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도시 도쿄 깊숙이 일본 1
진나이 히데노부 지음, 안천 옮김 / 효형출판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엇을 ‘물의 도시’라고 할 수 있을까?

 

‘예술의 도시’라고 하면 파리를 떠올리듯이, ‘물의 도시’라고 하면 대부분 베네치아를 떠올릴 것이다. 그런데 저자는 도쿄[東京]를 ‘물의 도시’라고 한다. 동양의 베네치아라는 중국의 ‘쑤저우[蘇州]’나 태국의 ‘방콕’처럼 수로(水路)가 발달한 곳이라면 몰라도 오늘날의 도쿄에서 ‘물의 도시’를 떠올리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무리수다.

 

이걸 뻔히 알면서도 저자가 자신 있게 도쿄를 ‘물의 도시’라고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심지어 저자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서울도 물의 도시라고 얘기한다.

 

서울의 고지도를 보면 뒤로 산과 언덕이 있는 이 도시에서 가운데를 흐르는 청계천에는 남쪽과 북쪽에서 많은 작은 하천이 흘러 들어 독특한 물의 도시를 이룬 모습이 떠오릅니다. 물을 축으로 한 서울의 도시 공간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있을 것입니다. 이 책에서 제기한 것과 같은 관점에서 도쿄와 서울의 비교 연구가 진전되기를 기대합니다. [p. 7]

 

여기까지 보면, 저자가 사용하는 ‘물의 도시’의 의미가 우리가 생각하는, 수로(水路)나 운하가 교통수단으로 사용되는 ‘물의 도시’와는 다른 듯하다. 게다가 1장에서 도쿄의 스미다 강[隅田川]을 파리의 센 강 및 런던의 템스 강과 비교하면서 더욱 그런 느낌을 준다. 파리나 런던을 ‘물의 도시’라고 하는 사람은 없을 테니까.

 

 

에도[江戶]와 메이지 시대의 도쿄[東京]는 ‘물의 도시’였다

 

<간에이 에도 전도(寬永江戶全圖)>의 일부

출처: <물의 도시 도쿄>, p. 23

 

에도가 ‘물의 도시’였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철도와 노면 전차가 등장한 근대 도쿄는 땅의 도시로 변모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에도를 계승한 메이지 시대의 도쿄는 여전히 여러 강과 운하를 품은 물의 도시였다. 수운(水運)의 중요성 또한 변하지 않았다. 오히려 근대에 들어 동력선이 생기면서 속도가 빨라지고 수송량도 늘었다.

~ 중략 ~

도쿄가 ‘물의 도시’로서의 성격을 잃은 것은 전후(戰後)로, 수상 교통과 완전히 결별한 것은 1964년 올림픽 무렵 이후다. [p. 65]

 

이렇게 ‘물의 도시’에 대한 기존 개념에 따라 ‘1장 스미다강’부터 ‘4장 베이 에어리어’까지 각각 에도[江戶] 문화의 정신적 원류(原流)인 스미다 강[隅田 川], 도쿄 중심부를 흐르는 니혼바시 강[日本橋 川], 스미다 강 건너 물의 지역인 고토[江東], 1980년대 ‘워터프런트(water front)1)’ 붐으로 각광받았다가 잊혀진 도쿄만[東京灣, Tokyo Bay] 일대를 각각 얘기한다.

 

에도.도쿄의 특징에 대해 내린 결론은 에도성=황거(皇居)의 바다 쪽에 자리한 시타마치[下町]는 수로와 하천이 그물망처럼 뻗어 있는 베네치아와 유사한 ‘물의 도시’고, 무사시노 대지 쪽의 야마노테[山手]는 기복이 심한 울퉁불퉁한 녹지를 중심으로 한 ‘전원 도시’라는 것이었다. [p. 167]

 

여기에서 그쳤으면 기존 논의의 반복에 불과했을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저자는 ‘물의 도시’에 대한 개념을 확장한다.

 

에도 수계도(水系圖)

출처: <물의 도시 도쿄>, p. 290

 

물의 도시 에도.도쿄는 저지대에 발달한 베네치아, 암스테르담, 쑤저우, 방콕과 공동적으로 시타마치에 펼쳐지는 평탄한 운하 중심 도시일 뿐 아니라, 서쪽의 무사시노 대지에서도 울퉁불퉁한 지형을 절묘하게 읽어내어 다양한 수자원을 활용하면서 환경을 개조해 조성한, 세계에서 유래를 찾기 힘든 역동적인 ‘3차원적 물의 도시’였음을 깨달았다.

