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처럼 - 2024 창비그림책상 수상작
포푸라기 지음 / 창비 / 2025년 1월
평점 :
이 그림책의 주 색상은 흰색이다. 아주 깨끗하고 포근한 세상이다. 올겨울엔 두 번의 큰 눈이 왔었다. 도로가 위험하다거나 녹으면 지저분해진다거나 등의 생각은 두 번째고, 일단 하얀 눈으로 뒤덮인 세상은 아름답고 평화로웠다. 눈밭에서 뛰어노는 아이들의 풍경은 명랑하고 즐겁고, 세상 시름을 잊을 듯했다.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듯이, 이 책의 의미 또한 그런 것 같다. 포근하고 평화로운 전체 이미지 안에 중간중간 다른 이미지들도 들어있다. 볼수록 새로운 것이 보이는 그림책. 작가님이 아주 많은 것들을 생각하고 결합하여 구성한 듯한 그림책이다. 포푸라기라는 필명의 책은 이 책이 첫 권이지만 본명으로는 이미 많은 책에 그림을 그리신 그림작가님인 것 같다. 포푸라기라는 필명의 시작은 이제 글·그림의 온전한 작업을 하시려는 출발인 걸까. 다년간 많은 작업을 하셨던 경력자라 해도 창비그림책 대상이라는 수상은 무척 감격스러웠을 것 같다. 최근들어 출판계에 상들이 더 늘어난 것 같은데, 좋은 일이겠지?
함박눈은 온 세상을 하얗게 덮는다. 창문으로 이 풍경을 바라보던 아이가 드디어 밖으로 나왔다. 친구들을 기다리며 눈사람을 만들던 아이는 눈밭에 찍힌 새 발자국을 발견하고 따라가 본다. 새 발자국은 아주 많은 것을 말해준다. 아, 친구를 만났구나. 아, 여기는 놀이터였구나.
새 발자국과 함께 놀던 아이는 문득 발자국을 유심히 바라보다 발자국이 나는 새 모양 같다고 생각한다. 순간 새 발자국들은 새가 되어 하늘을 날고, 눈밭에 누웠던 아이 역시 새처럼 날게 된다.
“어서 와, 얘들아!”
하늘을 올려다보는 두 친구도 불러 함께 난다.
아이들은 멀리 난다.
“우리는 어디든 날아갈 수 있어요.
작지만 멋진 날개를 가졌으니까요.”
그래서 아이들은 바다도 건너, 아주 멀리 멀리까지 날아간다. 가는 길에 만나는 하늘은 아까 동네에서 보던 그 하늘과 늘 같지는 않다. 때로 먹구름이 가득 차고, 번개가 치기도 한다. 하지만 아이는 무사히 귀가한 것 같다. 다시 처음의 창문이 나오고, 아이는 묻는다.
“내일도 새처럼 날 수 있을까요?”
좁은 범위로 보면 이 여정을 개인의 인생이라 할 수도 있겠다. 먹구름과 풍파가 없는 인생이란 없으니까. 하지만 작가의 말에 이런 말이 있길래 나는 좀더 범위를 넓혀 생각해 보았다.
“작은 눈송이 하나가 제 손바닥에 닿자마자 사르르 녹아 없어져 버립니다. 어쩌면 우리는 전쟁의 아픔을 손에 떨어진 눈송이처럼 잊어버리는 것은 아닐까요.”
그렇게 본다면 아까 몰아닥쳤던 먹구름은 전쟁의 참혹함이겠다. “내일도 새처럼 날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은 오늘의 목숨을 부지한 이들의 불안이자 간절한 바람이 아닐까.
이 그림책에 가득한 새 발자국에 동그라미를 씌우면 평화 표시(피스 마크)와 같은 모양인데, 작가님은 혹시 그것을 고려하신 것인가? 그렇다면 아귀를 딱딱 맞춘 건축이다. 짧은 내용과 지면에 너무나 절묘하게.
아이들의 평화를 위협하는 것은 가장 크고 대표적인 것이 전쟁이다. 전쟁은 삶의 터전을 허락하지 않는, 모든 것을 빼앗는 폭력이다. 전쟁의 위협에서 조금 물러나 있는 아이들도 마냥 평화롭진 않다. 어른들의 욕심이 아직 주도적으로 살아가기엔 어린 아이들을 옥죄고 괴롭히는 경우가 주변에도 흔하다. 그렇게 길들여진 아이들이 장성해서도 그 밧줄을 풀지 못하는 경우 또한 드물지 않다. ‘새처럼’ 날아보지 못한 존재들은 그래서 너무나 많다. 뒷면지 가득한 새의 비상은 이렇게 날 수 있는 세상을 갈망하는 마음으로 읽힌다.
다른 이들의 감상이 매우 궁금해지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