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교
박범신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노인이 열일곱 소녀를 사랑한다는 설정이 징그럽다 느껴져 책은 보지 않고, 박해일이 좋아서 영화를 먼저 보았다. 후에 우연히 책을 보게 되었는데 놓을 수가 없었다. 작가의 연륜에 걸맞게 품위와 흡입력을 모두 갖춘 문장이라 소설 읽기가 즐거웠다. 지인분이 젊은 소설가와 비교해 '체급이 다르다'는 표현을 썼는데 딱 맞는 말인듯 하다.
이 소설이 매력적인 점은 독자가 이적요.서지우.한은교의 캐릭터를 읽으며 제 각각의 해석을 할 여지가 풍부하다는 점이다. 작가가 허구의 이야기를 실제의 이야기인듯 실감나고 설득력 있게 써 놓았으니, 이제 독자들이 거기에 걸려드는 것인데 소재가 소재인 만큼 나이와 성별에 따라 제각각의 감상평이 쏟아지는 게 무척 재미있다.
내가 던진 질문은 단순했다.
"누가 제일 불쌍해?" 혹은 "누가 제일 못됐어?"
대체로 남자들은 은교가 불쌍하다 하고, 여자들은 서지우나 이적요가 불쌍하다 한다. 일반화의 위험을 안고 감히 말하자면, 남성독자들이 은교에 대해 보이는 반응은 마치 이적요의 마음을 그대로 비추는 듯 하다. 순진하고 어린 그 아이가 잘못한게 무엇이냔 반응이다. 이적요와 서지우의 싸움에 죄도 없이 휘말려 든 것 아니냐는 이야기. 여자들은 스승의 사랑을 갈구하다 자멸하는 서지우를 보며 마치 자기 자식을 보듯 연민하고, 이적요가 사랑을 이루지 못하는 부분에서 자신의 사랑이 이어지지 못한 듯 안타까워한다.
나의 주관적 감상을 이야기하자면.
영화를 보고 나서 든 생각은 '은교가 나쁜년이네'. 책을 읽고 나니 심증이 확증으로 굳어진다. '은교 나쁜년 맞네' 노인 이적요가 이야기하는 나이듦에 대한 사유도 볼만 했지만 한권의 책을 읽은 감상을 굳이 한 줄로 정리하라면 은교는 나쁜년, 으로 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짐승으로 세상에 태어나 열일곱 해를 살았는데, 수컷의 눈빛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른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다. 그건 본능과 같은 것이니까. 열일곱의 여자가 짧은 바지를 입고 걸레질을 하고 노인의 잠자리로 파고 들어간다는 건 그녀가 아이처럼 순진무구하다는 게 아니라, 그녀가 순진무구함을 가장하여 성적인 긴장감으로 가득찬 주변의 공기를 한껏 즐기고 있다는 이야기라 보았다.
은교에게 이렇게나 박하게 구는건, 나도 언젠가 어릴적에 나이든 남자들에게서 이적요의 눈빛을 본 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걸 어떻게 모른단 말이야? 다만 현실이 소설처럼 극적이지 않았던 관계로 내 십대는 평탄히 지나갔다. 아무일도 없는 척 그 분들을 깍듯이 대했다. 나는 짧은 바지를 입기보단 늘 단정한 교복을 입었고, 침대로 파고들기보단 늘 우수한 성적을 받는 티없는 모범생인 척 했지만 그건 그 나름대로 잘 먹혔다. 그분들이 바라는 정결한 여학생의 모습에 부합하였고, 나는 어린 존재로서 그들에게 이쁨받고 보호받는다는 심리적 만족감을 누렸다. 나의 그 속 보이는 영악함이 떠올라서 은교가 그렇게나 미운지도 모른다.
책이 이야기하는 나이듦의 서글픔이란 건 그래서, 굳이 이적요의 나이를 떠올려 볼 것도 없었다. 먼 70살을 상상하기 보단, 내 열일곱과 스물일곱을 대조시켜 보는 것이 더 분명하고 확실히 다가왔다. 스물일곱도 충분히 젊다 하겠지만, 순진하단 말이 욕처럼 들리는 스물일곱에 순진함을 무기로 내세웠던 내 열일곱을 떠올려 보는 것 만으로도 이적요를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랬다는 이야기.
통속적이고 자극적인 부분도 있었지만 그것까지 모두 작가의 재능이고 글이다.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무참한 주관으로 읽어내고 누구를 가장 불쌍히 여기는지 생각해보며, 알지 못했던 자신의 모습을 짚어낼 수 있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