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 토리노 - Gran Torino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스포일러)





영화관을 나오는데 두통이 밀려왔다. 억지로 눈물을 참으려 해서 그런걸까.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의 영화들은 사람을 슬프게 만들지만, 자꾸만 울지 말라고 이야기한다. 이른바 애이불비(哀以不悲). 마음 속으로는 슬퍼해도 그렇게 슬퍼하고나 있어서는 안된다고 말해주는 것 같다. 그리고 자꾸만 무엇인가를 적어내려 가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스트우드 감독의 영화는 영화 그 이상의 무엇을 적는 것을 부질없는 짓이라고 생각하게 만든다. 아마도 영화 속 월트(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이 영화에 대해서 고귀한 희생이니, 가슴이 벅찬 감동이니 하고 적은 여러 리뷰들을 보았다면 얼굴을 살짝 찡그리고는 맥주를 한 모금 들이켜고 시니컬하게 되뇌었을 것 같다. "다 쓸데없는 소리지." 그는 그런 종류의 사람이다.

그러나 또 나는 그 쓸데없음 속에도 어느 정도의 가치는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며, 뭔가를 캐내기 좋아하는 종류의 인간이다. 그저 기억하기 위해 몇 가지를 간단하게 월트 몰래 적어두도록 하자. 
 

1.

월트는 좋은 아버지가 아니다. 어쩌면 월트는 집안에서 소외된 가장이었을지도 모른다. 어머니와 자식들은 친밀하지만, 아버지와는 아무도 대화하기를 원하지 않는 그런 집안말이다. 그러나 이제 아내는 죽었다. 그러고보니 이 영화의 시작이 아내의 장례식임은 의미심장하다. 전작 <밀리언달러 베이비>에서도 나이든 트레이너 프랭크는 아내가 없었다. 그리고 딸과의 사이는 좋지 못했다. <체인질링>에서도 크리스틴은 혼자 아들을 키웠다. 그리고 그 아들을 잃어버렸다. <그랜 토리노>에서는 월트는 영화의 시작에서 혼자가 되었다. 그리고 이제 모든 자식들은 그를 싫어한다. 이 상황에서 <밀리언..>의 프랭크와 <그랜 토리노>의 월트는 모두 같은 길을 걷는다. 프랭크가 매기를 딸을 삼았다면, 월트는 몽족소년 타오를 아들을 삼는다. 또다른 가족의 탄생.

왜 스스로도 의아해하면서 월트는 타오의 아버지가 되는 것일까. 몇 가지를 추측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월트가 타오에게서 그 자신의 모습을 본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이다. 이발사가 폴란드 놈이라고 놀려대는 것처럼, 어쩌면 월트도 가난한 이민자 출신이었을 것이다. 가난한 집안의 이민자 소년이 할 수 있는 선택은 그다지 많지 않았을 것이다. 군인이 되어 전쟁에 나가는 것이 그 중 하나. 그리고 그가 전쟁에서 무리한 작전에도 용감하게 나섰던 것은 어쩌면 빨리 어메리칸이 되고 싶은 욕망, 그것의 다른 표현이었는지도 모른다. 항상 미국적인 가치를 강조하고, 유색인종들에게 불편한 감정을 가지고 있는 그의 성향도 어쩌면 이와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닐까.

다른 하나는 월트가 타오에게서 무엇인가를 보았다는 것이다. 차를 훔치려던 것에 대한 반성의 의미라고는 하나, 시키는 모든 일들을 별 군말없이 묵묵히 해내는 소년. 이 소년에게서 뭔가 '괜찮은' 부분을 발견했던 것이다. 그러고보면 월트가 수를 청년들에게서 구해주던 장면에서도 그렇다. 월트는 차를 세워놓고 조용히 그들을 관찰한다. 이들을 도와줄까 말까 망설이는 것처럼. 그리고 수가 청년들을 겁내지 않고 맞서려 하자, 그제서야 차를 몰고 그들에게로 간다. 월트가 보았던 '괜찮은' 부분은 무엇일까. 아마도 그건 수의 경우에서처럼 두려움 없이 무엇인가를 대하는 태도였을 것이다. 타오는 갱단이 되기를 거부한다. 그리고 갱단이 되는 청년들은 미래에 대한 두려움으로 갱단이 된다. 총과 폭력에 의지하지 않고서는 세상에 맞설 용기가 없는 것이다. 
 

2.

이스트우드 감독이 세상을 보는 방식은 무엇일까. 그가 이 세상이 아름답고 평온하기만 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지 않음은 분명해보인다. 그는 <밀리언...>에서는 '네 자신을 보호하라'고 말했고, <체인질링>에서는 '먼저 싸움을 시작하지는 말되, 시작된 싸움은 스스로 끝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에게는 아마도 이 세상은 어느 정도의 싸움이 불가피한 곳이며, 아니, 어느 정도의 싸움은 필요한 곳이라고 생각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싸움을 피할 수 없는 이 세상에서, 그가 항상 강조하는 것은 공정한 룰의 필요이다. 싸움은 하되, 공정한 룰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 그러나 영화 속 월트의 대사처럼 세상은 공정하지 않다. <밀리언...>에서는 공정하지 않은 게임이 진행되었고, <체인질링>의 크리스틴은 그녀 혼자의 힘으로 여러 권력기관들과 맞서야 했다. 그리고 이 영화에서는 총과 커다란 폭력 앞에 노인과 아이들이 맞서야 한다. 이렇게 공정하지 않은 세상에서 우리가 무엇을 할수 있는가.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항상 되묻는다.