에도성을 에워싼 내호(內濠, 안쪽 해자)와 외호(外濠, 바깥쪽 해자)도 울퉁불퉁한 지형을 활용하여 높낮이 차이를 살리며 축조한 계단형의 거대한 물의 공간 장치다. 또한 야마노테에 산재한 다이묘 저택 상당수가 경사면을 효과적으로 살려 건물을 배치하고, 용수를 끌어 만든 연못을 중심으로 에도 특유의 멋진 회유식(回遊式) 정원을 만든 것을 고려하면 새로운 ‘물의 도시 도쿄론’의 가능성이 엿보이는 것이다. [pp. 167~168]

 

구체적으로 ‘5장 왕의 거주지와 해자’에서는 기복이 심한 울퉁불퉁한 지형을 살려서, 에도성과 그 주변을 감싸고 도는 내호(內濠)와 외호(外濠)를 계단식 논처럼 만들었다고 말한다. 그 결과 수면(水面)이 줄줄이 이어져 위에서 아래로, 시계 방향과 반(反)시계 방향으로 각각 물이 흐르는 순환 시스템을 가진 인공 수계(水系)를 형성되었다. ‘6장 야마노테’에서는 우에노[上野]의 산과 시노바즈노 연못[不忍池]은 산과 계곡이 번갈아 나타나는, 그래서 울퉁불퉁한 야마노테 지역의 ‘산자락’과 ‘물가’의 조합을 상징한다고 얘기한다. 이런 식으로 ‘물의 도시’에 대한 개념을 ‘수운(水運)’이 중심이 되는 도시에서 확장시켜 나간다. 어떻게 보면 우리 옛 선조들의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는 사고와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저자가 이런 발상을 하게 된 것에는 두 가지 원인이 있다. 하나는 1985년~1986년에 도쿄 임해부도심을 조성하다가 실패했지만, 세계 각지에서는 스페인의 빌바오처럼 물가 공간의 재생과 재개발이 큰 성과를 거두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1980년대 말 이탈리아에서 나온, ‘테리토리오[영역]’이라는 개념의 영향이다. 이 ‘테리토리오’는 전원(田園)이 지닌 문화와 그 풍경을 존중하는, 즉 역사와 생태를 잇는 작업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슬로푸드 운동, 지산지소(地産地消)2)에노가스트로노미아[와인+식문화], 농촌의 ‘문화적 경관(paesaggio culturale)3)’ 등을 통해 전원과 농촌에 잠재된 가능성을 살려내는 운동이라고 한다. 나로서는 도시의 영향을 받는 도시 인근의 전원이라고 생각되는데, 도시의 범위를 확대해서 해석하는 방식인 것 같다. 그렇게 되면, 이 책에서 다루는 ‘도쿄’라는 도시의 범위도 확장되고, ‘자연과 인간의 공존이 특징인 물의 도시’라는 개념도 적용시킬 수 있게 된다. 발상의 전환인 셈이다.

 

발상을 전환하고 확장하며 새로운 마음으로 물의 도시 도쿄를 연구해 보면 이렇게 지형 변화가 많고 다양한 수자원의 혜택을 받은 도시는 국내외 어디에도 없다는 것이 뚜렷이 나타난다. 자연과 인간의 공존이 특징인 일본다운 물의 도시를 생각하는 것은, 한계를 드러내 온 도시 문명을 성찰하는 서구인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p. 334]

 

즉, 단순히 수운(水運)의 여부가 아닌, 도시인들이 어떤 방법으로 물을 이용하고, 자연과의 공존을 모색했는지도 감안한다는 점에서 뭔가 입체적이고 독특하게 ‘물의 도시’를 결정하자는 얘기인 셈이다.

 

1) 워터프론트(water front): 대상지를 하천 또는 해양과 연결시켜 유람선이나 요트 등 수상교통이 접근할 수 있는 교통의 통로로 이용할 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휴식 및 레저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수변(水邊)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일본의 지산지소(地産地消)는 한국의 신토불이(身土不二)처럼 지역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하자는 운동이다.

3) 문화경관(文化景觀)은 자연에 인간의 영향이 가해져 이루어진 풍경을 말한다. 인간집단이 자연환경과 상호작용하여 형성한, 가시적인 물질문화라고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성의 화가들, 근대를 거닐다 : 서촌편 경성의 화가들, 근대를 거닐다
황정수 지음 / 푸른역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백악산 아래 경복궁 주변], [수성동 밑 옥인동 주변], [필운동과 사직동 부근]으로 나눠, 서촌(西村)과 그 주변에서 작품 활동을 했던, 일제강점기 예술가들의 삶과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 소개된 예술가들을 보면 표지화로 유명한 정현웅(鄭玄雄, 1911~1976)형제화가 청정(靑汀) 이여성(李如星, 1901~?)과 이쾌대(李快大, 1913~1965), 디아스포라(Diaspora)적 삶을 산 청계(靑谿) 정종여(鄭鍾汝, 1914~1984)조선어학회 회원으로 한글서예 발전을 위해 노력한 야자(也自) 이만규(李萬珪, 1889~1978)과 ‘각경체’를 만든 그의 둘째 딸 봄뫼 이각경(李珏卿, 1914~?) 등 월북한 이들을 제외하고도 나혜석, 이상범, 구본웅과 이상, 이중섭, 천경자 정도만 들어봤을 뿐 낯선 이들이 많다.

