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사랑일까 - 개정판
알랭 드 보통 지음, 공경희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1월
평점 :
무라카미 하루키랑 요즘 잘 안 맞는지 하드보일드 원더랜드2를 시작할 기분도 상황도 아니어서 오랜만에 알랭 드 보통을 택했어. 우선 좋아하는 작가 중 한 명이고 훌륭한 문장가라고 항상 생각해왔으면서도 막상 리뷰로 단 한번도 남긴 적이 없어서 한 번 쯤은 리뷰용으로 다시 읽어야겠다고 생각은 했었거든. 가장 재밌게 읽은 ˝여행의 기술˝을 다시 읽으려했지만. 이 것 역시 기분과 상황의 영향으로 ˝우리는 사랑일까˝를 펼쳤어. 사실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 우리는 사랑일까 / 너를 사랑한다는 건 이 세 편은 읽을 때 모두 재밌게 읽었지만 각각 구분되는 특별한 인상이 없어. 세 권을 다시 연달아 읽으면 알겠지만 그리고 리뷰로 남기면 알겠지만 모두 1-2년 텀을 두고 읽었던지라.
우선 알랭 드 보통은 `성의`와 `지식`이 있는 작가이기 때문에 곱씹으며 읽어야 했던 기억과 스토리보다는 문장을 발견해야하는 작품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어. 어제 누군가가 알랭 드 보통 작품 읽기 어때? 했으면 저렇게 대답했을거야. 그런데 몇 년만에 읽은 드 보통의 작품은....놀라울 정도로... 유치했어. 너무 쉽고 너무 깊이가 없어. 물론 연애 소설이라고 구분 짓는다면 그 중에서는 최고일건데 그래도 그 분류라는 것 자체가 내가 그간 했던 평가를 확 무안하게 만들더라고. 읽기에 시간이 좀 오래 걸린다고 생각했었는데 두 시간 정도 걸렸나. 그냥 겁나 가벼운 작품이구나.
그리고 요즘 책을 많이 읽고 기록을 많이 남기면서 역사나 작가, 작품에 대한 기억이 상당히 구체적인 상태인데 굉장히 논리에 힘을 더하는 비유나 소개들이 원래는 낯설고 어려워서 드 보통의 지성을 되게 높다고 생각하게 했었거든. 근데 그래봐야 플라톤이고 그래봐야 플로베르고 그래봐야 험버트더라고. 알면 얼마든지 비유할 수 있었어. 지식의 자랑이 아니고 얼마나 적절한 비유인지에 공감하는 재미는 확실히 늘었지만 반대로 아 대단한 지식도 아니었구만 하는 허망한 깨달음. 니가 똑똑한 게 아니고 내가 무식한 거 였다.
이제야 줄거리. 감성적인 보통의 여자와 이성적인 보통의 남자의 연애인데 각각 가진 약간의 트라우마들이 있어. 여느 커플과 같이 드라마틱하게 시작하고 안정적인 연애를 일궈나가지만 즐거움과 환상이 지나고 따라오는 서로의 다름과 공허를 조금 더 여자의 입장에서 이야기하고있어. 그냥 보면서 아 섭섭하겠다 아 남자한테 여자가 피곤하게 했네 이런 감정을 느끼게 하기보다는 섭섭함, 피곤, 불안 등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심리를 설명하는 식이야. 그리고 그런 같은 경우가 여기에도 저기에도 있었다는 식으로 문학 속 이야기를 꺼내기도 하고 철학자의 말을 인용하기도 하고.
