은 영화에만 관심이 있는게 아니었구나. 영화는 어쩌면 매개물이고 그것을 통한 소통과 이해에 이분의 진짜 관심이 있구나.
"영화수업은 자기중심적 사고에 머물러 있던 아이들에게 충격을 줬다. 한걸음 물러서서 감정을 추스르는 능력이 생겼다. 자신있게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면서도 상대방을 배려하는 방법을 익혔다."(본문 33쪽)
이와같이 타인의 삶을 이해하고 나와 다를지라도 존중하며, 나의 느낌과 감정을 공유하여 이해하고 이해받으며, 치유하는 과정을 저자는 중시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 영화교육은, 그동안 내가 해왔던 것처럼 자투리 시간에 보여주기 정도로는 부족하다. "알아서 보고 알아서 느껴." 이걸로는 안된다는 말이다. '막'을 '뚫고' 들어가는 수고가 필요하다. 저자는 이것에 전문가다. 그의 영화수업이 성공한 이유로 영화에 대한 지식과 안목 등도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이것이라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 교사는 일단 텍스트로 선택한 영화를 깊이있게 봐야한다. 매우 집중해서. 감상 전 활동에서 어느 정도까지 내용을 소개해줄 것인지, 사전 질문은 어떻게 던질 것인지. 감상 중에는 어느 부분에서 멈추고 집중시킬 것인지. 감상 후에는 어떤 활동을 하고 어떤 이야기를 나눌 것인지. 계획을 짜야 한다. 감상 중 아이들의 반응도 살펴야 하고 아이들의 대화도 주의해서 들어야 한다. 그 데이터는 잘 저장해 두었다가 이후 생활지도에 참고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영화수업은 교사에게 편한 수업, 잠시 공문처리를 해도 되는 수업이 아니다. 교과서로 공부하는 수업보다 훨씬 열린 수업이며 그만큼 교사의 역할과 노력이 중요한 수업이다.
에잉.... 그럼 책을 읽을 입맛이 떨어지잖아?^^;; 그렇게 힘들게까지 해서 굳이 영화를 보여줄 필요가 있어?
가끔은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차쌤처럼 학급특색으로까지는 못하겠지만 학기에 두 편 보여주는 영화라도 차쌤 흉내를 내어 보여주고 싶다.
이책의 백미는 사용설명서 시리즈의 저자 차쌤의 특기가 가장 잘 드러난 제4장 <영화를 통한 마음 읽기>인 것 같다. 이미 페북을 통해 일상의 생활 속에서 아이들의 심리를 읽는 차쌤의 통찰력에 여러번 감탄해 본 터이다. 이 장의 '차쌤의 조언'을 읽으니 그때의 느낌이 다시 떠오른다. 나도 아이들의 마음을 '읽는' 훈련을 많이 해봐야 되겠다. '껍질'을 '깨고' 들어가는 수고는 감수해야 할 터. 음... 쉬운 건 없으니까.
마지막 장은 주제별 영화 목록이다. 재미있는 영화, 가치로운 영화, 가족과 관계된 영화, 친구와 관계된 영화 등 12가지의 주제별로 몇편씩의 영화를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 줄거리 소개, 눈여겨볼 지점, 좋은 질문, 가능한 활동 등을 소개해 놓아서 교사의 수고를 확 줄여 주었다.
나는 방학이면 연수도 많이 받지만 꽤 많은 시간 아이들 책을 끼고 방바닥을 뒹구는데 이것을 '교재연구'라 부르는데에 양심의 가책을 전혀 받지 않는다. 실제로 그 독서는 아이들을 지도하기 위한 독서이고 유용한 텍스트를 찾기 위한 독서이기 때문이다. 이번 겨울방학엔 교재연구를 하나 더 추가하기로 하겠다. 이 책에 나온 영화들을 찾아보는 것이다. 기껏해야 컴퓨터 모니터로 봐야되는 우리집 영화 환경이 좀 아쉽긴 하지만.... 우와, 새로운 숙제가 재밌는 숙제라서 기분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