 

아니, 이름은 들어봤어도 대표작이나 작품세계가 무엇을 지향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컨대 불꽃처럼 살다 간 정월(晶月) 나혜석(羅蕙錫, 1896~1948)은 ‘한국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 혹은 신여성의 대표주자로 최초의 페미니스트로 알려져 있지만, 많은 이들이 그녀가 남긴 작품이 무엇인지 잘 모른다. 도리어 파리에서의 최린(崔麟)과의 불륜 그리고 이에 따른 이혼으로 대표되는, 불꽃처럼 살다간 그녀의 삶 정도만 기억할 뿐이다. 그렇다면 예술가로서의 나혜석은 어떨까?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라 불리는 춘곡(春谷) 고희동(高羲東, 1886~1965)은 1909년 도쿄미술학교 양화과로 유학하여 유화를 공부했다. 이어 김관호(金觀鎬, 1890~1959)가 1911년, 유방(維邦) 김찬영(金瓚永, 1889~1960)이 1912년에 잇달아 같은 학교에 입학한다. 이들 세 사람은 도쿄미술학교에서 빼어난 성과를 보여 장차 한국의 서양화단을 짊어질 것이라 기대 받던 재목들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귀국 후 이상과 현실의 괴리라는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서양화단을 떠나고 만다. 고희동은 처음에 시작했던 동양화로 회귀하고, 김관호는 교육에 전념했으며, 김찬영은 문학하는 사람들과 어울리다가 문화재 수집에 열을 올린다.

~ 중략 ~

이들과 비교하면 나혜석의 삶은 두드러진다. 나혜석은 비슷한 시기에 도쿄의 여자미술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돌아온 후 한평생 거의 서양화를 손에서 놓지 않고 살았다학교 교사를 하면서도 그림을 그렸고, 남편을 따라 유럽과 미국을 돌아다닐 때에도 그림을 그렸고, 세상을 등지고 산중에 있을 때에도 그림을 그렸다. 그는 천생 화가였다.

당시는 여성이 사회적 활동을 하기 어려운 시절이었다. 그러나 나혜석은 한 치의 물러섬도 없이 세상과 맞서며 여성으로서의 주체적 의지를 관철시키고자 했다. 이러한 성격이 그를 세상에서 고립시키는 결과를 낳았지만, 그럼에도 그는 멈추지 않았다. [p. 30]

 

다시 말해 한국 근대 서양화단을 개척했다는 고희동(高羲東), 김관호(金觀鎬), 김찬영(金瓚永)은 귀국 후 곧 서양화단을 떠났기에

 

일본에서 유학을 하고 돌아와 평생 화가로 사는 정월 나혜석과 설초(雪蕉) 이종우(李鍾禹, 1899~1981)가 전정한 의미의 한국 최초 서양화가라 할 만하다. [p. 261]

 

불행히도 진정한 그녀의 대표작을 정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1933년 화실의 화재로 그녀의 작품 대부분이 타버려서 현재 전하는 그녀의 작품은 10여 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전해지는 것도 조선미술전람회 등에 출품했던 작품들의 도판에 비교하면 수준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하니……. 이것도 그녀의 예술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는 데 한 몫 하지 않았을까?

 

나혜석, <봉황성의 남문>(1923)

출처: 황정수, “나혜석은 죽기 전 왜 서촌으로 왔을까”, <오마이뉴스> 2018.11.08

(https://www.ohmynews.com/NWS_Web/Series/series_premium_pg.aspx?CNTN_CD=A0002485300&SRS_CD=0000011894)

 

나혜석, <선죽교>(1933)

출처: 황정수, “나혜석은 죽기 전 왜 서촌으로 왔을까”, <오마이뉴스> 2018.11.08

(https://www.ohmynews.com/NWS_Web/Series/series_premium_pg.aspx?CNTN_CD=A0002485300&SRS_CD=0000011894)

 

하나 덧붙이자면, 일제강점기에 살았던 이들이 피할 수 없는 것이 ‘친일(親日)’논란이다. 이 책에서 ‘친일’이 직접 언급된 이로는 친일파 노익형이 창간한 월간 <신시대>에 노골적으로 군국주의를 선동하는 “멍텅구리”를 연재했던 심산(心汕) 노수현(盧壽鉉, 1899~1978)일장기 말소사건(1936)으로 구속되었지만, 이후 국방헌금을 모금하기 위한 국책 기획전에 적극 참가하고, <매일신보>에 징병제 실시를 축하하며 삽화 “나팔수”(1943)를 기고하는 등 적극적인 친일행위를 저지른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 1897~1972)과 그의 큰아들 이건영(李建英, 1922~?)일제 군국주의를 찬양하고 황국신민의 영광을 고취하기 위한 ‘결전미술전람회(決戰美術展覽會)’에 참여하고 태평양전쟁 출정자와 입영자에게 증정할 <수호관음불상> 1,000매를 제작한 청계(靑谿) 정종여(鄭鍾汝, 1914~1984)가 있다.

또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에 기록되었지만 이 책에서는 친일 사실이 언급되지 않은, 이상(李箱)의 절친 서산(西山) 구본웅(具本雄, 1906~1952)야마다 신이치[山田 新一]이 주도한 친일미술단체인 단광회(丹光會) 소속의 운봉(雲峯) 심형구(沈亨求, 1908~1962)석정(石鼎) 이봉상(李鳳商, 1916~1970)도 있다.

 

 

<경성의 화가들 근대를 거닐다>는 인물을 나열식으로 소개하는, 다소 인명사전 같은 분위기의 책이다. 그래서 인물 연구의 산물이라고도 볼 수 있다. 대체로 인물 연구를 하다 보면 연구 대상에 대한 연구자의 애정이 커져서 연구 대상의 모든 행동을 합리화하기 쉽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바라본다고 해도 연구 대상을 어느 정도 온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피할 수는 없다.

