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늦게 윤이형 작가에 대해 찾아보고 있는데, 몇 가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윤이형 작가가 이제하 작가의 외동딸이라는 사실 같은 것. 여러 기사를 보다가 한 부분에 눈길이 머물렀는데, 최근 이상문학상을 수상하고 인터뷰 자리에서 한 말이다. 이 말에 꽤 공감했다.


"우리 사회의 남녀 갈등 양상은 피할 수 없는 것입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서로를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해요. 그런 점에서 지금 우리는 어떤 과정 중에 있기 때문에 ‘(남녀 갈등과 대립은) 옳지 않다’라고 말하는 것도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소설 안에 국한해서 말하자면, 부부가 헤어질 때 원한에 가득 차서 서로를 미워하는 건 각자의 행복에 도움이 안 된다고 봅니다."


사실 이 소설(<그들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고양이>)의 인상적인 대목 중에 하나는 이 문장으로 시작하는 대목이다. "결혼이 남미의 오지로 떠나는 위험한 여행이라면, 아이의 양육자가 되는 일은 우주선에 탑승해 미지의 행성에 정착하기 위해 떠나는 것과 같다. 앞서 간 여행자들의 데이터는 제대로 전송되어 오는 법이 없으며 우주선 안에서는 시간이 지구에서와 다르게 흐른다.(p.45)" 나는 이것을 조금 비틀어 보고 싶다. 남녀가 결혼하는 것은 어쩌면 지구인과 외계인이 같이 미지의 행성을 탐사하기 위해 떠나는 스타트렉 같은 것이 아닐까(<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와 합쳐봤다). 남녀 중 누가 지구인이고 누가 외계인인지는 모르겠지만 결국 '아무리 노력해도 서로를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것은 마찬가지다. 어떤 네 발로 걷는 외계인이 두 발로 걷는 지구인에게 너 왜 두 발로 걸어?라고 묻는다 해도 지구인으로는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나는 이해의 시작이란 결국 이것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상대방 개인 혹은 집단(남자이든 여자이든, 혹은 다른 무엇이든)의 어떤 것을 결국 (어떤 집단에 소속된) 나는 이해할 수 없을 것이라는 것. 데리다는 "용서란 오직 용서할 수 없는 것을 용서하는 것이다."라는 말을 했는데, 이해란 것도 사실 어쩌면 비슷한 것이 아닐까. 이해란, 결국 이해할 수 없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최근 데리다의 책 <용서하다>가 나왔다. 나부터 읽어봐야 할 듯.)


아무튼 윤이형 작가에 대해 더 궁금해졌다. 이번달 Axt의 메인 작가가 윤이형 작가던데 읽어봐야 할 것 같다. Axt를 이번 달에는 건너뛸까 했는데 어쩔 수 없이 사야할 듯.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4-02 02:0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