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리아 칼라스>
더숲 상영 시간표를 보다가 이 영화를 골랐다. 난 음악에 재능이 없지만 음악영화는 좋아한다. 그리고 세기의 디바라는 마리아 칼라스의 음악과 일생이 궁금했다.
1. 인간의 목소리로 그런 고음을 그렇게 아름답게 낼 수 있다는 게 경이롭다. 전에 지휘자 선생님이 "내가 힘들면 듣는 사람이 편하다" 이런 뜻의 말씀을 하셨는데 관중의 귀에 편안한 고음을 내는 성악가의 몸은 호흡유지에 엄청난 힘을 쏟고 있는 것이다.(물론 프로들은 그런게 표시나지 않지만) 한 곡도 어려운데 수많은 관중의 주목을 받으며 긴 시간 연주해야 하는 공연은 성악가들에게 얼마나 큰 부담일까. 인생후반에 쇠약해진 그녀는 무대에 설 엄두를 내지 못했다. 노래는 목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었다. 예술(특히 성악)을 한다는 건 엄청난 자기관리다. 잘은 모르지만 조수미 씨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2. 그녀는 마리아(인간,여자)와 칼라스(공연자) 두 사람으로 살아가야 하는 자신의 운명을 이야기했다. 칼라스로서의 삶은 최고에 올랐지만 마리아로서의 삶은 행복하지 못했던 것 같다. 자신을 환호하는 관중 속에서도 그녀는 외로웠던 것 같다. 환호하는 저 많은 사람들도 공연이 끝나면 자신의 가족 곁으로 돌아갈 뿐 지친 그녀의 옆에 있어줄 사람들은 아니니까.... 문득 그녀의 외로움이 이해되었다. 그녀의 옆에는 늘 개가 있었다.(우리집 개처럼 쫄랑거리는 푸들이라 내 눈에 확 들어옴) 개의 존재가 내겐 그녀의 외로움의 표상으로 느껴졌다. 사랑도 하고 싶고 아이도 낳고 싶다고 했던 칼라스는 결혼도, 뒤늦게 찾아온 사랑도 다 상처로만 남았다.
3. 특출한 재능은 축복일까? 물론 그렇다. 하지만 본인 입장에서는 힘겨운 운명일수도 있겠다. 세기에 한명이라는 재능. 그것도 전세계에서. 얼마나 대단한가? 근데 그 재능을 나에게 주겠다면... 생각좀 해봐야 되겠다. 평범한 행복. 비범한 외로움. 뭘 선택해야 할지 말이다. (물론 평범해도 외롭다.^^;;; 하지만 외로움의 차원이 다르지 않을까.)
4. 이 세기의 소프라노 역할을 누가 맡았을까? 했는데 다큐영화였다. 오래된 자료영상만 가지고 한 인생을 조명하는 음악영화를 만들다니 그것도 대단하다.
그녀는 외로움과 불안, 우울 속에서 세상을 떠났지만 그녀의 음악은 아직도 우리 곁에 있고 여전히 경이롭다. 그리고 그 재능을 조금이라도 얻을 수 있다면 그녀의 식탁에서 떨어진 빵부스러기라도 주워먹겠다는 지망생들이 줄을 섰을 것이다. 나야 뭐 그런 것조차 아니고 그래도 평생 득음은 한번 해봤으면 하는 소망이 있는데... 동학년 언니가 "나 올해 애들한테 소리지르다가 득음했잖아." 하셨는데 난 27년을 소리질러도 득음의 문턱에도 가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