 

노수현은 바위산을 중심으로 나무와 수풀을 점묘로 그리는 산수화가 주특기였지만 동양화의 유려한 필법을 바탕으로 삽화나 만화도 잘 그렸다. 삽화와 만화가 당시 노수현이 추구하는 미술의 본령은 아니었으나, 근대 삽화와 만화 발전의 선구적 역할을 했다는 데에는 이의가 없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노수현은 일제 말기 활동으로 친일 미술인이었다는 시비가 있지만 한국 근대미술사의 일부를 구성하는 중요한 작가다 [p. 98]

 

그래서 저자가 심산 노수현에 대한 평가에서 보듯이 친일 행위와 예술 작품과 활동을 구분해서 평가하자는 입장에 공감이 가면서도 그 밑바닥에 깔린 대상에 대한 안타까움에 조금 난감하기도 하다.

물론 알고 있다. 100%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선이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미술에 관심이 있는 이라면 일제 강점기의 낯선 예술가들의 작품과 그들의 삶을, 손이 가는 대로 순서에 상관없이 한번쯤 읽어볼 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별인사
김영하 지음 / 복복서가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과 휴머노이드의 구분이 의미 있을까?

 

저자는 <작별인사>가 개작(改作)을 거치면서 ‘인간을 인간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주제에서 ‘어쩔 수 없이 태어났다면 어떻게 살고 어떻게 죽어야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바뀌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 두 개의 화두(話頭)는 서로 배제되는 것도 아니고, 오히려 나는 서로 섞인 듯한 느낌을 받았다.

 

휴먼매터스 랩에서 휴먼매터스의 창립 멤버인 최진수박사의 아들로 살아오던 ‘철이’는 비 오는 날 아빠에게 우산을 가져다 주러 나갔다가 미등록 휴머노이드라는 이유로 수용소에 끌려간다. 그곳에서 철이는 스스로 기계라는 것을 알고 있는 ‘기계파’ 휴머노이드의 폭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인간처럼 살아가는 최신형의 하이퍼 리얼 휴머노이드인 것처럼 행동한다.

 

처음엔 그저 그들을 흉내냄으로써 안전을 도모한다는 뜻에서 시작한 일이었는데, 점차 그들과 나 사이에는 과연 무슨 차이가 있는 걸까 궁금해졌다. 그들의 관절은 연골과 윤활액 대신 인공적으로 합성한 유기화학 제품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 뇌에 뉴런 대신 회로가 있다는 것 등의 차이들이 있겠지만, 이미 많은 인간이 뇌에 칩을 박아 컴퓨터와 연결하거나, 잘린 팔다리 대신 인공 수족을 장착하여 높은 곳에 쉽게 뛰어오르거나 무거운 것을 가볍게 들고 있다. 인간을 인간으로 만드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 팔, 다리, 뇌의 일부 혹은 전체, 심장이나 폐를 인공 기기로 교체한 사람을 여전히 인간이라 부를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pp. 68~69] 

 

어디까지가 인간이고 어디서부터가 기계인 걸까? 육체의 몇 %까지 인공 기기로 교체해야 기계일까? ‘뇌’만 남아있으면 인간이라고 해야 할까? 사람의 고유한 기억과 감정을 가지고 있으면 육체의 100%가 기계로 되어 있어도 인간이라고 해야 하나? 소설 <작별인사>에 배경이 되는 시대라면 어디까지 ‘인간’이라고. 또 어디까지 ‘나’라고 할 수 있는 것일까?

 

어디까지가 '나'라고 할 수 있는 거야?

중략 ~

예를 들어 새로운 몸을 가지고 다시 태어날 민이는 예전의 그 민이일까?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나’는 어디까지 ‘나’일까? 팔도 교체할 수 있고, 다리도 교체할 수 있고, 몸의 모든 부품을 교체할 수 있다면, 그 부분들은 '나'가 아닌 거잖아. 그게 없어도 나는 나일까?

그렇지. 뇌가 그 경계일 거야. 의식은 거기서 생겨나니까.” [pp. 200~201]

 

 

나를 '나'로 정의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이 소설 속에서 자신을 인간으로 알고, 인간처럼 살아가는 최신형의 하이퍼 리얼 휴머노이드는 겉보기에는 인간과 구분하기 어렵다. 그래서 스스로 기계라는 것을 잘 알고 있는 ‘기계파’ 휴머노이드는 수용소에서 자신이 인간이라고 주장하는 개체의 팔을 뽑아 버린다. 분명히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수단이기는 하다. 하지만 휴머노이드가 아닌 인간일 경우 이런 구분방법은 치명적인 부상이 된다. 따라서 내가 ‘인간’이라는 것을 확신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사실, 스스로를 ‘인간’이라 생각하는 ‘기계’, 아니 인간과 구분되지 않는 ‘기계’를 그리는 작품은 이 작품 이전에도 존재했다. 그리고 그 가운데 ‘인간다움’에 대해 논의하는 작품으로는, 영화로도 만들어진, 아이작 아시모프(Isaac Asimov, 1920~1992)의 단편 <바이센테니얼 맨(The Bicentennial Man)>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이와는 다소 다르지만 외관상 인간과 구분되지 않는 리플리컨트를 다루는 영화 <블레이드 러너 2049>도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가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다.

