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메르, 혹은 신들의 고향 시친의 지구연대기 1
제카리아 시친 지음, 이근영 옮김 / AK(이른아침)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문명은 약 3번에 걸쳐 갑자기 생겨났다 - 라는 테마는 다른 책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는 일종의 범 인류적인 미스터리에 속한다.  즉 현재까지 연구된 바에 의하면 천천히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 일어난 것으로 알려진 우리의 진화 중간중간에는 이렇듯 갑작스런 문명의 등장과 번영이 수 차례 일어난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정통학문에서 다루는 연구와 법칙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한 것이다.  사실 히스토리체널의 '선사의 외계인들' 시즌 1과 2를 본 사람이라면 어느 정도 접한, 익숙한 테마일 것이다.  

시친이 다루는 이 연구는 기존의 역사, 연구 등의 사실을 근거로 하여 다른 야사나 세계적인 전승기록을 참고하여 직관적으로 추론하여 진행되는 것 같다.  즉 기존의 학계에서 바라보는 관점의 해석이 아닌, 직관적이고 통합적인 기록의 비교연구를 하여 나오는 가정을 'what if'의 형식을 빌려 추론해내는 것인데, 매우 조리있고 합리적이다.   

이 책이 가고자 하는 방향을 보면 결국 선사시대의 전승과 유사시대의 기록이나 신화는 실제로 일어났던 일을 우화적으로 기술한 것을 풀어내어 저자가 생각하는 우리의 먼 과거를 서술하는 것 같다.  시친의 선배격인 여러 저자들 - '신의 지문', '시리우스 커넥션,' 또는 데니켄 류의 - 의 연구를 이어서 그는 정통학계가 다루지 않는 우리의 역사를 찾고 있는 것이다.  매우 흥미있는 추론과 그럴듯한 이야기들이라 시간가는줄 모르고 읽었다. 

그런데, 이런 책이 이렇듯 쉽게 나오고, 또 관심을 끄는 걸 보면 시대가 참 좋아졌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불과 100여년 전에 그와 비슷한 방식으로 고대전승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당히 신빙성있는 가설을 여러 차례 출판했던 사람이 있었고, 시친과는 달리 그는 평생 정통학계의 비아냥에 시달리다가 인정을 받지 못하고 죽었기 때문이다.  벨리코브스키로 알려져 있는 그 저자는 시친처럼 다양한 전승을 바탕으로 천재적인 직관적 추론을 이용하여 선사시대의 우리 역사를 연구했었다.  아직까지도 학계가 인정하고 있지 않지만, 그의 추론들 중 상당부분이 이미 진실로 밝혀졌는데도 말이다.  역시 타이밍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시친에 따르면 성서의 기록, 그리스/로마 신화, 바빌론의 신화, 수메르 신화 등 세계 곳곳의 유사한 전승들은 어떤 실제 사건을 기록한 것이고 후대에 잊혀진 것이다!  이는 벨리코브스키도 '전승들은 문명시대에 문명이 살아질 후대에도 기록이 어어지도록 신화형태와 갖가지 포장으로 이야기를 전하려 했던 시도의 산물'이라는 주장으로 비슷하게 논증을 했던 바 있다.   

결국 궁금증은 더해만 가는데, 과연 12번째 행성 니비루는 2012년에 우리 앞에 나타날 것인가?  어쩌면 점점 더 늘어나는 UFO현상이 니비루의 공전궤도가 지구와 가까워지고 있다는 증거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주 가볍에 읽으면 공상과학소설을 읽듯 재미를 느낄 수 있고, 좀더 깊이 생각한다면 정말 많은 주제에 대하여 갖가지 망상을 떠올려 줄 매우 흥미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