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야의 이리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7
헤르만 헤세 지음, 김누리 옮김 / 민음사 / 2002년 7월
평점 :
인간 세상에서 겉으로 보기엔 문제없이 조화로운 구성원으로 살아가지만 내면엔 야성과 잔혹성이 이글대는 이리인 남자 (우습게도) 스스로를 ‘황야의 이리‘라 부르는 하리 할러의 수기를 엿보며 이야기가 진행돼.
사회와의 부조화 때문에 삶이 고통이었던 하리가 우연히 읽게된 ‘황야의 이리론‘에 자신 혹은 자신과 같은 이리인간에 대한 실랄한 분석에 본인의 고통이 한낱 투정에 불과했구나 느끼며 결국 오래 꿈꿔온 자살을 하기로해. 자살 전 하리가 마지막으로 들른 바에서 본인의 어릴적 친구 헤르만(!!!)와 닮은 아가씨 헤르미네을 알게되고 그녀의 가르침과 명령 속에 복종하듯 보통 사람의 즐거움을 하나하나 배워나가. 춤을 배우고 연애를 배우고 클래식이 아닌 대중음악을 즐기는 법을 배우며 그동안 경멸하던 쾌락에 흥미를 느끼게 되지만 그 시간이 지속될 수록 쾌락의 끝에 있을 허탈함이 두려워 다시 혼란에 빠져. 그러다 헤르미네와 또다른 친구의 안내로 미친 사람만 입장할 수 있다는 공연장에 환각상태에 입장하게 되고 거기서 수백가지의 가정에 한 역할을 하며 서서히 죽게돼.
우울증 환자의 일기 잃으며 일부 공감은 하지만 별 사건도 없이 뭐 저리 심각해 하며 지루해하다가 헤르미네와의 만남과 대화부터 쉬워지고 적당히 흥미로웠는데 저 마지막 파트 환각 속에서 벌어지는 기계와의 전쟁과 살인 등등등 내가 뭘 읽은지 이해도 못하겠다. 아 찜찜.
내 감상과 남의 해석이 섞여버리고 남의 의견갖고 나도 모르에 알은체 할까봐서 작품해설은 정 궁금할 때 감상 남긴 후에 읽는데 지금 이만큼 쓰고 살짝 앞부분을 읽었더니 황야의 이리가 히피들의 교과서라 불린다고 한다. 작품 속 단서를 캐치해 해석하지못해 큰 감동이 없던 건 내 독서력이 부족하다 인정하고, 해설 떠나 내용 전체가 된 주인공 할러 하리만 봤을 때 모두 다 그렇게 저렇게 살아가는 세상에서 그리고 누구나 느끼고 살 정도의 좌절감과 괴리감을 갖고 본인이 인간세상에 잘못 발을 들인 이리네 야생동물이네 하는 건 유치하고 같잖다.
발췌
그가 자애롭지만 매우 엄격하고 신앙심이 깊은 부모와 교사들에게 교육을 받았고, 이 교육의 원칙은 <의지의 파괴>였다는 것이다.
인간이란 자연과 정신 사이에 놓인 좁고 위험한 다리에 지나지 않는다. 인간을 정신 쪽으로, 신 쪽으로 몰아대는 것은 내면의 명령이며, 그를 자연 쪽으로, 어머니 쪽으로 돌아가도록 잡아끄는 것은 절실한 동경이다. 이 둘 사이에서 두려움에 떨며 동요하는 것이 인간의 삶이다. 사람들이 <인간>이라는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은 언제나 일시적인 시민적 합의에 불과하다. 거친 충동은 이러한 관습에 의해 거부되고 금지되며, 얼마간의 의식과 예절과 교화가 요구된다. 정신은 아주 조금만 허용되고 요구될 뿐이다.
인간이란 이미 창조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정신의 요구이며, 그 실현을 갈구하면서도 또 겁내는 하나의 먼 가능성이다.
아는 애써 쓸데없는 것들을 말하고 물으면서, 그만 평소보다 과식을 하고 말았다. 순간순간 점점 비참해지고 있다는 느낌이었다.
소름이 끼칠 만큼 거슬렸어요. 당신이 이해하실지 모르겠습니다.
잘 이해할 수 있어요. 걱정말고 계속하세요.
진지함이란 시간을 과대평가하는 데서 생겨나는 거라네.(.......)영원 속에선, 자네도 알다시피, 시간이란 없다네. 영원은 한 순간에 불과한 것이라네. 즐거운 일을 하나쯤 할 수 있는 딱 그만한 시간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