 

네가 스스로 인간이라고 믿는 증거 같은 거 말야.”

아, 음악. 음악이 있어. 나는 음악을 들으면 나도 모르게 마음이 움직여. 정말 말 그대로 마음이 움직이는 것 같아. 그리고 보니 수용소에 잡혀올 때도 소광장에서 하이든을 듣고 있었어.”

마음은 움직이지 않아요. 마음은 그냥 안에 있어요.”

민이가 내 말을 잘랐다.

이런 걸 비유라고 하는 거야. 마음은 물론 내 안에 있지만 흔들리고 무너지는 거야. 나는 집에서 들었던 아름다운 음악들을 떠올리면서 수용소의 끔찍한 날들을 견뎠어. 내가 기계라면 왜 음악 같은 것을 듣고 감정이 변할까? 음악은 기계에겐 아무 의미도 정보도 없는 소음일 뿐인데나는 시를 읽으며 감탄하고 영화를 보다가 괴로워하고 나와는 아무 상관도 없는 19세기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긴 소설을 안타까워하면서 읽어. 그런데 어떻게 내가 인간이 아니야 [p. 123]

 

여기에 한 가지 더하자면, ‘나를 '나'로 정의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에 대한 고민이다. 예전에 화제가 되었던 ‘타진요(타블로에게 진실을 요구합니다)’ 사태를 기억하는가? 가수 타블로가 스탠포드 대학을 졸업한 ‘대니얼 선웅 리(Daniel Seon Woong Lee)’임을 증명하는 여러 증거들을 믿지 않는 ‘타진요’ 같은 이들이 있다면, 무엇을 가지고 내가 ‘나’임을 증명할 수 있을지 자신이 없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내가 영화 <트루먼쇼>의 트루먼처럼 거짓으로 꾸며진 삶을 살았다는 것은 아니다. ^^;;

 

 

영생(永生), 그 덧없음에 대하여

 

미등록 휴머노이드라는 이유로 잡혀간 수용소에서 ‘철이’는 복제인간 ‘선이’와 버림받은 휴머노이드 ‘민이’를 만난다. 그들은 철이를 만나기 전에 이미 탈출을 시도하다가 민이의 왼쪽 팔목만 로봇 개에게 잃고 다시 잡혀왔다. 수용소에서 시간을 보내던 중, 민병대의 습격으로 수용소가 혼란해지자 철이, 선이, 민이는 탈출한다. 휴먼매터스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민이는 살해되고, 철이와 선이는 휴머노이드 재활용 업체를 운영하는 휴머노이드 달마를 만난다. 철이는 달마를 통해 자신이 휴머노이드임을 인지하고, 인공지능 네트워크의 일부가 되는 방식으로 영생(永生)할 수 있음도 알게 된다.

 

나는 휴먼매터스 밖으로 나와 진짜 세상을 보았다. 민이 같은 휴머노이드가 존재하는 걸 이미 알아버렸고, 선이처럼 세상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클론과 친구가 되었다. 휴먼매터스는 내 피난처이기도 하지만 세상의 혼란에 큰 책임이 있었다. 그들은 언제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말하지만, 그들이야말로 언제나 문제의 일부였다. 아빠가 나를 원하는 것은 아마도 사랑 때문이 아니라 자신이 진행해온 자랑스러운 프로젝트에 대한 집착일 것이다. 그가 정확히 나에게서 뭘 원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들이 나를 통해 세상의 고통을 줄이고자 하는 것은 아닌 것 같았다.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휴머노이드를 만드는 게 정말 그 휴머노이드를 위해서일까? 인간에게 필요한 장기를 생산하기 위해 선이와 같은 클론을 배양하는 것과 본질적으로 같은 이유일 것이다. 인간은 모든 것을 도구로만 여기고 그것의 활용을 고민한다. 나의 ‘용도’는 정확히 무엇일까? 그것을 분명히 알기 전에는 휴먼매터스로 돌아가고 싶지 않았다. [pp. 212~213]

 

하지만 누구도 네트워크의 일부가 되는 방식으로 영생하기를 원하지는 않을 것이다. 만약 개별성이 보존된다면, 레이먼드 F. 존스(Raymond F. Jones, 1915~1994)의SF소설 <합성 뇌의 반란(The Cybernetic Brains)>에서 ‘뇌’가 인공지능 네트워크의 일부가 되는 방식으로 영생(永生)하는 것과 마찬가지가 아닐까? 그렇다면 이름만 영생(永生)이지, 사실상 종신노예가 아닌가.

