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로 달궁에서 독서 모임을 하면서 이런 이야기를 했던 적이 있다. 일본에서도 이제는 잘 읽지 않는다는 소세키 작가의 책이 한국에서는 이래 인기가 있나 하고 말이다.

 

신기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보니 밀란 쿤데라의 경우도 마찬가지가 아닌가. 아마 모국이 아닌 타국에서 그의 전집이 나온 경우가 있었던가 싶다.


어쨌든 최근 북플에 소세키 작가의 책들을 열심히 읽는 분들이 계셔서 나도 숟가락을 얹어 본다.

 

문제는 책만 사들이고 읽는 건 소홀하다는 것이다.



어제 인근 헌책방에 가보니 모두 다섯 권의 소세키 작가 책들이 오롯하게 책선반에 놓여 있었다. 그래서 다 사들일까 하다가... 아 참 내가 <도련님>은 그전에 이미 읽었었지. 컬렉션이라고 하면서도 왠지 예전에 읽은 책은 안 살라고 하는 마음이란 참.

 

어쨌든 그래서 두 권을 땡겨왔다. 램프의 요정이 제공하는 적립금을 모두 다 땡기니 만원 안짝으로 두 권을 데려올 수가 있었다.



 

지난주에 사들인 발터 벤야민의 책주인과 겹치는 이가 아닌가 싶다. 책을 비닐로 싼 실력이 거의 유사하다. 그러니까 두 책들의 주인은 같은 사람이라는 합리적 결론에 도달한다.

 

<우미인초>는 생각보다 두툼했다. 아 예전에 현암사에 일하던 지인이 도서정가제 실시 이전에 지인 찬스로 소세키 시리즈를 싸게 살 수 있다고 했을 적에 모두 질렀어야 했나 싶다. 그리고 보니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는 고렇게 해서 한 개 사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파타고니아인지 송라인도.


어쨌든 어제 사서 <갱부>는 바로 읽기 시작했다. 근데 초반부가 약간 모호해 보이는데. 오후에는 좀 읽을 수 있을까. 요즘 이책저책 마구 사들이는데, 읽는 속도가 전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나중에 좀 더 덧붙여야지 일단 밥은 먹구.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파랑 2022-04-05 21:1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현암사 소세키 전작 모으는데 반갑군요 ㅋ 왠지 중고로 모으고 싶어서 열심히 찾는데 잘 안나타나는 작품들이 있더라구요 😅 저도 갱부 초반만 읽었는데 약간 웃긴 분위기더라구요 ㅋ

레삭매냐 2022-04-08 17:06   좋아요 0 | URL
나름 책읽기 슬럼프라 완독을
못하고 이책저책 집적거리고만
있네요.

그래도 소세키 선생의 <갱부>
는 꾸역꾸역 읽고 있답니다.

어려울수록 책사냥 하는 재미
가 있지 않을까요? ㅋㅋㅋ

mini74 2022-04-05 21:2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소세키책은 소장욕구를 불러일으키는 거 같아요. 색감도 예쁘고 ㅠㅠ 사놓고 왜 읽지를 못하니! 이건 제 맘의 소리입니다 ㅎㅎ

레삭매냐 2022-04-08 17:07   좋아요 1 | URL
그렇습니다. 현암사 소세키 작가
책은 컬렉팅하는 맛이 나더라구요.

저에게 하시는 말쌈이신 줄요!!!
왜 사서 읽지는 않고 뻐팅기냣!

라로 2022-04-06 18:2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소세키의 책을 일본에서는 잘 읽지 않는다니 좀 서운한데요.^^;;(내가 왜? 벌써 팬심이;;;)
저 고양이... 다 읽었어요,,, 참 좋았습니다. 특히 세 남자가 수다떠는 거 읽으면서는 저런 남자들이 귀엽구나 싶으면서 쪼잔하고나 싶고요,,^^;; 하지만, 소세키에 대해 뭔가를 알게 되었는데 그게 참 쪼잔하게 매력적이라고 할까요?? 책 읽는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성품 같기도 하고,,은근 매력적이더라구요. 저는 왜 그런 쪼잔한 남자들에게 끌리는지??ㅠㅠ
암튼 다음에 사 논 마음이랑 다 읽어보려고요. 근데 사놓고 읽지 못하는 일등은 저에요.ㅠㅠ

레삭매냐 2022-04-08 17:14   좋아요 1 | URL
자극적인 이야기를 좋아하는
현대 니혼진들의 성향을 봤을
때, 심심한 소세키 작가의 책들
이 인기가 - 뭐 그렇습니다.

전 아직 <마음>은 수배하지
못했네요. 동네 책방에 있긴
한데 다른 책들을 집어 왔네요.
아직도 있더라구요.

전 지금 <갱부>를 읽고 있답
니다. 놉, 제가 단연코 1위일
겁니다 확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