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해의 별>>, <<비천무>>, <<불의 검>> 중
가장 나중에 나온 <<불의 검>>을
최근에 읽었고,
이제 <<비천무>>를 보기 시작했습니다.

다보고 나면 <<북해의 별>>을
다시 읽으려고 합니다.
아니, <<테르미도르>>를 보려고 합니다.

* <<북해의 별>>은 최근, 작년 가을(‘23.9월)에
읽었는데, 까마득히 잊고 있었어요. ㅎㅎ
읽고서 기록하지 않으면 모두 안 읽은 책이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릴 때와는 또 다른 느낌입니다.
이미 어른이 됐기 때문일까요?

책 표지를 읽으며 헤세의 젊은 날을
새로 알게 되었어요.

정원을 가꾸고
삶을 여유있게 살았다고 생각했는데
열다섯 살에 자살을 하려고 했답니다.

죽음을 보내고 오래 산 헤세가
몇 세에 이 책을 썼는지 다시 찾아봐야겠습니다.

* 마흔 두 살에 출간했다고 합니다.
중학교 때는 몇 장 들춰보다가 말았던 이유가
이제서야 이해가 됩니다.
왜 이 책이 중고등학교 때 읽어야 하는 책일까요?
주인공들의 중고등학교 때 이야기여도
읽는 사람들은 성인이 된 후에
읽는 게 더 나을 것 같습니다.

** 예전에는 범우사 책으로 읽었을 것 같은데,
전영애 교수님의 번역으로 읽고 있습니다.
번역 때문인지 독자의 나이 때문인지
새롭게 읽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란스럽고 불완전한 이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얼마만큼의 비효율성을 견디는 것이 최선일까?"

(...)

기억하라. 대부분의 일에는 비용이 따르며 이를 인정하고 기꺼이 치르는 것이 현명하다. 그 비용이란 적당한 양의 불편함을 견디는 것이다.

- <15. 모든 여정은 원래 힘들다>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작가는 투자를 꽤 진지하게,
본격적으로 하고 있는 것 같아요.

글에 등장하는 사례나 인용문에
투자 관련 내용이 많습니다.

그렇다면, 이 책도 투자 목적으로
쓴 걸까요?

혹은 미국 사람들에게 투자는
아주 일반적이기 때문일까요?

* 아... 찾아보니 <<돈의 심리학>>이라는
책을 냈고,
우리나라에서도 30만부나 팔렸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우나 고우나, 영화를 만든다‘

이 제목을 보고 웃었습니다.
난니 모레티 감독의 <찬란한 내일로>는
뭔가 예전과는 달랐거든요.

인도 영화같이 ‘떼창‘과 ‘군무‘가 나오고
영화원론 설파와 전통 고수,
OTT와 한국인 투자자들,
찍고 있는 영화는 이탈리아 공산당의 얘기.

게으른 관객으로서
기대했던 영화는 아니었으며
또 추천할 생각도 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잡지에서 다른 이들은 어떻게
보았는지 찾아아보는 중에
엄청 재미있는 제목을 발견했어요. ㅎㅎㅎ

후편은 나중에 쓸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