 

나의 의식이 인공지능 네트워크의 일부가 되고, 내가 원하기만 하면 영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이후, 나는 스스로를 인간이라고 여기고 있을 때 즐기던 것들에 흥미를 잃어갔다. 더 이상 소설을 읽지 않고, 영화를 보지 않았다. 그것들은 모두 필멸하는 인간들을 위한 송가였다. 생의 유한성이라는 배음이 깔려 있지 않다면 감동도 감흥도 없었다.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이기 때문에, 생이 한 번뿐이기 때문에 인간들에게는 모든 것이 절실했단 것이다. 이야기는 한 번밖에 살 수 없는 삶을 수백 배, 수천 배로 증폭시켜주는 놀라운 장치로 ‘살 수도 있었던 삶’을 상상 속에서 살아보게 해주었다. 그러니 필멸하지 않을 나로서는 점점 흥미가 떨어졌던 것이다. [p. 276]

 

영생(永生)은 아니지만 판타지 소설에서 만 년의 수명을 가졌다고 설정된 드래곤의 경우, 긴 수명을 무게에 짓눌려 다른 생명체의 모습으로 유희를 떠나거나 장시간의 수면에 든다. 육신이 있는 존재도 그러할진대, 육체 없이 의식만 있는 삶은 그야말로 지옥이 아닐까? 육체가 없다면 쉴 수도 없을 텐데……. 여기에 망각도 할 수 없다면……. 이영도의 <드래곤 라자>에 나오는 드래곤 ‘크라드메서’처럼 미치거나 자살해버리지 않을까?

 

하지만, 아서 C. 클라크(Arthur C. Clarke, 1917~2008)의 SF소설 <유년기의 끝(Childhood’s End)>를 보면, 인공지능 네트워크의 일부가 되어 영생하는 방식은 개별성이나 독자성을 점차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된다. 그 소설에서 인류는 점차 개개의 독자성을 상실하고, 기존의 인류와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완전히 다른 새로운 종(種)으로 변한 끝에 ‘오버마인드’라고 부르는 하나의 거대한 정신체의 일부로 통합되어 버린다.

 

이 소설, <작별인사>에서는 인간도, 휴머노이드도 대부분 인공지능 네트워크의 일부가 되어 영생하는 길을 선택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소설의 제목 ‘작별인사’는 개별성 혹은 독자성과의 작별인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간 그리고 인간을 닮은 휴머노이드라는 종(種)이 개체성을 상실하여 ‘종(種)’으로서 소멸해버리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반전.호질.광문전.임호은전 - 한국고전문학100 11
김기동 외 지음 / 서문당 / 198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광문자전(廣文者傳)> 혹은 <광문전(廣文傳)>(이하 ‘광문자전’)은 누구나 학창시절에 한번쯤 제목은 들어보았을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단편소설이다. 그냥 읽으면 광문(廣文)이라는 거지의 의리 있는 행동을 부각시킨 글에 불과하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세상에 구애 받지 않는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광문이라는 비렁뱅이를 통해 유교적 관습에 얽매인 조선의 사대부를 은근히 비판하고 있다.

 

조선의 사대부는 공식적으로 군자(君子)를 지향한다. 바로 유학(儒學)의 시조(始祖)인 공자(孔子)가 이상적인 인간형으로 꼽은 ‘군자(君子)’말이다. 하지만 영남학파의 시초인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었던 소총(홍유손(洪裕孫, 1431~1529), 생육신의 하나인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 1454~1492) 등 많은 문인들은 도가적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을 지향하기도 했다. 어떻게 보면 죽림칠현을 지향하는 것은 사대부가 할 수 있는 최대의 반항이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광문자전>에 언급된 광문 혹은 달문(達文)의 행적을 보면 세상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다. 물론 그가 비렁뱅이라서 그렇게 행동할 수 있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거지라고 해서 세상에 얽매이지 않고 살아가기는 힘들다. 심지어 세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출가(出家)한 스님 조차도 또 다른 사회에 얽매이고, 타인의 시선을 의식할 수 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병든 거지 아이를 위해 구걸했지만 살해했다고 의심받아 매를 맞고 쫓겨나도 변명하지 않았고, 약방 부자가 도둑질했다고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도 묵묵히 지낸 광문의 행적은 독특하다. 마치 <장자>에서 말한, 사심(私心)이 없는 ‘지인(至人)에 해당하는 것처럼 보인다.

 

<장자(莊子)> 소요유편(逍遙遊編)에 언급된 송영자(宋榮子)를 보면,

 

세상 모두가 칭찬한다고 더욱 애쓰는 일도 없고, 세상 모두가 헐뜯는다고 기(氣)가 죽지도 않는다. 다만, 내심(內心)과 외물(外物)의 분별을 뚜렷이 하고 영예와 치욕의 경계를 구분할 뿐이다그는 세상 일을 좇아 허둥지둥하지 않는다.

중략 ~

그래서 “지인(至人)에게는 사심(私心)이 없고, 신인(神人)에게는 공적(功績)이 없으며, 성인(聖人)에게는 명예가 없다”고 한다.1)

 

그렇기에 광문의 평가가 가장 공정(公正)하다고 느껴졌던 것 같다. 그래서 “장안에 이름난 기생으로 얼굴이 어여쁘고 노래와 춤을 잘해도 광문의 입에서 칭찬이 나오지 않으면 그 기생은 한 푼어치의 가치도 될 수 없었다2)고 한 것이 아닐까?

