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화로운 삶
헬렌 니어링 외 지음, 류시화 옮김 / 보리 / 200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하루에 네 시간까지만 일을 하고, 나머지는 자기를 위한 생활을 할 수 있을까?  헬렌과 스콧 니어링 부부의 삶을 보면 그런 것 같다.  물론 이들의 이야기는 거의 100여년전의 시대의 것이지만, 헬렌 니어링이 1989년에 귀천했다는 것을 생각할 때 그리 먼 과거의 이야기도 아니다.   

우리는 인생의 대부분을 소비하고, 또 소비하기 위한 재화생산 및 획득에 쓴다.  보다 더 많이 먹고, 많이 쓰고, 넓은 곳에서 살기 위한, 즉 소비하기 위한 삶인 셈인데, 그렇게 생각하면 우리는 경제를 지탱하고 순환시키기위한 수단으로써의 삶을 살고 있기도 하다.  현재의 팽창주의 경제를 보면 특히 더 그런 것 같다.  더 먹도록, 더 쓰도록, 더 사도록, 더 마시도록..., 계속해서 조장되는 우리의 소비는, 이를 지탱할 수 있는 노동과, 여가시간 및 다른 분야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시간의 희생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또다시 기득권 세력, 다수의 대중의 생각하는 힘을 빼어버리고 싶은 사람들의 목적을 serve하는게 아닌가 싶다. 

이 부부는 버몬트 시골로 내려간 뒤로부터 죽을 때까지 자신들이 정한 원칙에 따른 일정한 노동과, 활동, 채식, 검약, 등을 실천하면서 살았다고 한다.  매우 건강하고 맑은 몸과 정신을 유지하면서.   

정신없이, '빨리 빨리'가 화두인 요즘에 더더욱 이런 삶을 꿈꾸어본다.  언젠가, 평화롭고 조용한 땅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쁜 사마리아인들 - 장하준의 경제학 파노라마
장하준 지음, 이순희 옮김 / 부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Tea Partier들이나 다른 급진수구주의자들에게 꼭 읽히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쁜 사마리아인들 - 장하준의 경제학 파노라마
장하준 지음, 이순희 옮김 / 부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장하준 교수는 현대 한국이 낳은 세계 최고의 범주에 드는 몇 안되는 천재들 중 하나이다.  이십대 후반인가 삼십대 초에 영국 최고의 명문사학에의 교수가 된 이래 총 14권의 책을 펴냈고, 이들은 모두 각각 일년 이상의 peer review를 거쳐 출판된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경제학 책이 된 것으로 알고 있다.  특히 이채로운 것은 한국인으로서 1세대인 그가 책은 모두 영어로 썼다는 것이고, 한국에 출판된 국문판은 무려 '번역'이 되어 들어온 것이다.  아마도 조중동이나 수구에서 원하는 이론가로서 이런 이력을 지녔다면 벌써 지금보더 훨씬 더 큰 유명세를 타고 있었을 것이다.  아마도 한국이 낳은 세계 최고의 경제학자가 '쥐쥐'하는 정책 운운하면서 말이다.  월등한 그의 지능과 탁월한 커리어 이상 그의 정신이 정직하게 깨어있다는 것이 동시대를 사는 우리에겐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조용헌이 쓴 '500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에도 선정되어 취재되었을만큼 대단히 뼈대있는 집안의 자손인 그는 어릴 때부터 독서를 즐겼다고 하는데, 우리 독서인들에게는 역시 매우 반갑고 encouraging한 정보이다.   

장하준 교수에 의하면 신자유주의 경제학에서 내세우는 이론이란 결국 이미 판을 다 차지한 자들 - 작게는 부자, 크게는 부자국가 - 들이 그보다 못한 사람/국가들의 진입장벽을 높히고, 그들의 삶 또는 경제를 자기들의 목적과 필요에 맞게 종속시키기위함인 것이다.  즉 신자유주의 경제학의 목적 자체가 그런 inherent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론적으로도 문제가 많은 - 내 느낌으로는 cause와 correlation을 적당히 섞어 혼동한 - theory라는 것이다.  예컨데 이런 식이다. 

- 플로리다 주에서 조사한 결과 아이스크림의 판매가 늘어나면 해수욕장에서의 상어상해도 늘어난다고 한다.  이때 아이스크림과 판매증가와 상어상해의 증가는 직접적인 원인-결과가 될 수 없는 correlated 된 사실인, 서로에게 있어 cause가 될 수 없는 독립적인 fact일 뿐이다.  이것을 혼동하면 대략 아이스크림이 많이 팔릴수록 상어상해사건이 빈번해진다는 어처구니없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또한 장하준 교수에 따른 상당히 많은 신자유주의 경제학파의 이론의 문제는 특정 인과관계의 사실/사건을 분석할 때 결과와 원인을 혼동하거나 의도적으로 섞어 취급하는 것이다.  즉 '경제발전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수많은 행동특성들은 경제 발전의 전제조건이 아니라 경제 발전으로 따라올 것'인 것을 반대로 해석하는 것이다.  더구나 많은 것들은 원인이면서 동시에 결과가 될 수도 있다는 저자의 말을 보면 특히 신자유주의 학파의 흑백논리는 맹점이 많은, 일종의 self-serving한 것 같다.  

