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하나쯤 가지고 있는 약점(?)을 이용해 돈과 권력을 획득하는 거대 생태계를 Shame Machine 이라 명명하고 분석한 캐시 오닐의 책입니다. 비만, 중독, 빈곤, 외모 등이 어떻게 산업화되고 권력에 이어지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많은 부분 공감이되고 앞으로 더 많은 분석과 대응에대한 연구가 이어졌으면 합니다.





광대가 조롱한 것은 이들의 행동이지 존재 자체가 아니다. - P9

수치심은 개인의 욕망과 집단의 기대 사이의 갈등을 내포한다. - P10

다이어터에게 일어나는 문제는 요요현상이 오느냐 마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단기간에 오느냐라고 연구진은 기술했다. - P43

2018년에 연구자들이이 실험을 열 배 규모로 실시하면서, 부모의 소득과 교육 수준을25통제했다. 실험 결과, 아이들이 마시멜로를 집어 먹게 한 그어떤 요인보다도 부모의 부와 교육 수준이 아이의 장기적인 성과훨씬 더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P109

공유가치가 있는 공동체에서 수치심만큼 구성원을 강하게 단속하는 힘은 없다. - P218

다수의 사람, 특히 힘이 약한 사람들에게 무례함은 유일한 무기이기도 하다. - P248

그런데 이 문제들을 해결하는 일이 생각보다 복잡하고 비용도꽤 든다는 게 분명해지자, 우리의 태도가 달라졌다. 피해자를 위해 시작한 전쟁이 피해자들을 겨냥한 전쟁으로 바뀌었다. - P2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