대부분의 사랑이 저렇게 생긴건 아는데 그래도 왜 저 두 사람의 케이스로 이 책 한 권을 끌어나갔을까? 사랑이란 말이 나오기에 너무 안 아름다운데. 그냥 저건 환상의 시작과 깨짐 아닌가. 그리고 난 남자 여자 주인공 캐릭터 둘 다 거의 공감을 할 수 없었어. 이것 역시 둘 다 한 성을 대표하기에 꽤 일반적인 케이스라고 할 순 있지만 난 그 여자 주인공과 전혀 다르고 내가 사랑한 남자도 남자주인공과 굉장히 다를건데. 뭘 사랑이야. 사랑 아니야. 사랑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별점이 4개인 이유는. 우선 재밌잖아. 참 재밌어. 아는 이야기이지만 인정하기 싫어서 외면하는 내 하찮은 감정을 하나하나 비집어가면서 들춰내는 게 참 얄미운 친구같기도 하고. 그리고 이러나 저러나 말을 참 잘해. 그리고 예술 문화를 이렇게 간접적이고 정확하게 들을 수 있는 기회도 많지 않잖아. 다음 책은 뭘까....
발췌
Your visits and your smile make the mornings seem worthwhile
서투르고 모호하게 사랑을 속삭이느라 평생을 허비하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면 조용히 자살하고 마는, 창백한 북구 남자들[베르테르와 같은]의 접근 방식
-이런 식의 인용 재밌다 ㅋㅋㅋ 베르테르 디스. 찌질미 나도 싫었는데
그녀의 자신감은 늘 확인을 받아야만 자라는 불안전한 구조였다-원하는 걸 얻거나, 누군가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의 사랑을 받으면 자신과 타인에 대한 믿음을 쌓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런 믿음은 바람이 빠지는 타이어 같아서 늘 다시 채워줘야 했고, 그게 불가능해지면 이전의 낙관이 오만한 허위로 보이는 상태로 급속히 빠져들었다.
-많은 여자들의 문제
p.120~122
그 남자는 겉으로 보기에는 잘 정돈된 상태인 것 같지만, 사실 남보다 더 무질서를 두려워하고 의식한다고 볼 수 있었다.......그렇다 해도 인생의 중요한 요소들이 제자리에 가지런히 놓여 있는 상황에서만 덤벼들었다.
-엄세윤 만나보셨어요? 에릭 캐릭터와 너무 심각히 비슷해서 오랜만에 역겨운 기억이 스물스물.
사랑이란 일부분은 빚을 지는 것이고, 누군가에게 뭔가를빚지는 데 따른 불확실성을 견디고, 상대를 믿고 언제 어떻게 빚을 갚도록 명할 수 있는 권한을 넘겨주는 일이다.
누군가의 인품을 빨리 알고 싶다면 우유를 한 모금 입에 가득 머금었다가 그에게 뿜어보라. -제니 홀처
나는 나를 사랑해가 부족함을 벌충하므로 당신을 사랑해란 말이 덜 필요하다. 당신이 왜 날사랑하지 않겠어?는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사람이 사랑에 빠졌을 때의 기본 태도다. 내가 나한테 느끼는 감정을 당신이라고 못 느끼겠어?
사랑에서는 권력이 무엇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아니라, 아무것도 안 해도 되는 능력으로 간주된다.
행복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그 일을 즐기기가 힘들었다. 경이롭다는 생각을 하기도 전에 감탄을 늘어놔야 하는 경우에 그랬다. 행복해야 한다고 계속 되새기는 것보다 서글픈 일이 있을까.
여자들은 까탈을 부리도록 타고났다는 오랜 통념에 근거하여, 여자가 까탈을 부리는 원인을 제공하는 남자들은 면죄부를 얻었다.
-까탈 부리는 여자도 싫고 저걸로 합리화하는 남자도 싫다. 보통 사람의 보통 기분과 보통 패턴이 싫다.
관계의 기반은 상대방의 특성이 아니라, 그런 특성이 우리의 자아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다.
앨리스는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 있으면 흥미로운 인물일 수 있다는 사실을 잊고, 스스로 아주 재미없는 사람이 되어버렸다고 결론지었다......할 말이 있다는 사실을 까맣게 잊었다.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것 뿐 아니라 우리가 말하고 싶은 것, 말하고 싶어할 수 있는 것까지 타인이 결정한다는 증거다.
-아마 가장 중요한 부분. 누굴 만나느냐. 누구를 통해 내 자아를 만날 것인가. 결국 너를 선택하는 것이 곧 나를 선택하는 것. 누구와 있을 때의 내가 가장 좋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