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람스를 좋아하세요...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79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남편과 이혼을 하고 실내장식일을 하며 로제와 길고 안정적인 연애를 하고 있는 서른아홉의 폴이 여자 주인공. 폴을 진심으로 사랑하지만 혼자만의 시간과 자유를 포기하지 못하고 그 이상의 단계에서 벽을 치는 폴의 연상의 연인 로제가 남자주인공1. 폴이 어느 풍족한 집의 인테리어 일을 맡게 되며 알게된 고객의 아들, 스물다섯 살의 젊고 잘생긴 청년 시몽이 남자주인공2. 폴이 애인 로제와의 관계에서 표현할 수 없는 공허함과 외로움을 느끼고 있던 차에 낭만과 열정으로 적극적인 구애를 하는 시몽에게 마음 한 켠을 내어주게 돼.

나에게 홀딱 빠진 새로운 애인을 이용해 자존감 살리고 기분 전환한 뒤 기존 애인에게 돌아가는 이 쌀쌀맞은 여자의 감정, 이 씁쓸하고 진부한 이야기.

결국 폴에게 누가 더 좋은 남자일는지 모르겠다. 두 번의 삶이 주어져 각각이랑 한 생 씩 살아봐야만 알겠지. 높은 확률로 그 둘 다 별로이지 않을까. 로제는 결국에 채워지지 않는 외로움으로 폴을 불행하게 할 것이고, 시몽은 젊은 날의 변덕으로 눈에 띄게 애정의 크기가 달라져 폴을 비참하게 만들테지. 폴의 모든 감정들이 하나하나 이해가 되어서 함께 외롭고 씁쓸해하며 읽었다. 왜 여자는 이렇게 의존적일까? 마음 속까지 독립적이고 자신감 넘치는 여자 주인공 이야기를 읽고 싶다.(`나를 찾아줘`를 읽을 때가 되었다. 나의 히어로!)왜 여자는 이렇게나 주변을 의식하고, 문제 없는 본인을(심지어 훌륭한 상태의 본인을) 초라하게 여기고, 상대에게 습관적으로 자신을 연출할까. 자연스러우면 더 행복해질텐데, 본인 그대로인 것이 왜 그렇게도 어려울까. 왜 흘러가는대로 내버려두지를 못할까. 이 책을 읽으니 그 증상은 나이가 들면 들수록 더 심해지는 것 같아 마음이 조급해진다.

굉장히 두께가 얇은 데다 문장 호흡도 짧고 남녀간의 감정 묘사가 전부라 읽기 쉬운 소설이고 특히 대부분의 성인여자가 좋아할 작품이라는 인상을 받았다. 그렇지만 내용이나 분위기나 감정이 비슷한 책들이 너무 여려 권 떠올라서 특별히 좋았다거나 특별히 기억에 남을 것 같지는 않다.

당분간 피해야 할 책 중 하나였는데 줄거리를 전혀 모른 탓에 제목과 표지 속 샤갈에 홀려 읽어버렸네. 남녀 관계를 향한 비관적인 시선의 책은 결혼해서 애기 낳기 전에는 안읽으련다. 자꾸 그것만이 현실같이 느껴지고 매사 부정적이 되어버리잖아. 오늘 불쾌한 소개팅을 하고 들어와서 읽어서 더더욱 짜증나는 것 같기도 하다.

발췌

남자든 아이든, 누구든 상관없었다. 그녀를 필요로 하는 이, 잠들고 깨는 데 그녀의 온기를 필요로 하는 이라면. 하지만 아무도 그녀를 필요로 하지 않았다.

자신의 외모에 여전히 아무 확신도 갖지 못했지만 그는 한시름 놓이는 기분이 들었다. `나는 추한 얼굴이 주는 힘 같은 건 가질 수 없겠군.˝
-이건 마치 도리언그레이! 얄밉고 귀엽다.

이제 그녀는 새로 개척하는 대신 갖고 있는 것을 지키려 애쓰고 있었다. 직업을, 그리고 남자를......

여자들은 모든 것을 요구하고 모든 것을 다 내어주는 것처럼 보여서 완전히 마음을 놓게 만든 다음, 어느 날 정말 하찮은 이유로 떠나버린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냉정과열정 2017-11-04 0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찌보면 이 사강의 책은 1900년대의 프랑스 청춘의 삶과 같이 다가오는 책인 것 같네요. 예전에 소피마르소의 영화 ‘라붐‘과 같은 느낌을 주는 책인 것 같아요. 좋은 리뷰 감사^^

Cindy.K 2017-11-10 14:28   좋아요 0 | URL
앗 전 라붐이란 영화를 보지 못했지만 아마 좋은 인상일 것 같아서 감사 먼저 할게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