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과 황홀 - 성석제의 음식 이야기
성석제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지난 주말 성석제 선생님과 만남의 시간을 가졌다. 작가님으로부터 이번에 출간된 <칼과 황홀>에 대한 그리고 책에 들어 있지 않은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기회였다. 보통 작가와의 만남이라고 하면, 책을 먼저 읽고 나서 만나게 되기 마련인데 이번에는 작가를 먼저 만나고 그 후에 책을 읽었다. 결과는 대만족이었다. 어쩌면 책만 읽어서는 모를 그런 부분까지도 작가와의 만남 시간이 커버한 느낌이라고나 할까.
올해 읽은 선생님의 또 다른 작품 <농담하는 카메라>로 음식 이야기에 대한 맛보기를 해서 그런지 이번 작품도 전혀 낯설지 않고 친근하다. 에세이 모음집의 제목에 등장하는 칼은 식재료로부터 맛을 끌어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도구다. 음식을 조리하는 숙수의 기본 장착 아이템이라는 뜻이다. 숙수의 손끝에서 빚어지는 맛은 우리를 황홀하게 만든다. 그리고 그 안에는 반드시 이야기가 있다. 선생님의 작가와의 만남 시간에서도 말씀하셨다시피, 정말 우리의 기억 속에 남는 음식은 으리으리한 이탈리안 레스토랑의 값비싼 고급 요리가 아니라 처음 간 중국의 호텔에서 천신만고 끝에 얻은 뜨거운 물로 우린 티백에 담긴 한 잔의 차(茶)고, 독일의 외딴 호텔에서 만난 축복과도 같았던 부드러운 아침 식사, 입국심사대에서 실랑이로 잡친 기분을 달래주는 정말 맛있는 에일 맥주라는 것이다. 정말 공감할 수밖에 없는 글들의 줄줄이 사탕이다.
선생님만큼의 주유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그 나라에 가면 그 나라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선생님의 지론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맥주의 나라 독일에까지 가서 어디서나 먹을 수 있는 버드와이저 맥주를 마실 필요는 없지 않은가. 인터넷과 블로그의 발달로 직접 가지 않고서도 눈으로 볼 수 있지만 오미(五味)의 직접적인 체험은 불가능하니까. 미처 몰랐는데 선생님은 20대가 되기 전까지 아예 육식을 하지 않으셨다고 한다. 그게 가능한가? 한창 자랄 나이에 고기를 마다하다니, 놀랍군. 그런 연유에서인지 선생님은 국수를 특히 좋아 하시는 것 같았다. 라오스에 가셨을 적에는 아침에 닭볶음밥, 점심 저녁으로 연달아 닭국수를 드실 정도라고 하니 말이다. 소나 돼지 같은 육식을 즐기지 않는 분들도 닭고기에 대한 거부감은 좀 덜하지 않나 뭐 그런 엉뚱한 생각이 들었다.
작가와의 만남 시간에도 내가 한 질문이었지만, 예상대로 천하를 주유하는 선생님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이야기는 바로 글감이었다. 개인적으로 선생님의 글 솜씨만큼이나 부러운 점이 바로 그런 에피소드의 행진이다. 인위적이지 않고, 물 흘러가듯 그렇게 유유자적한 삶을 사는 선생님의 삶 가운데서 마치 대어를 낚아채는 고수의 풍모가 느껴진다고나 할까. 어신이 내리는 순간, 우리는 선생님의 도움으로 비로소 이런 ‘황홀’경에 도달한다.
선생님은 작가와의 만남 시간에서 가장 한국적인 입맛 때문에 어지간한 비위가 좋은 사람도 마다하는 세계 각국의 음식에 대한 면역이 생기셨다고 한다. 그 만남의 기원은 바로 선생님의 고향 상주에서의 어린 시절의 추억 때문이리라. 맛의 비결인 글루탐산의 원천인 콩으로 빚은 된장이 익어가던 아랫목의 추억, 논일을 도와주던 일꾼에게 공급하기 위해 할머니가 직접 빚으신 막걸리 주전자를 심부름 길에 통째로 마신 일, 사지를 쭉 뻗은 개구리 튀김과 배추전 이야기, 사회초년병 시절 법성포소주를 마셔가며 벌인 대작사건 등 읽기만 해도 빙그레 웃음이 번지는 에피소드가 책에 가득하다. 선생님이 작가와의 만남 시간에 말씀하신 “결핍에 의한 탐닉”이라는 말이 귓가를 때린다. 이제는 모든 것이 풍족하고 넉넉해졌지만, 우리네 술자리와 밥상머리에는 나중에도 두고두고 나눌 그런 이야기가 결핍되지 않았나 하는 그런 아쉬움 말이다.
이번 가을에는 선생님의 궤적을 좇아 사람 냄새와 사연이 담긴 음식 아니 술자리라도 한 번 가져야겠다는 그런 생각을 해본다. 그런데 어쩌면 그런 기회가 예상보다 더 빨리 올지도 모르겠다. 이번 주말이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