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육가족‘과 ‘창설가족‘이라는 표현을 알게 됐어요.

- ‘생육가족‘: 태어나서 자란 가족
- ‘창설가족‘: 결혼 등으로 인해 새로 생긴 가족

* 왜 이 책을 샀는지 지금은 기억이 나질 않아요.
반 정도 읽었는데, 작가 개인의 사적인 얘기가 많아서
흥미롭지 않아요.

** 작가의 책을 처음 읽고 있고,
전작들이 어땠는지는 모르겠어요.
유명해진 책이 있다고 들었는데,
아마도 일본 내에서 하기 힘든 얘기를
과감하게 하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019년의 일본 사람들에게는
속시원하고 다소 충격적인 내용일지라도
2023년의 대한민국에 사는 저에게는
그다지 재미있는 내용은 아닙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권을 읽으며
스무살 때가 떠올랐습니다.

그때는 좋아하는 영화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하고 글을 쓰고 싶어
미술, 건축, 음악, 역사, 문학도 더 접하고자 했고
글을 쓰기 위해 철학을 공부하기도 했습니다.

아래 메모해 놓은 <나만의 척도>를 가지기 위해
애썼던 시간들이었던 것 같습니다.

나의 <척도>는 아직 적어서
측정하지 못하는 것들아 수두룩해.

애초에 <척도>를 알아채지
못할 때도 많으니까.

사람의 수만큼
커뮤니티의 수만큼의
<척도>가 있다.

나도•••
나만의 <척도(가치관)>가 있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타스케는 이 사람의 작품••• 좋아해?

좋아한다기 보다 ••• 이해가 돼.

<이해가 된다>고?

가끔 채널이 맞는 것처럼
작가가 어떤 생각으로 작품을 그리는지
느껴질 때가 있잖아.
그거.
그러니까 좋아한다기보다
"가까운 느낌"이 들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줄곧 바보 취급 당하는 게 무서웠다.

좋아하면서 그것밖에 못하냐는 말을 들을까 봐.

(...)

그러니까 이것은 <욕심>이다.

아–
무서워•••.

작품을 만드는 건•••
무언가를 선택하는 건
굉장히 고독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 살아있는 생명체에 무책임했어.

나랑 토끼는 이미 친구라고 생각했는데

시설에 있는 아이는
자기보다 약한 존재는
친구가 될 수 없다고 했지.

그 아이는 선생님이 가르쳐준 대로
했을 뿐이지만

난 그 아이보다 연상인데,
내년이면 스무살인데.

나는
어린애인 상태로
성장한 모양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