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루다의 우편배달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4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지음, 우석균 옮김 / 민음사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칠레의 아주 외딴 해안마을 네루다에 기거하며 작품활동을 하고 있는 국민시인 파블로 네루다에게 매일같이 우편물을 전하며 점차 깊은 우정을 느끼는 시인과 우체부의 이야기. 우체부가 사랑에 빠져 시인의 힘을 빌어 사랑을 고백하는 에피소드가 소설 초중반부를 차지해 그만 사랑이야기인 줄 알았는데 결혼도 하고 애도 낳고 나름의 경제활동을 하는 시민 하나의 이야기를 다정하게 소개했을 뿐 중요한 것은 칠레라는 나라의 한 시기인 듯해. 민중소설이라고 이해하는 게 맞겠다. 노골적이지도 처절하지도 않은데 먹먹했어.

책을 읽고 뒤에 에필로그를 읽어보니 실제 작가 안토니오 스카르메타가 실존했던 시인파블로 네루다를 인간적으로 존경했었대. 가상의 인물 마리오를 만들어 이미 명성을 얻은 작가로서 바쁜 작품, 사회 활동 중에도 민중과 스스럼 없이 대화하고 진정으로 나라의 평화를 바랐던 시인과의 아쉬운 이별(죽음)을 애도하는 마음으로 썼나보더라고. 시대와 방법을 초월하는 우정이 느껴져서 참 따뜻하더라. 꽤 유머감각도 있고 젠체하지도 않고 쉽게 쓰여서 읽기 편안했어. 근데 큰 임팩트는 아니라서 이렇게 남겨 놓지 않으면 기억이 안날 것 같당당당당. 뭔 소리하냐. 지금 스피커폰으로 통화하면서 써서 뭔 말하고 있는지 모르겠당당당당.

발췌

한없는 인내를 지닌 태평양도 못한 일을 산안토니오의 단촐하고 정겨운 우체국이 이루어냈다.

`내가 누구지, 내가 지금 어디 있지, 숨은 어떻게 쉬지, 말은 어떻게 하지?`
-위 두 발췌 문장이 우연인지 요즘 유행하는 말과 비슷해서 신기했다. `그 어려운 걸 해냅니다`와 `난 누구 여긴 어디`같은

시를 이용해 베아트리스를 꾀어보려 했을 때, 칠레에서 가장 두려운 기관과 맞닥뜨렸다. 바로 딸 가진 어머니였다.

말 뒤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기 때문이야. 허공에서 사라지는 불꽃놀이일 뿐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