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게모니는 힘보다는 동의를 통해 지배하지만, 궁극적인 폭력의 암시가 언제나 따라다니고 있다. - P80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표방하는 속성들은 모든 남성들에게 기꺼이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들은 아니다. 현실에 존재하는 남자들에게 모종의 압박으로 다가온다. 하지만 대부분의 남자들은 이 헤게모니적남성성에 큰 불만을 보이지 않는다. - P81
한국 사회는 단 한 번도 명령에 의문을갖는 남자들을 바란 적이 없었다. - P135
생체 권력은 프랑스의 철학자 미셸 푸코의 개념으로, 근대 이전의권력이 가지고 있었던 생살여탈권을 대체하는 근대적 권력의 작동 방식을 지칭하는 단어다. - P140
의존하지 않는 여자들은 남자에게 모종의 거세 공포로 다가온다. 자유로운 여자들을 계속해서 벌하려는 남자들의 서사는 이 공포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다. - P155
아버지들이 가족에서 소외되는 것은 가족과의 유대감을 쌓고 삶을유지하는 과정으로부터 빗겨 나가 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대체로그런 것을 ‘잘못한다‘라는 핑계다. 그러나 어머니들도 태어날 때부터가사와 육아를 위한 선천적인 능력을 갖고 태어나지 않는다. 그것을가능케 하는 것은 순전히 반복되는 경험과 학습을 통해서다. - P173
|