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완벽한 멕시코 딸이 아니야
에리카 산체스 지음, 허진 옮김 / 오렌지디 / 2022년 1월
평점 :

나이든 이들이 청춘들을 아니 십대들을 이해한다는 게 과연 가능할까라는 생각이 에리카 산체스의 자전적 소설 <나는 완벽한 멕시코 딸이 아니야>를 읽으면서 들었다. 솔직히 말하면 그건 처음부터 가능하지 않은 이야기였다. 삶의 더께가 그네들만의 고민을 모르게 하는 게 아닐까나.
언니 올가가 교통사고로 죽었다. 스물두 살, 죽기에는 너무 어린 나이였다. 시작이 사랑하는 언니이자, 집과 학교 그리고 일터 밖에 모르는 그야말로 모범적인 딸의 전형이었던 올가의 죽음이라니. 그녀와 달리 소설의 화자이자 주인공인 훌리아 레예즈는 말썽꾼이다. 아니 죽은 언니의 그림자가 너무 컸던 탓일까.
하고 싶은 일도 많은 작가가 되고 싶은 15세 소녀 훌리아는 궁핍한 가정 출신이다. 아마와 아파(엄마와 아빠)는 멕시코 몬네테그로 로스 오호스 출신의 불법체류자들이다. 아마는 청소일을 하고, 아파는 캔디 공장에서 가정을 건사하기 위해 그야말로 몸이 부서지도록 일한다. 미국 시카고의 남쪽(south)의 바퀴벌레가 득시글거리는 아파트 출신의 소녀는 가능하면 집에서 멀리 떠나 글을 쓰고 싶다는 꿈을 꾼다. 훌리아에게는 영어 선생님인 잉맨과 절친 로레나 그리고 게이 후앙가라는 친구들이 있다.
육친을 창졸간에 잃은 슬픔을 이겨내는 훌리아. ‘제대로 된’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고군분투하지만 언니 올가같은 모범적인 멕시코 딸이 되길 바라는 독실한 아마와 사사건건 충돌한다. 그러던 중, 훌리아는 올가의 놀라운 비밀을 알게 된다. 죽은 언니의 노트북에 남겨진 단서를 통해 언니에게 모종의 비밀이 있었다는 걸 알게 된다.
그 다음에는 시카고 북쪽 외곽에 사는 코너라는 멋쟁이 남친을 헌책방에서 만나는 행운도 겹친다. 언니의 속옷과 콘돔을 보고 경악한 훌리아의 아마는 휴대폰을 압수하고, 외출금지를 시킨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자살 소동은 사실 좀 진부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결국 아마는 소동 이후, 정신과 상담을 받던 훌리아를 고향 로스 오호스에 보내 대가족들의 사랑 세례를 듬뿍 받게 해준다. 그리고 그곳에서 훌리아는 아마에 대한 놀라운 비밀도 알게 된다. 언니 올가가 숨긴 비밀보다 더 충격적인 가족의 비밀이라고나 할까.
<나는 완벽한 멕시코 딸이 아니야>는 전형적인 이민 가정의 자녀가 자신의 꿈을 향해 달려가는 과정을 그린 성장소설이다. 티피컬하긴 하지만, 이런 소설의 주인공이 되기 위해서는 가정형편은 어렵지만 일단 공부는 잘해야 한다. 구질구질한 아파트와 가족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교육만이 유일한 해법이다. 그리고 같은 동네가 아닌, 부모님의 손길이 닿지 않는 그런 곳으로 탈출해야 한다. 훌리아는 자신이 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뉴욕 같은 곳으로 가야 한다고 설정해 버린다. 그런데 그게 모든 이민 가정의 자녀들에게 해당되는 이야기일까? 아마도 아닐 것이다. 훌리아를 통해 작가 자신의 모습이 비춰진다고나 할까.
부모들은 모두 자신들의 자녀들이 자신들의 그것보다 나은 삶을 살길 바란다. 그래서 그들에게 자신이 살아온 과정을 대입시킨다. 물론 그들의 사유와 판단이 옳을 때도 있겠지만, 자녀들에게는 자녀들만의 온전한 세상이 있는 법이다. 가끔은 그런 삶이 그들에게 과하게 다가올 때도 있겠지만 그것 역시 그들이 넘어야할 파도가 아닐까.
결국 우리의 주인공 훌리아 레예즈도 숱한 시행착오 끝에 자신이 행복하게 생각하고 진정으로 원하는 글쓰기의 길을 걷게 된다. 나중에 후회하는 한이 있더라도, 그 시절에는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걸 하는 게 후회 없는 삶을 살기 위한 기본 전제가 아닐까라는 생각도 해본다. 되돌아 보면, 시간이 모든 걸 해결해 주기도 하고 그랬던 것 같다. 다만 그 시절에는 기다림의 미학에 대해서는 아는 게 1도 없었기 때문에 기다리지 못했다는 게 문제였다.
모든 십대들처럼 훌리아 역시 사랑이라는 감정을 느껴 보기도 하고, 또 때로는 세상만사가 자기가 원하는 대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걸 코너와의 짧은 연애를 통해 배우기도 한다. 그 시절에는 둘도 없을 것 같이 소중했던 로레나와 후앙가 같은 친구들도 삶의 공간이 떨어지면서 예전같이 않다는 걸 아마 깨닫게 되었으리라. 코너와의 관계 역시 마찬가지다. 당장의 감정들이 미래를 보장해 주지 않는다는 걸, 훌리아는 깨닫지 않았던가. 바로 그렇게 우리는 거북이 걸음으로 더디게 성장해 가는 거다.
소설 <나는 완벽한 멕시코 딸이 아니야>는 영화화되었다고 하는데, 영화로도 한 번 만나보고 싶다. 영화는 얼마나 원작에 가까운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