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람의 왼팔
와다 료 지음, 권일영 옮김 / 들녘 / 2011년 10월
평점 :
페이지 터너(page-turner), 다시 말해서 정말 쉬지 않고 그렇게 재밌게 읽히는 소설을 무척 좋아한다. 새로 출간된 와다 료의 소설 <바람의 왼팔>은 전장에서의 낭만을 아는 사무라이가 등장하는 센고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역사물이고 페이지 터너다. 우리나라 역사 같았다면 바로 조사를 해봤겠지만, 일본 역사에 대해서는 잘 모르니 패스!
작년에 나온 <노보우의 성>도 아주 재밌게 읽었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바람의 왼팔>이 더 재밌다. 1556년, 센고쿠 시대의 전란을 무력으로 평정하게 될 오다 노부나가가 아직 그 명성을 날리기 전이다. 소설의 전면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도자와 가문의 하야시 한에몬이다. 그는 센고쿠 시대 기마무사의 전형으로, 적진으로 말을 달려 돌파하며 적장을 수급을 베는 ‘공로 사냥꾼’이다. 한에몬이 속한 도자와 가문이 이웃의 고다마 가문과 전쟁을 벌이다가 대패를 하고 만다. 물론 상대 진영에도 그에 못지않은 전사 하나부사 기베에가 있다. 역사에 언제나 등장하는 라이벌 구도다.
도자와 가문의 차기 성주 즈쇼의 엉성한 전략으로 초장에 대패하고, 적병의 추격에서 간신히 벗어난 한에몬은 도자와와 고다마의 경계 산속에서 살던 사냥꾼 요조와 그의 손자 고타로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진다. 자신의 은인인 고타로에게 보은하고 싶었던 한에몬은 고타로의 소원인 화승총 사격대회 참가를 허락한다.
압도적인 고다마 가문의 침공에 직면한 도자와 사람들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병력을 가지고 농성전에 돌입한다. 농성전에 앞서 성 밖 마을을 점령한 기베에를 늙은 호위무사 기베에만 데리고 찾는 한에몬. 그리고 비열한 방법을 써서, 사실상의 적진 총사령관을 죽이지 않고 오히려 병사들로 하여금 호위해서 성 안으로 무사히 들여보낸다. 와다 료는 소설의 곳곳에서 이렇게 멋진 무사간의 의기(義氣)를 칭송하느라 정신이 없다. 그러면서도 한에몬과 기베에는 상대방의 수급을 취하는 상상을 하며 짜릿해 한다. 무사간의 정을 나누면서도 최고의 실력을 가진 적장을 베는 즐거움을 타인에게 뺏기지 않으려는 사무라이의 본심을 작가는 적확하게 잡아낸다.
어쨌든 고타로가 가진 신기에 가까운 사격 실력을 알게 된 한에몬은 고타로야말로 풍전등화 같은 도자와 성의 운명을 뒤바꿀 수 있는 최종 비밀병기라는 사실을 직감한다. 자, 문제는 어리숙하고 순수한 고타로의 적개심을 어떻게 불태워 전장으로 이끌어내는가이다. 승리를 위해 한에몬은 비겁하지 말라는 자신의 좌우명을 버리고 비장한 결심을 하게 되는데…….
와다 료의 <바람의 왼팔>은 소년만화 혹은 무협지에 등장하는 절세 고수의 등장으로 절대 열세인 전장의 승부를 한판에 뒤집어 버리는 내러티브의 패러다임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초전에서 수많은 병사를 잃고 대패한 도자와 가문은 압도적인 고다마 가문의 공격 앞에 전멸 위기를 맞는다. 누가 봐도 정상적인 방법으로서는 전세를 역전시킬 수가 없다. 물론, 깁에도 시노비를 동원하는 암수를 쓰지만 소설의 실질적인 주인공 한에몬의 그것에 미치지 못한다.
개인적으로 고타로의 주무기였던 화승총의 등장에 주목했다. 센고쿠 시대까지만 해도 기마무사의 적진 돌격이야말로 농민으로 구성된 보병에겐 전차와 같은 위력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원거리에서 저격할 수 있는 보병 무기인 화승총의 등장으로 사무라이 계급의 몰락할 수밖에 없었다. 훗날 센고쿠 시대의 무자비한 전란을 통해 개량된 화승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이 임진왜란에서 조선군을 상대했다. 결과는 모두가 아는 대로 조선군의 참패였다.
권력을 위한 음모와 사투가 뒤범벅이 된 센고쿠 시대의 사무라이는 상명하복과 주군에 절대 충성과 충돌하는 사무라이 정신으로 고통 받는다. 게다가 자신이 유일하게 사랑했던 여인 스즈는 자신이 후일 섬기게 될지도 모르는 미래의 주군 즈쇼에게 빼앗겼다. 게다가 전란의 시대에 살아남아야 했던 고타로의 이야기, 기마무사가 되어 신분의 상승을 이루겠다는 야심에 불타는 겐타 그리고 자신에게 충성을 다한 수하를 처형하겠다고 덤비는 성주 도시타카에 이르기까지 소설은 그야말로 부글부글 끓는 욕망의 도가니탕이다.
작가는 그런 센고쿠 시대 사무라이들의 낭만을 소설의 메인 테마로 삼지만, 과연 그 시대가 보통 사람들에게도 그렇게 좋은 시대였는지 묻고 싶다. 사무라이들이 칼날을 시험해 보겠다고, 아무런 이유 없이 지나가는 사람을 베어도 죄가 되지 않는 시대였다. 봉건영주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주군관계의 하부구조에 위치해 있던 사무라이에게 백성을 그저 수탈의 대상일 뿐이었다. 영토를 넓히기 위해 이웃 영주와 전쟁에 동원되는 병사도 역시 농민 중에서 충당했다. 소설에서 패배한 한에몬과 산쥬로를 쫓는 패잔병 사냥꾼 역시 전공을 노린 농민이 아니었던가.
너무 소설의 중심이 너무 하야시 한에몬에게 집중되다 보니 “신의 왼팔” 고타로의 비중이 떨어지지 않았나 싶다. 하긴 와다 료 작가의 본심이 센고쿠 시대 무사의 정신세계를 독자에게 보여주겠다라는 점이었으니 그럴 만도 하겠다. 고타로는 작가가 원한 무사가 아니라 그저 철부지 십대 소년이었으니까. 어쨌든 의리에 죽고 사는 싸나이들의 치열한 투쟁이 인상적인 책이었다. 그리고 재밌다, 그럼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