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럽게 나간 미팅에서
사람을 관찰하고 만화가들에게 필요한 소재를 챙기는
쿠로사와를 보면서,
프로로 한층 더 성장하길 응원하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카타 하쿠 작가의 어머니가 만나자고 한 이유에 대해,
예전 같았으면 정말 여러가지 생각이 들었을 것 같아요.
여느 소설에 등장할 법한 소재입니다.

지금은 ‘그럴 수도 있겠구나‘ 싶긴 하지만
그 어머니라는 인물은 매우
본인 중심으로 세상을 사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혹은 매우 실패를 두려워하거나요.

나카타 작가가 상처입지 않기를
부탁을 거절하면서 더욱 강해지기를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정무역 Fair Trade‘이 제 값을 치르는 방식인 줄 알았는데,
생산자 입장에서는 ‘다이렉트 트레이드‘,
즉 직거래 방식이 더 좋다는 걸 알았어요.
중간 유통을 건너뜀으로써 생산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좋은 조건으로 거래를 할 수 있게 되는 거죠.
거기에 생산자에게 너무나 박하게 매겨지는 가격을
제대로(?) 지불했다고 합니다만,
‘제대로‘가 얼마인지는 나와있지 않습니다.

공정무역에서는 생산자에게 돌아가는 돈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서촌에 갔다가 새로 오픈한 ˝인텔리젠시아˝에 잠시 다녀왔어요.
드립과 에스프레소를 반반 섞은
‘Alternate Espresso‘를
마셨는데 향이 좋았고
에스프레소 보다는 부드러워서 마시기가 좋았어요.

우연인지, 최근 마포아트센터 옆에 있는
‘커피 랩‘에서 라테를 아주 맛있게 마셨는데,
이 책에 나와있어서 반가웠습니다.

더현대에 입점해서 더욱 인기가 높아진 ‘테일러‘도
나와있어요.

꽤 오랜동안 커피를 마셔오면서
커피도 인생의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처음에는 호기심과 달콤함에서 시작해
일의 연료 삼아 커피를 수없이 마셔오면서
그래도 커피에 관심이 많습니다.
물론 생업으로 삼을 정도는 아닐 뿐더러
아직은 다른 사람이 내려주는 커피를 마시는 게
더 좋긴합니다.

인텔리젠시아가 이루어낸 가장 큰 혁명은 ‘다이렉트 트레이드 Direct Trade‘ 시스템이다. 개념은 이름처럼 간단하고 명확하다. 중간 상인의 개입 없이 생산자에게 직접 값을 치르고 원두를 구매하는 것이다. 수출업자가 아난 생산 당사자의 수익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공정 거래 Fair Trade‘와 구분된다. 소비자는 기존보다 약간의 돈을 더 지불하지만, 그 돈이 중간 상인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생산자에게 돌아가는 금액에는 확연한 차이가 생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문득 찾아보니,
<<한동일의 라틴어 인생 문장>>의 편집자가
<<에세이 만드는 법>>의 저자셨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속속들이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꽤 재미있습니다.

몇 해전 존 버거의 사망 이후,
틸다 스윈튼이 나오는 <존 버거의 사계>를
보려고 여러 번 시도했지만
끝까지 시청하지 못했습니다.

이번에는 다소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어도
끝까지 읽어보겠다는 마음으로 책장을 넘기다보니
그러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대상화, 광고...
그림의 목적과 구도...
그저 아름다움만 가지고는 예술 작품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걸 어렴풋이 알게 되었습니다.

읽기를 잘 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