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교에 호랑이가 왔다 - 제11회 웅진주니어 문학상 장편 부문 우수상 웅진책마을 105
김정신 지음, 조원희 그림 / 웅진주니어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학교에 호랑이가 왔다 / 김정신 / 웅진주니어>

웅진주니어 문학상 수상작들을 대부분 좋게 읽었는데 이 책은 느낌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 아주 싫은 건 아니지만 호감도 가지 않는 느낌. 그 느낌이 뭘까 가만히 생각해보니 일종의 불편함인 것 같다. 나는 왜 불편함을 느꼈을까.

이야기꾼은 아주 천연덕스럽게 거짓말을 하는 사람이라고 누군가 그랬다. 학교에 호랑이가 찾아오는 이 이야기도 그렇다. 말도 안되는 일이 아무렇지도 않게 벌어지는 이런 시작이 나는 좋다. 그러나 이후에 벌어지는 사건과 상황들은 작가의 주제의식이 선명히 보이는 것 같으나, 아니 그래서인지 왠지 몰입되지 않았다. 활짝 열려있는 결말 앞에서도 시원한 느낌은 없었다.

내 불편함의 근원을 정확히 지목할 순 없지만 짚이는 부분이 두 군데 있다. 첫째는 이야기에 등장한 어른들의 모습이다. '여자아이 99명을 삼키고 마지막 1명을 찾는' 호랑이가 학교에 찾아왔는데 어른답게 대응하는 어른이 아무도 없다. 교장선생님은 간교하고 비열하며, 담임선생님은 무력하고 비겁하다. 학부모들은 자기 자식밖에 모르고 자기자식만 보호해 준다면 상대의 인격과 도덕성 등에는 상관없이 짝짜꿍 손뼉을 치며 칭송한다. 호랑이만이 통찰력을 가지고 이 모든 요지경을 굽어본다.

그리고 호랑이가 선택한 아이는 '분홍공주'라는 별명을 가진 준희였다. 긴 머리에 분홍 옷과 분홍 가방, 분홍 장화를 신은 조용한 준희. 누가 봐도 여자아이인 준희는 실은 남자아이였다. '남자아이'라면 호랑이에게 먹힐 자격은 없는 셈이다. 하지만 어른들은 반발하는 나머지 아이들을 두고 준희를 은근슬쩍 희생양으로 밀어 내몬다. 이 부분이 특히 불편했던 것 같다. 그래. 그렇지만 현실에서 어떤 형태로든 이런 모습이 존재하는 건 사실이지.ㅠ

두번째 불편함은 내가 의식과 감수성이 부족한 사람인가 하는 자책감 때문인 것 같다. 양성평등에 많은 장애물이 있고 아직도 가는 길이 멀었다고 하는데 나는 그렇게까진 잘 모르겠다. 지나간 세대와 우리 세대에서는 물론 심했지만 지금 아이들 세대는 많이 달라졌고 딱히 어떤 성이 크게 차별받고 있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나또한 어떤 성을 우선한 적이 없고 말이다. 다만 성역할, 성특성 고정관념은 아직도 남아있다. 이 고정관념 자체가 불평등이라는 것은 인정하지만 젊은 부모들의 양육방식은 이것까지도 많이 극복한 것을 보게 된다. 그러니 내겐 여러가지 사회 현안 중에서 양성평등의 문제는 비중이 약한 것이다. 여기에서 바로 불편함이 비롯된 것 같다. '내가 문제인 건가' 라는 불편함 말이다. 남들이 이토록 문제라고 하는 것에 대해 문제를 잘 못 느끼는 나에 대한 불안감?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며 "이건 여자가 하는 일이잖아요." "이런 건 남자가 해야죠."라는 말을 하는 아이를 요즘은 보지 못했다. 그런데 '아니 이게 뭐지?' 했던 적은 최근에 있었는데, 그게 바로 색깔 고정 관념, 바로 분홍색에 대한 기피 현상이었다. 색상지를 나눠줄 때 게시판에 고루 붙이려고 여러 색을 배분하여 골라가게 하면 분홍색만 최후에 남는다. 남자아이들은 "남자가 왜 분홍색을?" 여자아이들도 "내가 여자라고 분홍을 고를소냐" 라는 태도를 보인다. 성고정관념이 가장 많이 투사된 것이 바로 색깔, 그중에서도 분홍색인 것 같다. 그래서 작가도 이것을 소재로 삼지 않았을까 싶다. 준희가 우리반이라면 난 예뻐했을텐데. 분홍색 도화지로 멋진 작품을 만들고 난 그걸 아이들 앞에서 칭찬해줬을 텐데. 이 분홍 기피현상이 해소된 걸 성고정관념 탈피의 지표로 보아도 되려나.

'호랑이'라는 존재와 '호랑이에게 먹힌다'는 것, 그리고 '호랑이 아이로 다시 태어난다'는 것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이 작품의 느낌이 많이 다를 것 같다. 그리고 활짝 열어놓은 이 책의 결말 때문에 아이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뒷이야기를 써보는 것도 가능하겠다. 어떤 이야기들이 나올지, 그 안에서 아이들의 어떤 생각을 엿볼 수 있을지, 그건 또 나의 고정관념을 얼마나 뒤집을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