이와 관련해 전작에서도 그렇고 '종교'라는 것의 역할이 흥미롭다. 영화에서 월트는 나름 독실한 신자인 듯 하나, 모든 것을 종교에만 의지하지 않는다. 고해하러 찾아간 신부에게도 기대한 이야기는 들려주지 않고 다른 이야기만 하고 나온다. 이 모습은 <밀리언...>에서 교회에서 귀찮은 질문만 해대던 프랭크의 모습과 겹친다. 아마도 이스트우드는 신의 영역과 인간의 영역이 따로 있다고 생각하는 듯 하다. 즉 어차피 신의 영역을 침범할 수 없는 인간으로서는 그저 자신의 할 일을 다하면 된다는 것. 용서와 참회와 기적은 신의 영역이라는 것. 그저 인간은 그 전에 자신이 할 일을 할 뿐이라는 것 말이다.

그래서 이 마지막에는 살짝 의문이 든다. 이 마지막은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희생을 통한 고귀함이고, 자신이 한국전에서 죽인 소년병에 대한 참회의 마음인가. 도리어 나는 그 반대의 인상을 받았다. 참회나 용서는 나의 몫이 아니라는 것. 신이 나를 용서하지 않을지라도, 나는 그저 내가 해야할 몫을 할 뿐이라는 것 말이다. 왜냐하면 이는 자신의 목숨을 버리는 선택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독교에서 자신의 목숨을 스스로 버리는 것은 너무나도 큰 죄악이기 때문이다.  




3.

영화를 본 후 몇 개의 리뷰를 보았는데, 인종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이채롭다는 시각도 있었고, 또 그에 더 나아가 미국인이 세상을 구원한다는 관점에서의 불편함, 혹은 유사한 의미의 '팍스 아메리카나'로 보는 시각도 있었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는 이 영화에서는 인종 문제에 포커스가 맞춰지는 것을 피하고자 했다는 인상이 짙다. 아니 조금 더 정확히 말하자면, 인종 문제를 넘어선 그 이상(以上)의 시각, 인종 문제가 언급되지 않는 그 이상의 세계를 그리려고 했던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이다. 사실 역설적으로 보았을 때 인종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세계에서는 인종이라는 것은 더 이상 전혀 언급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는 결국에는 수와 타오를 괴롭히는 것이 다름 아닌 자신들과 같은 몽족의 갱단이라는 것이다. 즉 흑인이나 백인의 갱단이 아니라는 점이다. 아마도 이스트우드 감독은 이 영화에서 비롯된 결정적인 대립이 인종으로서 비롯된 문제라기보다는 인종을 벗어난 다른 것의 문제라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그리고 또 하나는 영화 속 월트와 이발사와의 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이들은 자신들의 인종에 대해 유쾌하게 농담을 나누며 서로에 대한 막말(?)을 서슴치 않는다. 이들에게서 인종간의 긴장이란 찾을 수 없다. 아니 더욱 정확히 말해서 역설적으로 이들의 관계에서 인종이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것이 그들 사이에서 아무 문제 없는 농담이 될 수 있다면 그들에게 있어서 그것은 실제로 전혀 중요한 것으로 고려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것이 이스트우드 감독이 인종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생각일 것이다. 이민자들로 이루어진 이민자들의 국가, 미국. 이 미국 땅에서 순수 어메리칸을 이야기하는 것, 혹은 인종간의 대립과 차별을 이야기하는 것은 이제는 정말 우스운 것이 아닌가 라는 시각. 그것은 이제는 더 이상 고려되지 않아야 된다는 것, 하나의 농담이 됨으로써 말이다.


4.

그랜 토리노. 1972년 포드에서 생산된 옛날 자동차. 옛날 자동차를 가지고 그것을 유지하는 것은 피곤한 일이다. 항상 관리를 해주어야만 자동차가 굴러갈 수 있기 때문이다. 성능 그 자체로만 따진다면, 옛날 자동차는 절대 최신의 자동차를 따라 잡을 수 없다. 그렇다면 옛날 자동차를 가지고 싶어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건 깊게 생각해 보지 않아도 당연하다. 그것을 소유함으로써 느끼게 되는 명예와 긍지, 그것을 가지고 싶은 것이다. 그 명예와 긍지는 간단한 것이 아니다. 지난 몇 십년 동안의 차에 대한 정성과 애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이스트우드 감독의 영화는 복잡하고 어려운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많은 등장인물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복잡하고 다층적인 스토리로 이루어진 영화도 아니다. 어떻게 보면 간단한 스토리로 이루어진 작은 영화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작은 영화는 커다란 울림을 관객들에게 전달하며, 영화 이상의 어떤 순간을 관객들에게 느끼도록 한다. 그 작은 이야기가 그렇게 커다란 느낌으로 다가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의 해답은 그가 살아온 몇 십년 간의 영화에 대한 정성과 애정에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몇십 년 동안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쌓아온 가치의 힘에 있다. 그가 살아온 몇십 년 간의 삶에 대한 자세가 이 영화에는 담겨 있다. 그래서 영화는 때로 보이는 것 이상의 많은 것을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