 

어느 날 궁궐 안 별감(別監)들이며 부마(駙馬)들 또는 그 아래서 일하는 사람들이 이름난 기생 운심(雲心)을 찾아갔다. 술상을 차려 놓은 가운데 장고 거문고 등에 맞추어 춤추기를 부탁하며 애원하다시피 하였다. 그러나 운심은 자꾸 미루면서 춤출 생각은 꿈에도 하지 않는 것이었다. 마침 광문은 밤에 이들이 노는 집 밑에 다다라 머뭇거리다가 방에 뛰어 들어가 상좌에 앉았다. 광문은 비록 다 떨어진 옷을 입었지만 아무 거리낌없이 당당한 태도였다.

중략 ~

술 좌석에 앉았던 사람들은 크게 놀라서 서로 눈짓을 하며 광문을 몰아내 쫓아 버리고자 하였다. 그러나 광문은 더욱 다가앉으면서 무릎을 치고 콧노래를 부르면서 장단을 맞추는 것이었다. 운심은 일어서더니 옷을 고쳐 입고 광문을 위하여 칼춤을 추기 시작하였다.3)

 

이렇게 광문은 남의 권위를 빌리려는 가짜들과 달리 당당하게 ‘나’를 내세우는 진짜였기에 운심도 그를 위해 기꺼이 칼춤을 춘 것이다. 광문이 진짜니까 그녀도 진짜를 대접한 셈이다.

 

<광문자전>의 속편이라 할 수 있는 <서광문전후(書廣文傳後)>를 보면, 광문의 명성을 빌리기 위해 그의 아들인 척 하는 거지 아이와 그의 동생인 척하는 요망한 자가 결국 사형되거나 귀양을 간 이야기가 적혀 있다. 거짓으로 남의 인생을 사는 자의 말로(末路)가 이처럼 명확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만은 예외라고 생각해서 기꺼이 남의 인생, 거짓된 삶을 살려고 한다. 그렇게 사는 것도 재능이 필요하기에 쉬운 일도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면, 잠깐 부귀영화의 끝자락이나마 맛보고 싶어하는 마음이 재능을 헛되게 낭비하게 만든 셈이다.

 

<광문자전>과 <서광문전후(書廣文傳後)>에서 보이는 광문처럼 세상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사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장자>에서 말하는 사심(私心)이 없는 ‘지인(至人)’이라고 할 수 있는 광문의 마지막을 저자는 “그 뒤에 광문이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었다”는 말로 끝낸 것 같다. 아마도 광문과 같은 이가 세상에 존재하기 어렵다는 것을 상징하기 위해서가 아닐까?

 

1) 장주, <장자>, 안동림 역주, (현암사, 1993), pp. 33~34

2) 김기동, 전규태 엮음, <양반전, 호질, 광문전, 임호은전>, (서문당, 1984), p. 33

3) 앞의 책, pp. 33~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구는 괜찮아, 우리가 문제지 - 곽재식의 기후 시민 수업
곽재식 지음 / 어크로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후위기, 사회의 약자를 괴롭히다

 

사람들은 기후변화를 지구를 멸망시키는 위기인 것처럼 말하고, 우리가 그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여 무언가 해야 한다고 여긴다. 그 결과 무의식적으로 기후변화 문제를 대홍수 전설처럼 받아들이게 된다. 그런데 그것이 진실일까?

 

지구는 수천 년, 수만 년, 수십만 년 전부터 어느 정도 온실효과를 겪어왔다. 다시 말해서, 사람이 출현하기도 전의 먼 옛날부터 지구는 온실효과의 영향을 받는 온실 속 같은 곳이었다. 지금 온실효과와 기후변화가 문제인 것은 그 효과의 정도가 갑자기 너무 빠른 속도로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p. 32]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후 위기라는 것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0.03%에서 0.04%로 짙어짐에 따라 부가적으로 발생한 현상을 가리킨다. 이렇게

 

사람들은 0.03퍼센트이던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양을 0.04퍼센트 정도 올린 것 때문에 걱정하고 있는데, 광합성을 하는 세균들은 긴 세월에 걸쳐 0퍼센트에 가깝던 산소 기체 농도를 20퍼센트 이상으로 높여버렸다. 지구의 생명체들과 자연은 이런 일을 벌였다. 그 모습만 놓고 보면 46억 년 지구 역사 전체에서 요즘의 기후변화는 미세한 변화일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p. 76]

 

결국 기후 위기는 지구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의 문제다. 그래서 저자도 이 책의 제목을 <지구는 괜찮아, 우리가 문제지>라고 정한 것이 아닐까? 다시 말해 지구 온난화의 원인으로 꼽는 사람이 만들어내는 이산화탄소로는 고작 사람, 그것도 사회적 약자의 삶을 힘겹게 만들 뿐이다.

 

사람이 뿜어내는 온실 기체가 지구를 통째로 금성처럼 바꾸어놓기는 부족하겠지만당장 지구에 사는 사람 자신의 삶을 괴롭히기에는 충분하다. [p. 37]

 

 

기후 위기’ 혹은 ‘지구온난화’라는 슬로건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위기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비극을 피하기 위해, 서로 힘을 합치자’와 같은 당연한 얘기는 큰 의미가 없다. 우리가 도덕 교과서가 없어서, 도덕 교육을 받지 않아서 도덕적이지 않는 사람이 생겨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알면서도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기에 ‘공유지의 비극’이 발생하는 것이다.

