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노보노 아빠의 과거가 나옵니다. ㅎㅎ

큰곰 대장이 알려줍니다.

"옛날에는 ‘사신 해달‘이라고 불리며
바다를 평정했다더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어에는 딱맞는 표현이 있습니다.

보노보노와 친구들이 진심으로
‘무상함‘이 무언지 알기 위해/이해하려고
다양한 방식으로 이렇게 저렇게 시도합니다.

우리는 어떻게 단어를 배웠는지...
보노보노와 친구들처럼
주변에 물어도 보고
직접 느끼려고 이런 저런 상황도 만들어 본 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사람들의 입 말과 글을 통해서 배운 게
대부분이었던 것 같아요.

예전에 친구가 단어에 딱 맞는 표현을 익히려고
이렇게 저렇게 단어가 들어간 문장을 만들며
표현을 낚아올렸던 장면이 떠오릅니다.
무슨 단어였는 지는 기억이 나질 않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의합니다.
그러나 KBS 뿐 아니라 기업과 대한민국에 전문가가 얼마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귀한 전문가와 소신 있는 인물을 찾아내고 지원하고 키워가고 응원하는 사회가 되길 바랍니다.

이와 관련하여 홍성희 기자는 "KBS가 기계적 중립에 얽매여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이 회사에 전문가가 별로 없기‘ 때문이에요. 통일•노동•경제•정치 문제 등 어려운 문제일수록 전문가가 없어요. 전문가가 없기 때문에 대세에 따라가는 보도만 하게 돼요. 저도 마찬가지였어요. 모르니까, 자신이 없으니까, 대세에 따라가면 내가 욕먹을 일은 없으니까요."라고 의미 있는 지적을 했다. 홍 기자의 지적은 필요한 분야에 ‘이 방향이 맞다‘라고 자신 있게 써 줄 전문 기자가 적기 때문에 기계적 중립에 기댄다는 것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짜 뉴스는 일단 퍼지고 나면 확산 속도가 워낙 빨라 추후에 바로잡는 기사를 내고 가짜 뉴스를 덮을 수 있을 만큼 도달 범위가 넓지 않았다. 즉 기사의 도달률이 가짜 뉴스의 도달률보다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결국 팩트체크를 해도 이미 그 사건은 시간이 지나 관심이 줄어들고 대중의 기억에서 잊히기 마련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반적으로 재능이란 어떤 대상을 모든 면에서 살펴보고 다양한 관점으로 분석하고 정밀하게 조사하는 능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평범한 사람은 보이는 대로 사물을 볼 뿐 그 이상을 성찰하지 않는다. 그러나 재능 있는 사람은 대상을 분석하고, 원인과 결과를 따져 보고, 내부 구조를 이해하고, 각 부분이 다른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다른 영향을 받는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생각한다. 그런 사람은 사고의 탄창을 통째로 가지고 있는 반면에 보통 사람은 그저 하나 정도만 손에 쥐고 있을 뿐이다. 재능 있는 사람의 능력은 그가 가진 생각의 수에 비례해 커진다. 여기에서 언어 구조에 관한 관심이야말로 이러한 사고를 예민하게 다듬고 확장하는 데 무엇보다 큰 도움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