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에 온 마고할미 푸른숲 작은 나무 10
유은실 지음, 백대승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5년에 나온 책이니 내가 가르치는 아이들이 태어나기도 훨씬 전에 나왔다. 아이들한테는 '옛날책'인 셈이다. 그당시 이책은 중학년 권장도서로 많이 올라와 있었다. 나도 그때 읽었다. 그런데 큰 감흥이 없었나? 내용이 정확히 기억나지 않았다. 이번 여름에 작가님의 줌강의를 들은 김에 빠진 것을 채우는 느낌으로 다시 읽어봤다. 


아니, 왜 이 책을 흘려 읽었지? 지금 읽으니 훨씬 더 재미있다. 윤이네 집의 형편이 상상이 가고, 할머니의 존재가 너무 든든하고 흐뭇하고, 할머니의 수수께끼가 너무 궁금하고, 할머니가 들려주시는 이야기가 알듯말듯하고 그랬다. 유은실 작가님의 책들이 대부분 그렇듯 '이 책은 이럴 때~' '이 책은 이런 아이에게~' 할 수 있을만큼 주제가 분명하지 않았다. 그게 작가님 책의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주제 여깄소~" 하는 책 중에도 좋은 책이 없는 건 아니지만 아무래도 내공은 이런 책에서 더 느껴진다. 


인물들의 설정도 찰지고 흥미롭다. 어른이 보는 관점인지도 모르지만. 엄마는 능력있는 웨딩플래너이고 아빠는 공무원시험에 붙은지 얼마 안됐다. 주말에도 바쁜 엄마는 집안일엔 거의 손을 안대고 그나마 아빠가 살림을 많이 맡아 했다. 하지만 이제 아빠도 바빠졌으니. 집에 도우미 할머니가 들어오시게 됐다. 


방을 하나 차지하는 입주도우미는 솔직히 좀 비현실적이지만 그래서 이야기는 더 흥미롭게 전개된다. 기분이 좋으면 입을 가리는 습관이 있는 아빠가 자꾸 입을 가리는 것도 너무 웃기고, 오신 다음날 아침 12찬 정식을 한시간만에 뚝딱 차려내는 장면에선 상상을 하지 않고는 못배긴다. 오와, 무슨 반찬이 있었을까. 나도 그 상 앞에 앉아보고 싶다.ㅎㅎ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가장 큰 힘은 할머니의 신비로움(?)이다. 신비롭다고 하기엔 우락부락하시지만 뭐라 달리 표현할 말이 없네.... 할머니의 입버릇은 "~~하는 사람이 제일 싫어." 인데, 첫날부터 내 물건 뒤지는 사람이 제일 싫다고 하셨고, 자기 방에 절대 들어오지 말라고도 하셨다. 그런데 할머니는 놀라운 점이 너무 많아. 그러니 윤이와 독자는 궁금할 수밖에.... 


할머니의 존재로 티끌 하나 없이 깨끗해져가는 집을 보니 우리 집에 며칠만 모시고 싶다.ㅎㅎ 그렇게 무뚝뚝하게 일만 잘하시던 할머니는 엄마아빠가 늦는 날 윤이와 밤하늘을 보며 옛이야기도 한다. 할머니의 옛이야기 해석은 특이하고 새롭다. 마고할미만 빼고... 윤이는 할머니가 마고할미라 확신하지만 할머니는 모른다고 딱 잡아뗀다. 


할머니는 오래 계시지 않았다. 남은 기간 수고비와 편지를 남겨놓고 사라졌다. 삐뚤빼뚤 글씨체와 "그동안 고마워씀니다" 하는 말투에선 그냥 보통의 할머니가 느껴지는데 대체 할머니의 정체는 뭘까? 왜 떠나셨을까? 그걸 맘대로 생각할 수 있는게 이 책의 매력이라고 생각한다. 


우리집 아이들에게 양가 조부모님들의 존재는 마고할미에 버금간다. 할아버지는 아이들을 키우고 챙기고 언제나 집을 지키고 온기를 채워주셨다. 외할아버지는 박식하시고 달변이시라 재미난 이야기를 많이 해주셨고 한자를 가르쳐주셨고 야구를 같이 응원하셨다. 할머니들은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예뻐해주시고 편들어 주셨다. 조부모님들의 존재는 이토록 튼튼한 울타리였다. 세대가 바뀌어간다. 나는? 그렇게 할 수 없을 것 같다. 외로운 노인들은 늘어가지만 자의든 타의든 사랑을 쏟을 대상이 주어지지 않는다. 슬픈 일이다. 


나는 이런 생각을 하면서 읽었지만 그 배경은 나의 경험이다. 아이들은 자신의 배경을 토대로 이 작품을 어떻게 읽을지 궁금하다. 마지막으로 옛이야기는 새로운 이야기의 젖줄임을 다시한번 확인하며 그 무한한 가능성에 감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