게다가 아이러니한 것은 지금의 기후위기를 만드는 데 큰 공헌을 한, 유럽의 선진국은 인구가 줄어들기 때문에 예전보다 더 풍족하게 생활하면서도 저절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반대로 기후위기로 타격을 받는 개발도상국은 인구가 늘어나기 때문에 더 적은 연료와 전기를 사용하면서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더 나은 삶을 포기하도록 강요당한다.

심지어 글로벌 기업은 본사 사무실은 선진국에, 생산공장은 개발도상국에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당연히 생산공장이 있는 개발도상국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늘어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단순히 이산화탄소 발생량만 따져 규제를 하면, 지구온난화 극복을 위해 더 가난한 사람들이 더 희생하게 된다. 이렇게 보면, 기후위기나 지구온난화는 개발도상국에서 돈을 걷어 선진국의 이익을 보호하려는 수단처럼 보인다.

 

 

기후 위기를 벗어나려면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 가운데 하나로 이산화탄소를 뿜어내지 않고 전기를 만들어내는 것을 떠올릴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수력, 태양광과 풍력, 지열(地熱)과 조류(潮流) 같은 재생에너지의 사용이 필요하다.

그 다음으로 떠올릴 수 있는 것이 전기화(電氣化)가 있다. 만약 모든 것이 전기화되어 있다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를 개선하는 것만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쉽게 줄일 수 있다.

보다 공격적인 방법으로는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탄소 흡수 혹은 탄소 포집(捕執)도 있다. 문제는 아직까지는 이산화탄소를 모으더라도 그 비용이 많이 들고, 수집된 이산화탄소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그나마 현실적인 것이 식목사업이다. 비록 많은 공간과 오랜 시간이 요구되지만, 식목사업은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도로 빨아들일 수 있다.

 

 

지구온난화를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

 

지금까지 기후변화라고 하면, 대체로 미래를 내다보는 공공기관이 개인과 사기업을 이끌고 통제하는 일을 중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정부가 엄격한 단속반을 만들어 기후변화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물건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금지하거나, 공장에 어떤 시설을 설치하라는 규정을 만들고 엄한 처벌 조치를 통해 그것을 따르도록 시키거나, 혹은 기후변화와 관련 있는 어떤 일에 세금을 매겨 돈을 걷는 등의 일이 정부의 일이라고 여기는 경향이 강했다. 그러면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민을 통제하는 권한이 강해지게 된다.

중략 ~

그러나 기후변화 적응 기술에 무게를 실으면 정부가 국민들에게 무엇을 시키는 것만큼이나 국민을 구하기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점이 중요해진다. [pp. 384~385]

 

최근 유엔환경계획(UNEP) 주도로 개최된 ‘국제 플라스틱 협약 제2차 정부 간 협상위원회(INC2)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정부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회의에서 노르웨이와 르완다 등은 플라스틱 생산 제한과 플라스틱 제조에 쓰이는 화학물질의 규제에,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중국 등은 플라스틱 폐기물과 플라스틱 재활용에 각각 초점을 두고 있다.

저자에 따르면 나프타를 원재료로 하는 플라스틱은 개발 초창기에는 기후변화를 줄이는 방향으로 기여했다고 한다. 왜냐하면 플라스틱이 개발되지 않았다면 나프타도 휘발유처럼 태워 연료로 사용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문제는 플라스틱을 만든 제품은 가치가 낮고 가짜라는 생각 때문에 사람들이 아끼지 않고 쉽게 버린다는 점이다.

 

비닐봉지 대신에 종이봉투를 사용한다면, 그 종이를 만들기 위해 종이의 원료가 되는 나무를 숲에서 잘라내야 한다. <애틀랜틱>의 2014년 10월 17일 보도에 따르면, 비닐봉지를 사용해서 장을 보면 1년간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7.52킬로그램 가량이지만, 종이봉투를 사용하면 훨씬 많은 44.74킬로그램 가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 한다. 비닐봉지보다 종이봉투가 자연적인 것 같아도 이산화탄소를 뿜어내는 양은 오히려 여섯 배 가까이 많다는 이야기다. [p. 418]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는 면으로 만든 장바구니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비닐봉지는 워낙 만드는 데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기 때문에, 면으로 만든 가방을 하나 만들 정도면 비닐봉지 131개 만들 수 있다이 계산은 영국환경청의 2011년 발표인데, 뒤집어 생각해보면, 면 가방을 131번 정도는 꾸준히 장바구니로 활용해야만 비닐봉지를 한 번 사용하고 버리는 것보다 환경에 이로울 수 있다는 뜻이다. [pp. 418~419]

 

다시 말해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플라스틱 빨대 금지’로 대표되는 플라스틱 규제 정책으로 도리어 기후위기가 가속화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무조건 플라스틱의 사용을 규제하는 것보다 저렴하다는 이유만으로 방치되고 버려지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 오히려 기후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일으킬 수 있지 않을까?

 

이를 위해서는 플라스틱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고, 2022년 전체 플라스틱 생산량의 9%만 재활용되었다는 유엔환경계획(UNEP)의 발표처럼 아직까지는 미흡한 플라스틱 재활용 비율 상승을 위한 노력도 있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