그는 자신의 이런 이론을 다양한 역사적/산술적 수치와 비유로 뒷받침하는데, 매우 쉬우면서도 설득력이 있다.  장하준 교수의 다른 책들도 역시 구해서 읽어보아야 우리 시대를 휩쓸고 있는 신자유주의 학파 내지는 신봉자들, 근본적으로 보수난 수구 (예를 들면 한나라당이나 미국의 공화당 및 tea party추종자들)와의 논쟁을 위한 이론적 토대가 마련될 수 있을 것 같다.   끝으로 그의 한 마디! 

"대부분의 사람들이 나쁜 일을 할 때는, 그 일로 엄청난 물질적 이득을 얻는다거나, 그 일에 대한 강한 확신이 있어서가 아니다.  다만 그것이 가장 쉬운 길이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경우가 많다." 

살면서 문득 자신의 삶과 견주어 사색해볼만한 경구라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상상력 사전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개미,' 타나트노트,' '아버지들의 아버지,' '나무,' 등의 수많은 히트작을 낸 프랑스의 현대 소설가 이다.  비록, 개인적으로 볼때 요즘의 작품에서는 힘이 좀 딸리는 느낌이 들지만, 그래도 그의 전작들은 상당한 인기를 끌 만큼 흥미로운 소재를 이용하고, 우리에게 지적 질문을 던지는 것 같다.  ('타나트노르'를 읽고 잔 밤에 처음으로 유체이탈을 경험한 것을 기억한다.  글이란 결국 우리의 무의식 깊은 곳으로 가라앉는것이 아닌가 싶다). 

이 책에서는 온갖 잡다한 정보, 이야기, 생각이 다 버무려져 있기에, 한 대목씩 천천히 읽어도 좋고, 그 자리에서 다 읽어버려도 좋다.  이런 저런 잡설과 야사를 보다보면 어느새 다 읽게 되었음을 알게 된다.  이들 중 실행해볼만한 것도 몇 가지 있는데, 꿈을 control하기 위한 dream note 작성과 토론등의 trainin을 어제부터 시작해 보았다.  그것 말고도 몇 가지가 더 있으니 읽는 사람은 주의해서 판단할 노릇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 실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아는 일본의 문학이란 결국 나쓰메 소세키 정도이고, 접해온 대부분의 일본 도서란 결국 공상과학, 괴기, 만화, 등의 분야이지라, 다자이 오사무로 대표된다는 일본의 데카당 또는 무뢰파 문학이란 것은 매우 낯설다.  아니, 일본의 문학이라는 것 자체가 상당히 낯설다고 봐야겠다.  아직도 잘 모르는 러시아 문학보다도 훨씬 더 모르고 있다.  난해해서가 아니라, 접하지 않아서이데, 이런 부분의 어떤 한계를 느낀 바, 일종의 목적의식을 가지고 출판사에서 선별하는 일본의 문학이라는 것을 읽어보려 노력하고 있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써, 나쓰메 소세키가 아닌 다른 작가의 작품을 고른 것이 아필 이 '인간 실격'과 합본으로 수록된 '직소'인데, 다자이 오사무란 작가가 쎴다.   설명에 의하면 이 작가는 일본의 패전 후의 시대를 휩쓴 데카당 문학의 대표주자라고 한다.  데카당의 은 데카당스로도 읽히는데 19세기 말에 나왔던, 절망에서 도래한 퇴폐주의 문화를 가리킨다고 사전에 나와있다.  좀더 뒤로 가자면 (내 기억으로는), 데카당스/데카당의 데카는 숫자의 완전수, 또는 끝을 표현하는 데카, 즉 10에서 기인한 '절망' 또는 '막장'을 나타내는 말이고, 어떤 절망적인 사회적인 행동, 주의, 등등에 모두 쓰인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그러니 데카당 문학은, 적어도 이 작품을 보면, 말 그대로 절망과 염세주의에 빠진 그야말로 막장의 심리상태나 자아비판적인 것을 소재로 한 어떤 한 문학의 지류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는 매우 부정확하고 완전할 수 없는 정의이긴 하지만, 현재로썬 달리 파악이 되지 않는다.  좀 알고 싶어서 인터넷을 뒤졌는데, 기껏 나오는 평이 책 끝부분에 나오는 역자의 평과 정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심지어는 출전이 다른 블로거들의 글의 내용이나 표현이 겹치는 것도 볼 수 있었으니...  

자전적인 이 소설과, 예수밀고 직전의 유다의 불안정한 심리를 그린 '직소'를 보면 무엇인가 느껴지는 것이 있는데, 어떤 자성, 운명, 막장, 뭐 이런 것들이다, 대충.  글로 정리가 잘 되지 않는 것은 아마도 이 무뢰파 문학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이 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아무튼, 읽어볼 만한 작품이라고 생각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